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80년 출생]][[분류:2003년 데뷔]][[분류:2023년 은퇴]][[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밴쿠버(워싱턴) 출신 인물]]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dHermanHero.jpg|width=100%]]}}} || || '''{{{#white 이름}}}''' ||<(>에드워드 벤슨 허먼[br](Edward Benson Herman)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white 출생지}}}''' ||<(>[[워싱턴주]] [[밴쿠버(동음이의어)|밴쿠버]] || || '''{{{#white 거주지}}}''' ||<(>[[오리건주]] [[포틀랜드]] || || '''{{{#white 생년월일}}}''' ||<(>[[1980년]] [[10월 2일]] ([age(1980-10-02)]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Ed-Herman-6561 | 43전 26승 16패 1무효]] || || '''{{{#white 승}}}''' ||<(>7KO, 14SUB, 5판정 || || '''{{{#white 패}}}''' ||<(>4KO, 6SUB, 6판정 || || '''{{{#white 체격}}}''' ||<(>186cm / 93kg / 195cm || || '''{{{#white 링네임}}}''' ||<(>Short Fuse || ||<|2> '''{{{#white 주요 타이틀}}}''' ||<(>Sportfight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 ||<(> [[TUF]] 3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준우승 || || '''{{{#white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edhermanufc, 크기=24)] [[https://m.facebook.com/profile.php?id=10000074625063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edhermanufc?igshid=15dkzrho7sen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전 UFC 라이트헤비급 종합격투기 선수. == 전적 == * 주요 승: [[코리 드벨라]], [[브라이언 에버솔]], [[닉 톰슨]], [[글로버 테세이라]], [[데이브 메네]], 크리스 프라이스, [[스캇 스미스]], [[조 덕슨]], [[데이비드 르와조]], [[팀 크레듀어]], [[카일 노크]], [[클리포드 스탁스]], [[트레버 스미스]], [[하파엘 나탈]], [[팀 보우치]], [[패트릭 커민스]], [[하디스 이브라기모프]], [[마이크 로드리게스]] * 주요 패: 셰인 데이비스, [[미사키 카즈오]], [[조 덕슨]], [[켄달 그로브]], [[앨런 벨처]], [[애런 심슨]], [[제이슨 맥도널드]], [[데미안 마이아]], [[호나우도 소우자]], [[탈레스 레이테스]], [[데렉 브런슨]], [[니키타 크릴로프]], [[C.B. 달러웨이]], [[지안 빌란테]], [[알론조 메니필드]], [[잭 커밍스]] * 무효 : [[제이크 쉴즈]] == 커리어 == === 초창기 === 2003년 프로에 데뷔하여 주로 미국쪽으로 돌아다니며 13승 3패의 전적을 거둔다. 이때 꽤나 싸웠던 선수들이 쟁쟁한 선수들이였는데 Pancrase에서 [[미사키 카즈오]]를 상대로 탑에서 압박잘하다가 스윕당해 암 트라이앵글 초크로 패배힌 적이 있고 서브미션 전문가인 조 덕슨에게 트라이앵글 초크로 실신한 적이 있으며 그 외 [[글로버 테세이라]], [[닉 톰슨]], [[데이브 메네]]와의 대결에서 승리했다. === [[UFC]] === 2006년 [[TUF]] 3에 [[프랭크 샴락]]팀으로 캐스팅되었고 대니 아바디를 암바로 준결승전에서 로리 싱어를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 vs. [[켄달 그로브]] ==== TUF 3 Finale 결승전에서 [[켄달 그로브]]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패당하며 우승에 실패했다. ==== vs. [[제이슨 맥도널드]] ==== UFC Fight Night 6.5에서 [[제이슨 맥도널드]]를 상대로 1라운드 트라이앵글 초크로 승리를 거뒀다. ==== vs. 