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뉴욕 메츠/로스터)] ---- ||
'''{{{#fff 에릭 차베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MLB 타격코치)] ---- ||
'''{{{#fff 에릭 차베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애슬레틱스 명예의 전당)]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01년 ~ 2006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트래비스 프라이맨[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에릭 차베스[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애드리안 벨트레]][br]([[시애틀 매리너스]])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0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트로이 글로스]][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애너하임 에인절스]]) || → || '''에릭 차베스[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빌 뮬러[br]([[보스턴 레드삭스]])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0번}}}''' || || 팀 워렐[br](1998) || {{{+1 →}}} || '''에릭 차베스[br](1998)''' || {{{+1 →}}} || [[팀 레인스]][br](1999)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번}}}''' || || 빕 로버츠[br](1998) || {{{+1 →}}} || '''에릭 차베스[br](1999~2010)''' || {{{+1 →}}} || [[크레이그 젠트리]][br](2014~2015) || ||<-5> '''{{{#fff [[뉴욕 양키스|{{{#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12번}}}''' || || [[에두아르도 누네즈]][br](2010) || {{{+1 →}}} || '''{{{#132448 에릭 차베스[br](2011~2012)}}}''' || {{{+1 →}}} || [[버논 웰스]][br](2013) || ||<-5> '''{{{#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12번}}}''' || || 헨리 블랑코[br](2011~2012) || {{{+1 →}}} || '''{{{#ffffff 에릭 차베스[br](2013~2014)}}}''' || {{{+1 →}}} || 놀란 레이몰드[br](2014)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51번}}}''' || || 토니 타라스코[br](2021) || {{{+1 →}}} || '''{{{#ffffff 에릭 차베스[br](2022~)}}}'''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ricchavez.webp|width=100%]]}}} || ||<-2> '''뉴욕 메츠 No.51''' || ||<-2><#ff5910> '''{{{+2 에릭 차베스}}}[br]Eric Chávez''' || || '''본명''' ||에릭 세사르 차베스[br]Eric Cesar Chávez || ||<|2> '''출생''' ||[[1977년]] [[12월 7일]] ([age(1977-12-07)]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마운트 카멜 고등학교 || || '''신체''' ||185cm, 97kg || || '''포지션''' ||[[3루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1996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0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98~2010)''' [br][[뉴욕 양키스]] (2011~2012) [br]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3~2014) || || '''지도자''' ||[[뉴욕 메츠]] 타격코치 (2022) [br] [[뉴욕 메츠]] 벤치코치 (2023)[br][[뉴욕 메츠]] 타격코치 (20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야구 지도자. == 선수 경력 ==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순위 3위였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톱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00년대 초반 비록 선구안은 나빠서 막스윙을 가져가는 탓에 볼넷도 적고 삼진은 많이 먹지만[* 이 때문에 [[머니볼]] 소설에서 [[미겔 테하다]] 등과 함께 [[빌리 빈]]에게 까임거리가 되기도 했다.] 콜리시움에서 20~30홈런을 치는 뛰어난 장타력과 [[골드글러브]]를 6연패하는 안정적인 수비로 [[스캇 롤렌]]과 함께 양대리그 3루수 본좌를 다퉜다. 좌타자답게 좌투수 상대 약점이 있기야 했지만, 그런 점을 상쇄할 정도로 3루 수비[* 파울지역이 매우 넓은 콜리세움 특성상 차베스의 출중한 3루 수비능력은 팀에 아주 큰 도움이 되었다.] 와 장타력은 끝내줬다. 특히 [[박찬호]]에게 유난히 강한 타자로 지금까지 기억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박찬호]]가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으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털리는 과정에서 차베스가 유난히 박찬호의 볼을 신나게 때려냈기 때문에[* 상성상 최악의 조합이다. 박찬호가 텍사스로 이적할 당시에는 이미 고질적인 허리부상으로 구위가 매우 떨어져 있었고, 원래 제구가 좋은 투수는 아니었다. 반면 차베스는 리즈시절을 제대로 맞아 우투수 상대로는 저승사자였고 오클랜드 콜리세움을 홈으로 쓰는 중에도 장타율이 항상 5할을 넘었다.] 