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코틀랜드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왕족들에게 부여되는 공작위들 중 하나로,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공]]의 생전 작위로도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엘리자베스 2세]]는 필립 공의 생전 에든버러 공작부인이기도 했으며, 즉위 전에는 에든버러 공작부인을 공식 칭호로 사용하기도 했다. 다만 왕위계승자 신분이었기 때문에 여전히 당시 언론에서는 에든버러 공작부인이라는 칭호 대신 공주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왕이었기 때문에 에든버러 공작부인 칭호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뿐, 즉위 후에도 작위는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엘리자베스 2세]]와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공]]의 막내아들 [[에드워드 안토니 리처드 루이|에드워드 왕자]]가 가지고 있다. == 역사 == 최초의 에든버러 공작은 [[조지 2세]]의 장남인 [[프레더릭 루이|웨일스 공 프레더릭]]으로, 1726년에 수여받았다.[*1차 1차 창설] 원래대로라면 프레더릭이 왕으로 즉위하면서 왕위와 병합되었겠지만 1751년, 그가 아버지 조지 2세보다 먼저 죽으면서 그의 아들 [[조지 3세]]가 물려받았다. 이후 [[조지 3세]]가 즉위하면서 왕위와 병합되었다. 1886년, 빅토리아 여왕이 차남 [[알프레드 어니스트 앨버트|알프레드]] 왕자를 에든버러 공작에 봉하였다.[*2차 2차 창설] 하지만 알프레드 왕자의 외아들 알프레드가 아버지보다 1년 먼저 요절하면서 계승자가 없어지는 바람에 그의 사망 후 작위는 소멸되었다. 1957년, [[필립 마운트배튼]]이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공주]]와 결혼하면서 에든버러 공작에 봉해졌고[*3차 3차 창설], 2021년 필립 공이 사망한 후에 장남 [[찰스 3세|찰스 왕세자]]가 물려받았다가 2022년 [[찰스 3세]]로 즉위하면서 왕위에 다시 병합되었다. 2023년 3월 10일, [[에드워드 안토니 리처드 루이|에드워드 왕자]]가 59세 생일을 맞아 에든버러 공작 작위를 받았다. [[에드워드 안토니 리처드 루이|에드워드 왕자]]는 1999년에 결혼했을 때부터 [[공작(작위)|공작위]] 후계자로 내정되었었고, 이 때문에 결혼할 당시 웨식스 [[백작]] 작위를 받았었다. 찰스 3세가 이어받았었던 이유는 공작위 세습 원칙에 의해 찰스가 [[장남]]으로서 물려받았고, 즉위하고 난 이후 에드워드 왕자에게 공작위를 수여하였다. 그러나 보통 공작위가 장남에게 세습되는것과는 반대로, 에드워드의 장남인 [[제임스 마운트배튼윈저]]는 후에 에든버러 공작위를 받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 발표 당시 여러 영국 매체에서는 'The title will be held by Prince Edward for His Royal Highness's lifetime'이라고 표현하며 세습귀족 작위가 아닌 [[일대귀족]] 작위가 될것이라고 예측했다.] 그 이유는 [[찰스 3세]]가 왕실의 규모를 축소하려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방계 왕족이 공작위를 세습할 경우 시간이 흐르면 고위 왕족이 아닌 일반인이 공작위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에든버러 공작위는 [[필립 공]]과 [[찰스 3세]]가 서임받았던 작위이기 때문에 다른 왕실 작위에 비해서 중요성이 매우 커졌다. 따라서 앞으로도 에드워드 왕자처럼 공작위를 세습하지 않고 사망하면 왕실에 반납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 논란과 후계 == [[필립 마운트배튼|필립 공]] 사후 세습 원칙에 따라 [[찰스 3세|찰스 왕세자]]가 작위를 세습받았으며, 찰스의 즉위 후에 다시 에드워드 왕자를 서임해야 하는 상태에 놓였다. 에드워드 왕자가 결혼 당시 에든버러 공작위를 받기 위해 백작위를 받았다고는 하지만, 결혼한지 23년이 넘은데다 찰스가 왕실 규모를 축소하려 노력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말 공작위를 받을지 확실하지 않았었다. 2021년 7월, 타임지에 실린 한 기사에 따르면 찰스 왕세자는 자신이 왕이 되면 에드워드에게 에든버러 공작위를 서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결정했다고 한다. 다만 그러면서도 "최종적인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라고 밝히고 더 이상의 언급을 거부했다. [[https://www.thetimes.co.uk/article/edward-wants-to-be-duke-of-edinburgh-but-his-brother-is-not-on-his-side-77v25z3b0|#]] 2022년 10월, [[찰스 3세]]가 후에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공주]]를 에든버러 여공작에 서임할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https://www.google.com/amp/s/www.dailymail.co.uk/news/article-11472909/amp/King-Charles-saving-Edinburgh-title-Princess-Charlotte.html|#]] 2023년 3월 에드워드 왕자가 공작위를 받았지만, 그의 사후 아들 제임스에게 세습되지 않고 다시 국왕에게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https://www.bbc.co.uk/newsround/64914501|#]] 따라서 후에 샬럿 공주가 작위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샬럿 공주는 [[프린세스 로열]] 작위와 함께 에든버러 여공작위를 가지게 될것이다.] 다만, 후일 샬럿 공주가 에든버러 공작위를 받더라도 자녀들에게는 작위를 물려주지 못하게될 가능성이 크다. == 역대 에든버러 공작 == || '''이름''' || '''출생''' || '''사망''' || '''재임''' || ||<-4><#EEEEEE,#000000> '''1차 창시 {{{-2 (1726년)}}}''' || || [[프레더릭 루이]] || [[1707년]] [[2월 1일]] || [[1751년]] [[3월 31일]] || [[1726년]] [[7월 26일]] ~ [[1751년]] [[3월 31일]] || || [[조지 3세|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 [[1738년]] [[6월 4일]] || [[1820년]] [[1월 29일]] || [[1751년]] [[3월 31일]] ~ [[1760년]] [[10월 25일]] || ||<-4><#EEEEEE,#000000> '''2차 창시 {{{-2 (1886년)}}}''' || || [[알프레드 어니스트 앨버트]] || [[1844년]] [[8월 6일]] || [[1900년]] [[7월 30일]] || [[1866년]] [[5월 24일]] ~ [[1900년]] [[7월 30일]] || ||<-4><#EEEEEE,#000000> '''3차 창시 {{{-2 (1947년)}}}''' || || [[필립 마운트배튼]] || [[1921년]] [[6월 10일]] || [[2021년]] [[4월 9일]] || [[1947년]] [[11월 19일]] ~ [[2021년]] [[4월 9일]] || || [[찰스 3세|찰스 필립 아서 조지]] || [[1948년]] [[11월 14일]] || || [[2021년]] [[4월 9일]] ~ [[2022년]] [[9월 8일]] || ||<-4><#EEEEEE,#000000> '''4차 창시 {{{-2 (2023년)}}}''' || || [[에드워드 안토니 리처드 루이]] || [[1964년]] [[3월 10일]] || || [[2023년]] [[3월 10일]] ~ 현재 || [[분류:에든버러 공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