크리스 프라이스 ==== UFC Fight Night 8에서 크리스 프라이스와 192파운드 계약체중[* 허먼은 몸을 만들어 왔으나 프라이스는 못 만들것같아서 계약체중으로 하자 제안했다.]으로 맞붙어 암바로 승리를 거뒀다. ==== vs. [[스캇 스미스]] ==== UFC 72에서 [[스캇 스미스]]를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승리해 서브미션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 vs. [[조 덕슨]] 2 ==== UFC 78에서 중소단체시절 패배를 안겨주었던 [[조 덕슨]]과 리매치에서 3라운드 양훅을 던지고 덕슨의 훅을 위빙으로 피한 이후 리드훅을 던져 덕슨이 쓰러지며 넉아웃 승리를 거뒀고 넉아웃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 vs. [[데미안 마이아]] ==== UFC 83에서 [[데미안 마이아]]와 맞붙어 2라운드 트라이앵글 초크로 패배했다. ==== vs. [[앨런 벨처]] ==== UFC Fight Night 15에서 [[앨런 벨처]]에게 스플릿 판정패당했다. ==== vs. [[데이비드 르와조]] ==== UFC 97에서 [[데이비드 르와조]]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둔다. ==== vs. [[애런 심슨]] ==== UFC 102에서 올 아메리칸 레슬러인 [[애런 심슨]]과 맞붙었다. 1라운드 심슨의 테이트다운에 바닥에 무릎을 쎄게 찍혔고 2라운드 초반 헤드킥을 날리자 무릎부상이 나타났고 고통을 호소하며 TKO패로 끝났다. ==== vs. [[팀 크레듀어]] ==== TUF 13 Finale에서 [[팀 크레듀어]]와 맞붙었다. 잽 이후 리드훅을 던져 목을 싸잡은 후 더티복싱으로 만들어 어퍼컷 2방으로 크레듀어를 넉다운시키고 파운딩으로 실신시켜 1라운드 넉아웃승을 거둔다. ==== vs. [[카일 노크]] ==== UFC on Versus 5에서 부상당한 [[톰 라울러]]를 대신해 [[카일 노크]]와 맞붙게 되었다.되었다. 1라운드 그라운드 하위상황에서 노크에게 가드패스당했으나 노크의 왼다리를 잡고 노크가 일어나자 힐훅으로 연계했고 노크는 저항했으나 발목을 돌리는데 성공하며 서브미션승을 거뒀다. ==== vs. [[클리포드 스탁스]] ==== UFC 143에스 [[클리포드 스탁스]]와 맞붙어 2라운드 클린치 컨트롤당하다가 풋스윕으로 테이크다운시켰고 암 트라이앵글을 시도했으나 풀렸고 이스케이프하려는 스탁스의 백을 잡고 백 컨트롤하다가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승리를 거뒀다. ==== vs. [[제이크 쉴즈]] ==== UFC 150에서 [[제이크 쉴즈]]와 맞붙었으나 만장일치로 판정패당했지만 쉴즈가 약물검사에서 양성이 나오자 무효처리되었다. === [[Strikeforce]] === ==== vs. [[호나우도 소우자]] ==== UFC를 잠시 떠나 [[Strikeforce]]와 1경기 계약을 맺었고 스트라이크포스 마지막경기인 Strikeforce: Marquardt vs. Saffiedine에서 [[호나우도 소우자]]와 194파운드 계약체중으로 경기를 치렀다. 경기는 1라운드 기무라 락으로 서브미션패했다. === UFC === 스트라이크포스가 UFC에 인수되어 다시 UFC로 돌아왔다. ==== vs. [[트레버 스미스]] ==== UFC on Fox 8에서 [[트레버 스미스]]와 맞붙었고 팽팽한 접전끝에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고 파이트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 vs. [[하파엘 나탈]] (불발) → [[탈레스 레이테스]] ==== UFC 167에서 [[하파엘 나탈]]과 맞붙을 예정이였다. 