안티가 많았다. 2004년에는 그간 까임거리로 작용하던 선구안도 나아져 리그 최다인 95볼넷을 골라 나갔는데, 이런 활약에 고무된 [[빌리 빈]]은 [[팀 허드슨]], [[마크 멀더]] 등을 팔아넘기는 와중에도 차베스에게 6년 $66M[* 연봉 총액은 $63M. 1년 연장 옵션이 걸려있었는데, 옵션 실행이 거부될 경우 바이아웃 $3M이 지급되어 총 $66M을 수령할 수 있었다.]을 보장하는 거대 계약을 안겨줬다.[* [[빌리 빈]]의 사기꾼스러운 면모가 드러나지 않았던 그 시기엔 [[http://www.mlbbada.com/bbs/board.php?bo_table=mlbnews&wr_id=52798|인간적으로 끌리는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도 있었다.] 당시에는 이 정도 계약이면 아직도 새파랗게 젊은 나이의 선수에게 빌리 빈이 제대로 한턱 쐈다고 여겨졌고 일각에서는 노예계약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될 정도였다. 장기계약 초반인 05년에는 비록 삼진이 많아서 생산력이 떨어졌을언정 무리없이 시즌을 소화했지만, 06년과 07년부터는 부상으로 본격적으로 벤치와 DL을 들락거리기 시작했다. 그것도 무릎, 등, 목, 여러군데를 골고루 다쳤다. 그동안 [[닉 스위셔]], [[맷 홀리데이]], [[잭 커스트]], [[프랭크 토마스]], [[마이크 피아자]], [[마이크 스위니]], [[노마 가르시아파라]] 등 여러 선수들이 들락날락하며 에이스의 타선을 지탱했지만, 차베스는 팀내 최고 연봉자로서 내내 부상에 시달렸다. 이건 전형적인 먹튀들과 다를 바가 없다만, 차베스의 소속팀이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임을 생각해보자. [[뉴욕 양키스]] 같은 팀이 연평균 1100만불을 날리게 된다면야 욕하면서도 팀 전력에는 크게 문제가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에이스 같은 스몰마켓 구단이 이런 고액 [[먹튀]]에 발목잡히는 순간 그 타격은 상상 이상이다. 게다가 차베스가 부상에 시달릴 때 하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지면서 경기 불황이 시작되었고, 그 여파로 인해 에이스는 프리몬트로의 연고 이전도 물건너갔다. 결국 에이스 입장에서 차베스의 계약은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버논 웰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배리 지토]] 계약과 맞먹는 수준의 대형 타격이었던 것. 그야말로 암흑의 6년이었다. 결국 [[빌리 빈]]의 [[흑역사]]로 기록되었다. [[뉴욕 양키스]]가 [[A-Rod]] 영입 이전에 차베스를 노리던 걸 생각하면 차라리 그때 파는 편도 나았을지도 모르지만 결과론적인 한탄일 뿐. [[http://bleacherreport.com/articles/398288-eric-chavez-and-the-oakland-as-diaspora|차베스 계약 결산]] 결국 에이스를 몇년 동안이나 괴롭히던 차베스는 2010년엔 3루 포지션마저 [[빌리 빈]]이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데려온 케빈 쿠즈마노프에게 뺏기는 등 잉여로 전락했고, 에이스는 2010년 계약이 끝나자마자 $3m 바이아웃을 쥐어주며 차베스를 내쫓았다. === [[뉴욕 양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arm6.static.flickr.com/5678146561_bcf3ab3e06.jpg|width=100%]]}}} || 차베스는 결국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 [[뉴욕 양키스]]와 마이너 계약을 체결했고 다행히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살아남았다. 그리고 마침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무릎 부상으로 이탈한 2011년 중후반에 [[3루수]], [[1루수]], [[대타]], [[지명타자]]로서 쏠쏠한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비슷한 처지에 있던 [[앤드루 존스]]와 마찬가지로 부상이 심화되며 은퇴가 예상되기도 했다. 양키스는 파트타임으로서 쏠쏠한 활약을 해준 차베스기 때문에 재계약을 한다는 입장이지만 선수 본인은 은퇴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했다고 한다. 일단은 2012년에도 양키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2012년엔 113경기에서 나서 타출장 .281/.348/.496 OPS .845 16홈런 37타점으로 훌륭한 활약을 해줬다. 양키스의 골머리를 썩히고 있는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부상 공백을 훌륭히 메우기도 했다.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2012년 12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1년 3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2014년 7월 30일 은퇴를 선언하면서 17년의 선수생활을 마감하게 되었다. 2020년 1월 21일 발표된 명예의 전당에선 딱 2표받고 첫해 광탈했다. == 지도자 경력 == 2022 시즌부터 양키스 타격 보조 코치로 임명되었으나, 이후 양키스가 아닌 메츠의 타격 코치로 부임할 것으로 알려졌다.[[https://twitter.com/TimBritton/status/1479102386010406919?s=20|#]] 나중에 알려진 바로는 양키스의 타격 보조 코치로 부임하기로 합의를 마쳤으나, 메츠에서 타격 코치를 모집하자 더 높은 직위인 점을 감안해 차베스가 메츠 타격 코치 면접을 보는 것을 허락했다고 한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39&aid=0002160857|#]] 2023 시즌에는 타격코치에서 벤치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2024 시즌에는 다시 타격코치로 돌아갔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 코치]][[분류:1977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