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목차] == 개요 == 에너지 자원을 탐사·발굴하고 그 에너지를 수송·저장·변환해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공학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과이다. [[대한민국 교육부|커리어넷]]의 분류에 따르면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do?SEQ=10017#tab1|신재생에너지공학과]]와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major/FunivMajorView.do?SEQ=448|에너지자원공학과]] 로 나뉘어 있다. 신재생에너지공학과는 [[수소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차세대 배터리, 풍력발전 등 미래 유망 에너지 분야를 다루고,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석유]], [[석탄]], [[가스]] 등 지하 광물 자원의 탐사와 발굴 같은 전통적인 에너지 분야를 다룬다. 에너지자원공학과는 기존의 화석 에너지를 공부하는 학과이며, 요즘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 에너지나 신재생 에너지와는 결이 다르기 때문에 대학에 지원할 때 주의해야 한다. 신규 지하 광물자원 개발을 기대하기 힘든 현 대한민국 상황에 맞춰서 일부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학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조선대 에너지자원공학과 → (2021년)첨단에너지공학과 * 동아대 에너지자원공학과 → (2021년)미래에너지공학전공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와 접점이 많은 편이다. 사실 '에너지'는 [[전기공학]], [[기계공학]], [[화학공학]], [[건축공학]], [[토목공학]], [[환경공학]], [[원자력공학]] 등 고전적인 공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다루는 주제이기 때문에, '에너지'는 결코 '에너지공학'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따라서 에너지공학과에서 자기네가 모든 에너지를 대표하는 양 무려 '에너지'라는 이름을 떡하니 학문 이름에 박아놓는 것은 오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차라리 '신재생에너지공학'이나 '배터리공학'처럼 구체적인 분야를 명시해주는 이름으로 명명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관련 자격증 : [[에너지관리기사]], [[화공기사]], [[가스기사]], [[수질환경기사]], [[대기환경기사]] == 교육과정 == * 신재생에너지공학개론 신재생 에너지원의 종류와 특성, 전력발생원리에 대한 분야. * 신재생에너지회로설계 각종 계측장비 사용방법, 디지털 논리소자, 각종 IC의 특성, 반도체 스위칭 소자, 각종 센서를 이용한 제어회로 등의 동작 원리 및 활용 기법을 다루는 분야. * 신재생에너지응용 설비 태양광, 풍력 에너지, 연료전지, 수소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 전자기기의 제어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분야. *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설계 신재생 에너지원의 특성, 발전설비 및 전력변환장치를 설계하는 기술을 다루는 분야 * 에너지자원역학 암석역학, 석유공학, 자원처리공학 등을 다루는 분야 * 응용자원지질 자원 지질, 광물, 암석 및 기초 지질, 광물 자원과 에너지 자원의 형성 환경을 다루는 분야. * 에너지공학 에너지의 정의와 역사, 환경, 에너지원별 소비구조 현황 및 전망을 소개하고 전통적 에너지원인 석유, 가스의 탐사 개발기술, 생산현황 및 전반에 대해 학습하는 분야. 유체역학, 열전달, 열역학 등을 기본으로 하여 에너지 변환과 에너지 이용 기술에 관한 이론, 열역학 사이클 및 열기관 해석, 대체 에너지 이용을 다루는 분야 * 석유가스공학 및 실험 다공질 지층 내에 존재하는 유체, 즉 석유, 가스, 지하수의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다루는 분야. * 자원처리공학 정제 기술의 여러 단위 공정, 분급, 분쇄, 물리, 화학적 분리 선별, 분체 시스템과 모델링을 다루는 분야. * 에너지자원과 미래 화석연료, 태양에너지, 핵에너지, 전력 등 주요 에너지원의 생성과 특성, 국내외 에너지 생산과 소비, 각종 에너지 이용 기술의 현황과 전망 등을 다루는 분야. == 개설대학 == === 4년제 대학 === ==== 서울특별시 ==== * [[건국대학교]] - 미래에너지공학과 * [[고려대학교]] - 융합에너지공학과 * [[동국대학교]] -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 * [[상명대학교]] - 생명화학공학부 화학에너지공학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미래에너지융합학과[* 일반대학원 및 융합과학대학원에 에너지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 [[성신여자대학교]] - 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 * [[세종대학교]] -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 [[연세대학교]] -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공과대학이 아닌 언더우드국제대학 소속] * [[이화여자대학교]] -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 [[중앙대학교]] -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한양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 [[서울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대학원 과정은 에너지시스템공학부로 운영하며, 에너지시스템공학부에는 에너지자원공학과와 원자핵공학과가 함께 묶여 있다.] * [[세종대학교]] -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 [[한양대학교]] - 자원환경공학과 ==== 부산광역시 ==== * [[부산대학교]] - 나노에너지공학과 * [[경성대학교]] - 에너지과학과 * [[동아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부 미래에너지공학전공 [에너지자원공학] * [[부경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 [[한국해양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 대구광역시 ==== * [[경북대학교]] - 에너지공학부 에너지변환전공, 신재생에너지전공, 나노소재공학부[* 상주캠퍼스] 에너지화공전공 * [[계명대학교]] - 전기에너지공학전공 ==== 인천광역시 ==== * [[인천대학교]] - 에너지화학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 [[인하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 울산광역시 ==== * [[울산과학기술원]] - 에너지화학공학과 ==== 광주광역시 ==== * [[광주대학교]] -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전남대학교]] - 바이오에너지공학과, 환경에너지공학과 * [[조선대학교]] - 첨단에너지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 [[전남대학교]] - 에너지자원공학과 ==== 경기도 ==== * [[가천대학교]] - 에너지IT학과 * [[경기대학교]] - 융합에너지시스템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대진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전공, 에너지환경공학부, 에너지화학공학전공 * [[명지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과 * [[성균관대학교]] - 에너지과학과(대학원과정, 연계전공[*학부 [[복수전공]]과 동일한 개념이나 주전공 과정은 운영하지 않는다.]) * [[수원대학교]] -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신한대학교]] - 에너지환경공학과 * [[안양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과 * [[한국공학대학교]] - 에너지·전기공학과 ==== 강원도 ==== * [[강릉원주대학교]] - 수학물리학부 물리·에너지전공 * [[상지대학교]] - 반도체ㆍ에너지공학과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 환경에너지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 * [[강원대학교]] * 춘천캠퍼스 에너지자원·산업공학부 에너지자원공학전공 * 삼척캠퍼스 에너지자원화학공학과 ==== 충청도 ==== * [[극동대학교]] - 에너지IT공학과, 친환경에너지공학과 * [[단국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 [[순천향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환경공학과 * [[중원대학교]] - 신재생에너지학과, 신재생에너지자원학과 * [[청주대학교]] - 태양광에너지공학과, 에너지·광기술융합학부, 에너지ㆍ응용화학전공, 광기술에너지융합전공 ==== 전라북도 ==== * [[우석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 * [[전북대학교]] - 토목/환경/자원.에너지공학부 자원·에너지공학전공 ==== 전라남도 ==== * [[동신대학교]] - 수소에너지학과, 신소재에너지전공, 신재생에너지전공 * [[목포대학교]] - 스마트에너지시스템학과, 에너지ICT공학부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에너지공학부[* 단일학부이다. 이 대학교에 입학하면 자동으로 이 학부로 배정된다.] ==== 경상북도 ==== * [[경운대학교]] - 신소재에너지학과 * [[경일대학교]] - 원자력에너지융합학과, 신재생에너지학부 * [[경주대학교]] - 환경에너지·방재학부, 전기에너지컴퓨터공학과, 신재생에너지학과, 환경에너지학과, 환경에너지전공 * [[대구가톨릭대학교]] - 전기에너지공학전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에너지공학과 * [[동국대학교/WISE캠퍼스|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창의융합공학부 에너지·전기공학전공 * [[대구대학교]] - 에너지시스템공학과 ==== 경상남도 ==== * [[경남대학교]] - 환경에너지공학과 * [[창원대학교]] - 스마트그린공학부 환경에너지공학전공 * [[경상국립대학교]] - 에너지공학과, 에너지기계공학과 * [[인제대학교]] - 미래에너지공학과 * [[부산대학교]] - 나노에너지공학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제주도 ==== * [[제주대학교]] - [[제주대학교/학부/공과대학/전기에너지공학과|전기에너지공학과]] === 전문대학 === * [[한국폴리텍Ⅰ대학]] 서울정수캠퍼스 - 그린에너지설비과, 그린에너지설비공학과 * [[영진전문대학교]] - 신재생에너지전기계열 * [[한국폴리텍Ⅴ대학]] 광주캠퍼스 - 그린에너지설비과 * [[강동대학교]] - 신재생태양광공학과, 신재생에너지과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신재생에너지과 * [[군장대학교]] - 신재생에너지화공계열 * [[전주비전대학교]] - 신재생에너지과,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전남도립대학교]] - 스마트에너지융합학과 * [[영남외국어대학]] - 신재생에너지과 * [[한국폴리텍Ⅶ대학]] 창원캠퍼스 - 에너지환경과 === 대학원[* 대학원 과정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에너지공학 전공[* 주관 캠퍼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세부전공: 수소에너지공학, 에너지시스템공학, 재생에너지공학, 청정에너지공학), 에너지-환경 융합 전공[* 주관 캠퍼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세부전공: 에너지공학, 환경공학) [[분류:공학]][[분류:에너지]] * [[광주과학기술원]] - 에너지융합대학원 * [[성균관대학교]] - 미래에너지공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