하지만 나탈이 UFC Fight Night 31에서 [[팀 케네디]]와 맞붙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대타로 [[탈레스 레이테스]]와 맞붙었다. 그라운드에서 압도당하며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 vs. [[하파엘 나탈]] ==== UFC Fight Night 40에서 [[하파엘 나탈]]과의 경기가 재성사되었고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둔다. ==== vs. [[데릭 브런슨]] ==== UFC on Fox 13에서 [[데릭 브런슨]]과 맞붙을 예정이였으나 브런슨이 소화기질환으로 인해 경기가 취소되었고 UFC 183로 스케줄이 변경되었다. 1라운드부터 브런슨이 허먼을 테이크다운시키고 파운딩에 허먼이 대처하지못하며 TKO패당했다. ==== vs. [[팀 보우치]] ==== UFC Fight Night 81에서 [[팀 보우치]]와 맞붙었다. 경기 초반부터 펀치 공방전을 펼치며 접전을 벌였고 허먼이 어퍼컷을 맞추고 클린치에서 유리하게 가져갔다. 보우치는 침착하게 대처했지만 더티복싱상황에서 허먼의 니킥이 보우치의 턱에 적중하며 넉다운당했고 후속파운딩으로 2라운드 TKO승을 거뒀다. 퍼포먼스 오브 나이트에 선정되었다. ==== vs. [[니키타 크릴로프]] ==== UFC 201에서 [[니키타 크릴로프]]와 맞붙었다. 크릴로프카 풋워크와 킥으로 압박하며 거리를 좁히다가 케이지에서 펀치난전을 벌였고 허먼이 뒤로 빠지자 앞발 헤드킥으로 넉아웃시켰다. ==== vs. [[이고르 포크라야치]] (불발) → [[가지무라드 안티굴로프]] (불발) ==== UFC 209에서 [[이고르 포크라야치]]와 맞붙을 예정이였으나 포크라야치가 부상으로 이탈했다. 대타로 온 [[가지무라드 안티굴로프]]와 상대하려했지만 허먼이 부상을 입어 경기가 취소되었다. ==== vs. [[C.B. 달러웨이]] ==== TUF 25 Finale에서 [[C.B. 달러웨이]]와 맞붙었다. 경기 초반엔 달러웨이가 그래플링으로 허먼을 압도했고 2라운드 달러웨이가 헤드킥으로 허먼에게 데미지를 줬지만 허먼의 오른손이 달러웨이를 넉다운시켰다. 달러웨이의 적극적인 하위대처로 바로 일어났다. 3라운드 테이크다운에 성공해 탑 컨트롤을 보여줬다. 허먼이 하위에서 기무라 락을 시도했으나 이스케이프에 성공했다. 이후 그라운드 앤 파운드와 엘보로 유효타를 많이 남겼다. 경기 종료직전 허먼이 니바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29-28로 달러웨이가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 vs. [[지안 빌란테]] ==== UFC Fight Night 138에서 [[지안 빌란테]]와 맞붙었다. 경기 초반 빌란테가 잽과 카운터로 허먼에게 데미지를 주며 압도했다. 2라운드는 강력한 펀치로 빌란테에게 큰 데미지와 출혈을 입혔다. 허먼의 라운드였다. 3라운드는 서로가 난타전을 주고받으며 접전을 만들어 냈지만 스플릿 판정패했다. ==== vs. [[패트릭 커민스]] ==== UFC Fight Night 152에서 레슬러인 [[패트릭 커민스]]와 맞붙었다. 경기 초반 커민스는 잽을 던지고 테이크다운페이크이후 던지는 오버핸드를 적중시켰다. 허먼은 원투와 레그킥 콤비네이션으로 응수했다. 커민스는 싱글렉을 시도했으나 허먼은 수비했으나 커민스는 왼손 훅을 던져 허먼을 넉다운시켰다.[* 허먼의 마우스피스가 날라갈 정도로 강력한 훅이였다.] 허먼은 바로 일어나 더티복싱을 걸었고 컬러타이로 숙이게 만들자마자 커민스의 안면에 니킥을 적중시켜 넉다운시키고 후속파운딩으로 역전 TKO승을 거뒀다. ==== vs. [[가지무라드 안티굴로프]] (불발) → [[하디스 이브라기모프]] ==== UFC Fight Night 163에서 [[가지무라드 안티굴로프]]와 다시 매치가 잡혔으나 안티굴로프가 이탈하고 [[하디스 이브라기모프]]가 대타로 들어왔다.