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에르데네트}}}'''[br]'''Erdenet | Эрдэнэт | ᠡᠷᠳᠡᠨᠢᠲᠦ'''}}} || ||<-2> [[파일:에르데네트 로고.png|width=100]] || ||<-2> '''{{{#d91e31 로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몽골 에르데네트, 너비=100%, 높이=100%)]}}} || ||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 || '''{{{#fff 주}}}''' ||어르헝 주 || || '''{{{#fff 면적}}}''' ||208㎢ || || '''{{{#fff 인구}}}''' ||101,355명 [[2022년|^^(2022년)^^]] || || '''{{{#fff 인구밀도}}}''' ||487명/㎢ || [[파일:external/goista.com/Erdenet-Mine-Mongolia-700x295.jpg|width=50%]] [[파일:external/a2ua.com/erdenet-004.jpg|width=50%]] [목차] [clearfix] == 개요 == [[몽골]] 북부에 있는 몽골 [[제2의 도시]]. [[몽골/행정구역|어르헝 아이막의 주도]]이다. [[인구 밀도]]가 독립국 중에서는 가장 낮은 몽골답게 도시 인구는 제2의 도시라는 말이 무색하게 10만 명 남짓으로, 인구가 150만 남짓한 제1도시 [[울란바토르]]와는 엄청난 격차가 있다. 다만 어르헝의 면적이 844㎢로 몽골 행정구역치고는 아주 작기 때문에 인구 밀도가 몽골 치고는 꽤 높다. 인구 10만이 한국 기준으로는 속초나 동해 정도의 지방 소도시 수준에 불과하지만, 몽골과 남한 인구를 상대 비교시엔 광주·대전 정도의 비중이 나온다. == 역사 == [[1974년]] 설립된 역사가 매우 짧은 도시다. 왜냐하면 이 도시에 엄청난 규모의 [[구리(원소)|구리]] [[광산]][* 에르데네트 광산은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구리 광산이며 2000년대 기준으로 몽골 GDP의 13.5%와 세수의 7%를 생산했다고 한다.] 이 있어 [[소련]]에서 넘어온 노동자들이 모이면서 도시가 형성된 것이기 때문. 그래서 도시 외관도 소련 스타일에 러시아 식당도 많은 등 러시아 분위기가 많이 풍기는 도시다. 위의 성냥갑 아파트가 대표적인 예시로, 러시아를 비롯한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아파트는 [[니키타 흐루쇼프]] 시절에 대량으로 건설된 주택이어서 '흐루쇼프스카야(Хрущёвская квартира)'라고 불린다. 몽골이 공산주의 국가였던 1980년대에는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러시아인(주로 엔지니어와 광부)일 정도였으나 지금은 러시아인 비율이 10% 정도로 상당히 낮아졌다. 대신 인구 대비 엄청 넓은 영토를 보유한 몽골답게 [[광업]]이 국가 기간 산업인지라 지금은 몽골인들에게도 중요한 도시라고 할 수 있겠다. == 교통 == [[교통]]의 경우 [[몽골 종단철도]]의 지선이 닿고 매일 울란바토르로 향하는 침대 [[야간열차]]가 다니며, 중북부 교통의 요지로 북부 므릉으로 가는 [[버스]]도 있어, 몽골의 대표적인 [[관광지]] [[훕스굴 호]]수로 가는 중간 거점으로 경유할 수도 있다. [[분류:몽골의 도시]] == 자매결연 도시 == * [[러시아]] [[울란우데]] * [[미국]] [[페어뱅크스(도시)|페어뱅크스]] * [[튀르키예]] [[에드레밋]] * [[헝가리]] [[세케슈페헤바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