[[분류:동음이의어]][[분류:이름/일본]] [목차] == [[어미(동음이의어)#s-1|어미]]의 [['ㅣ' 역행 동화]]로 인한 표기 및 문화어 표기 == 대한민국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음역행동화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가 아니다. 방언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에미'를 쓰는 방언은 없다.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경우이거나 본인이 손윗사람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 사용하는 경우는 충분히 사용 가능한 용례라고 볼 수 있으나, 손아랫사람이 손윗사람에게 사용할 경우 "패륜"이 된다. 이에 비속어냐 아니냐에 대한 쟁점은 각기 견해가 다르다. 북한의 경우는 [[문화어]]에 등재되어 있으며 '에미나이'는 계집애, '에미네'는 여편네를 뜻한다. == 한국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미(영화))] == [[일본]]의 인명 == 여성 이름으로 쓰인다. 다만 한국인 입장에서는 '에미'라고 하면 저절로 1을 떠올리게 되기 때문에 다소 묘한 이름. 恵美라고 쓰는 경우 [[메구미]]라고도 읽을 수 있으니 주의. === 실존인물 === * [[모토이 에미]] - 성우 * [[시노하라 에미]] - 성우 * [[타케이 에미]] - 배우 * [[닛타 에미]] - 성우 * [[브리드컷 세라 에미]] - 성우 * [[히라야마 에미]] - [[성우]] * [[코바야시 에미]] - 그라돌 및 영화배우인 일본의 섹시모델 * [[하야시 에미]] - 일본의 아이돌 テーマパークガール의 멤버. [* 단 정확히는 "에미이"라고 읽는 것이 맞다. 林英美衣에서 '옷 의'자가 '이' 발음을 더한다. 사실상 장음 역할이기 때문.] === 가상인물 === * [[4월은 너의 거짓말]] - [[이가와 에미]] * [[고스트 스위퍼]] - [[오가사와라 에미]] * [[나는 내일, 어제의 너와 만난다]] - 후쿠주 에미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Ms.조크|후쿠카도 에미]] * [[모브사이코100]] - [[에미(모브사이코 100)|에미]] * [[변태왕자와 웃지 않는 고양이]] - [[에마누엘라 폴라로라]]의 약칭. * [[시그널 100]] - [[요시카와 에미]]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남바 에미]] * [[알바 뛰는 마왕님!]] - [[유사 에미]] * [[양의 노래]] - 에미 [[야에가시 요우]]의 친구이다. 야에가시에게 이런저런 조언을 해주는 역할. [[키노시타]]와 비슷한 포지션이다. 다만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 덕분에 지명도가 생긴 키노시타와는 달리 이 쪽은 그런 거 없었다. * [[요괴워치]] - [[에미짱]] * [[유희왕 GX]] - [[아유카와 에미]] * [[장애소녀]] - [[이바라자키 에미]] * [[카드파이트!! 뱅가드]] - [[센도 에미]] *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 키노 에미 * [[콤파치 히어로 시리즈]] - [[에미(콤파치 히어로 시리즈)]] == [[메트로이드 드레드]]에 등장하는 적 [[E.M.M.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M.M.I.)] == 미국 방송계 상 [[에미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