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 vs. [[정다운(종합격투기)|정다운]] (불발) → [[마이크 로드리게스]] ==== UFC Fight Night: Hermansson vs. Weidman에서 한국의 [[정다운(종합격투기)|정다운]]과 맞붙을 예정이였으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자체가 취소되었고 매치가 [[UFC Fight Night 173]]으로 옮겨졌지만 정다운이 코로나 양성반응으로 이탈해 [[제랄드 머샤트]]가 이탈해 상대를 찾고있는 [[존 알란]][* 원래는 미들급이다.]과 라이트헤비급매치를 확정지었지만 알란도 코로나 양성반응으로 이탈해 대체자로 [[마이크 로드리게스]]가 들어왔다. 경기는 2라운드 로드리게스의 니킥으로 허먼이 넉다운당했지만 그 과정에서 로블로를 어필했으나 [* 이 부분에서 로블로가 아닌데 연기한다는 비판을 들었다.] 비디오 판정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래도 바로 회복해 로드리게스를 테이크다운시키고 그라운드에서 기무라 락으로 3라운드 서브미션 승을 거뒀다. ==== vs. [[다닐로 마르퀘스]] (불발) ==== UFC Fight Night 190에서 [[다닐로 마르퀘스]]와 맞붙을 예정이였으나 경기 12일전 허먼이 알수없는 사유로 이탈했고 [[케네디 은제츠쿠]]가 대타로 들어갔다. ==== vs. [[알론조 메니필드]] ==== UFC 265에서 [[알론조 메니필드]]와 맞붙었다. 경기 초반 허먼이 펀치로 리드했고 메니필드는 레그킥으로 응수했다. 지속적으로 레그킥을 던져 허먼의 앞발에 데미지를 주었다. 2라운드 초반 허먼이 레그킥을 체크하지마자 메니필드가 달려들어 허먼에게 빅 샷을 얻어냈고 허먼도 카운터로 메니필드에게 돌려주었으나 메니필드는 지속적으로 레그킥을 던져 데미지를 줬다. 허먼이 데미지를 입어 사우스포로 스위치하자 헤드킥을 던져 허먼을 넉다운시켰다. 3라운드도 메니필드의 라운드였고 만장일치 판정으로 패배했다. ==== vs. [[막심 그리신]] (불발) ==== [[UFC 271]]에서 [[막심 그리신]]과 맞붙을 예정이었으나 허먼이 이탈해 [[윌리엄 나이트]]가 대타로 들어갔다. ==== vs. [[잭 커밍스]] ==== UFC on ESPN 44에서 [[잭 커밍스]]와 맞붙었다. 라운드 내내 커밍스의 타격에서 밀려 결국 3라운드에 TKO패를 당하였다. 두 차례나 그라운드 상태에서 상대의 안면에 업킥을 날려 감점도 당하였다. 경기 이후 현역은퇴를 선언했다. == 파이팅 스타일 == 레슬링 베이스로 클린치와 더티복싱에 강점이 있는 그래플러이다. 케이지에서 상대를 상체 컨트롤하며 지속적으로 목을 싸잡고 프레이밍을 만들어 주로 밑에서 위로 올라오는 공격 즉 어퍼컷과 니킥을 던진다. 이 어퍼컷과 니킥이 상당히 강력해서 맷집 좋은 보우치를 TKO시킨적도 있다. 클린치이후 테이크다운도 꽤 괜찮아서 초창기 시절 글로버 테세이라를 더블렉으로 매쳤을 정도였다. 초창기엔 그라운드가 약해서 서브미션패가 많았으나 커리어가 지날수록 상, 하위 움직임이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백 컨트롤 포지션에서 암바로 가거나 하체관절기로 탭을 잡아낼만큼 그라운드가 상당히 발전했다. 파운딩에도 상당히 능하다. 가드패스, 상위압박, 스윕에서 평균이상의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다. 타격에서는 앞손을 활용해서 전진압박하는 경향이 있다. 잽 던지고 리드훅을 던지는 패턴이며 훅성타격을 주로해 덕슨전에서 양훅-위빙-체크훅으로 끝냈다. 한방한방이 상당히 강하다. 맷집도 상당하다. 단점은 타격. 타격이 나쁜편은 아니나 타격가와의 타격전에서는 불리한 상황이 종종나온다. 훅성타격, 스피드도 빠른편은 아니며 타격자체가 궤적이 큰 타격이 많아 카운터를 자주허용한다. 킥에 대한 방어도 취약해 메니필드전에서 킥으로 상당히 고생을 하다가 만장일치 판정패당했다. == 여담 == 풀타임 파이터되기 전에는 바텐더와 바운서로 일한 경력이 있다. 2017년 9월 자신의 집에서 배관작업을 하던 도중 왼쪽 검지 끝이 절단되는 사고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