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령 홍콩 총독]][[분류:영국의 외교관]][[분류:1924년 출생]][[분류:1986년 사망]][[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SOAS 출신]] [include(틀:역대 영국령 홍콩 총독)]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131 0%, #01013A 20%, #01013A 80%, #010131)" '''{{{#FFC224 The Right Honourable}}}[br]{{{#FFC224 {{{+1 에드워드 유드}}}}}}'''}}}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드워드 유드.jpg|width=100%]]}}}|| ||||<:>'''{{{#FFC224 본명}}}'''||에드워드 유드 (Edward Youde)|| ||||<:>'''{{{#FFC224 중국명}}}'''||尤德[* jau4 dak1] || ||||<:>'''{{{#FFC224 국적}}}'''||[[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1924년 6월 19일 - 1986년 12월 5일)^^|| ||||<:><|2>'''{{{#FFC224 출생}}}'''||[[1924년]] [[6월 19일]]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웨일스]] 페나스 || ||||<:><|2>'''{{{#FFC224 사망}}}'''||[[1986년]] [[12월 5일]]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베이징]] 주중영국대사관 || ||||<:>'''{{{#FFC224 학력}}}'''||[[파일:SOAS 런던 대학교 아이콘.png|width=18]] [[SOAS]] || ||||<:><|2>'''{{{#FFC224 가족}}}'''||아내: 파멜라 피트 || ||슬하: 2녀|| ||||<:>'''{{{#FFC224 정당}}}'''||[include(틀:무소속)]|| ||||<:>'''{{{#FFC224 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유엔 주재 영국 사절단 ^^(1965년 - 1969년)^^[br]주중 영국 대사 ^^(1974년 - 1978년)^^[br][[파일:영국령 홍콩 총독기.png|width=28]] 제26대 영국령 홍콩 총독 ^^(1982년 5월 20일 - 1986년 12월 5일)^^[br]}}}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드워드 유드는 [[영국]]의 전 [[외교관]], 중국학자이자 제26대 [[영국령 홍콩]] 총독이다. 재임 중 사망한 총독이기도 하다. === 생애 === [[1924년]] 6월 19일 [[영국]] [[웨일스]]에서 태어나 [[런던 대학교]]의 [[SOAS]]를 졸업하고 [[영국 해군]]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 [[1947년]] 영국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기 시작한 그는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 주재 주중영국[[대사관]]에 발령받아 중화권과의 인연을 맺기 시작하였다. [[국공내전]] 이후 중국 대륙이 공산화되고 수도가 [[베이징]]으로 이전했고, 당시 영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 [[홍콩]]의 안전 문제 때문에 영국은 타 서방 국가와 달리 일찌감치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했다.]함에 따라 주중영국대사관도 베이징으로 이전했고, 이후 그는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주중 영국[[대사]]를 지낸다. 한편 그는 [[1965년]]부터 [[1969년]]까지 [[유엔]] 주재 영국 사절단도 역임한 바 있다. ==== [[영국령 홍콩 총독]] ==== [[https://youtu.be/FxjFuzX_NVs|취임식 영상]][* 영상에 등장하는 장소는 2007년 항구 기능이 사라져 흔적만 남은 퀸스피어로, 홍콩 총독의 취임과 엘리자베스 여왕의 홍콩 방문, [[홍콩 반환]]식 종료 후 [[찰스 3세]]와 [[크리스토퍼 프랜시스 패튼]] 총독 가족이 영국으로 돌아갈 때 사용되었다.] [[1982년]] 에드워드 유드는 역대 총독 중 가장 길게 총독을 지낸 [[머레이 맥클레호스]]의 후임으로 [[영국령 홍콩]] 총독으로 부임한다. 그는 [[신계(홍콩)|신계]]지역의 조차 기한 문제에서 시작된 홍콩 반환 협상이 한창 진행 중일 때 총독으로 부임했으며 그가 총독을 지내던 [[1985년]] [[영중공동선언]]의 비준으로 [[홍콩 반환]]이 확정되었고, 이 때부터 홍콩 총독부 내에서 [[친중파(홍콩)|친중파]]들이 득세하기 시작했다. 전임자인 [[머레이 맥클레호스]]만큼은 아니지만 그 역시 홍콩에 이런저런 업적을 남겼는데, 한 예로 스포츠 및 예술 분야에서 학생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해 JCTIC를 설립했다. 그 외에도 그의 사후 입법국의 권고에 따라 조성되어 홍콩특별행정구 정부가 관리하고 있는 '''에드워드 유드 메모리얼 펀드 장학금 제도''', [[홍콩공원]][* 피크트램 케네디 로드 정거장에서 멀지 않다.] 내 '''에드워드 유드 조류관''' 등 지금도 홍콩엔 그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홍콩의 정부병원 중 하나인 '''파멜라 유드 네더솔 이스트 병원'''[* [[홍콩 섬]] 동부 [[차이완역|차이완]]에 위치해 있다.]은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 지었다. === 사망 === [[1986년]] [[12월 5일]] [[베이징]] 방문 중 주중영국대사관에서 자다 [[심장마비]]로 생을 마감했다. 재임 중 사망했기에, 그의 장례식은 [[홍콩]] 최초로 국장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