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GG DEALER'''}}} == 개요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에 등장하는 메카의 이름. 동명의 메카가 두 대 존재하며, 둘 다 특정 게임에서 보스로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심지어 두 메카를 각각 조종하는 사람도 [[닥터 에그맨]]과 [[닥터 에그맨 네가|그의 후손]]이다. == [[닥터 에그맨]]의 에그 딜러 == ||<-3><:><#000000>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white 섀도우 더 헤지혹}}}]] {{{#white : 엔딩 직전에 등장하는 보스 목록}}}''' || ||<:> [[GUN|{{{#012861 GUN}}}]] ||<:> [[블랙 암즈|{{{#e51c23 블랙 암즈}}}]] ||<:> [[닥터 에그맨|{{{#ff8800 에그맨}}}]] || ||<:> [[소닉 더 헤지혹|소닉]] & [[디아블론]] ||<:> [[블랙 둠#s-4]] ||<:> {{{#ff8800 '''에그 딜러'''}}} || [[파일:에그딜러.jpg|width=640]]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에서 등장하는 [[닥터 에그맨]]의 '''[[슬롯머신]] 탑재형 무차별 파괴용 메카'''. 말 그대로 [[에그 모빌]]에 슬롯머신이 탑재된 장갑을 씌운 형태이며, 거기에 4개의 바퀴 달린 다리가 나 있어서 지상 주행이 가능하다. [[섀도우 더 헤지혹]]이 6개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았을 때 그것을 탈취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나 도리어 섀도우에게 역관광을 당하는 것도 모자라, [[코즈믹 폴]]을 제외한 루트에서는 [[닥터 에그맨|탑승자 본인]]이 섀도우에게 한 방 더 먹으면서 [[리타이어]]당한다. ~~특히 눈 뜨면 [[E-123 오메가|자기를 못 죽여 안달난 로봇]]이 같이 있는 [[라바 셸터]] 히어로 루트는 꿈도 희망도 없다~~ === 보스전 === [[https://www.youtube.com/watch?v=4rOMwIQnVxk|VS 에그 딜러 BGM]] 보스전은 가운데가 뚫린 ㅁ자형 필드에서 진행되며, 계속해서 필드를 달리는 에그 딜러를 쫓아가면서 내구력을 0으로 만들면 클리어할 수 있다. ㅁ자형 필드 가운데의 빈 공간에도 따로 발판이 하나 있으나, 에그 딜러가 여기를 지나지는 않는다. 에그 딜러의 내구력을 깎을 때에는 동체에 탑재된 [[슬롯머신]]을 주된 공격 수단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 슬롯머신은 세 개의 슬롯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수동으로 슬롯을 하나씩 멈출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콕핏에 타고 있는 [[에그맨]]이 할 일이지만, '''[[섀도우 더 헤지혹|섀도우]]가 외부 조작으로 직접 슬롯을 멈출 수도 있다.''' 에그 딜러의 동체에는 세 개의 버튼이 나 있는데, [[호밍 어택]]으로 버튼을 공격하면 때린 버튼 바로 위에 있는 슬롯 하나가 멈춘다. 이 버튼을 '슬롯 확정 스위치'라고 한다. 슬롯 세 개가 전부 멈췄을 때 나온 그림 세 개가 일치하는 경우를 '피버'라고 한다. 피버의 효과는 나온 그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반드시 '''마지막 슬롯을 멈춘 사람'''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특히 공격 효과가 있는 피버의 경우, 세 번째 슬롯을 섀도우가 멈췄다면 '''에그 딜러가 스스로를 공격한다.''' 보스전은 이 방식으로 공략해야 한다. === 피버의 종류 === * '''미사일 피버'''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issile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issile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issile_Fever_slot.png]] || > '''"이거나 먹어라! 「미사일 피버」다!!"''' >'''"Get ready for a real blast! It's time for Missile Fever!"''' >(에그맨이 멈췄을 시) > '''"우와앗!? 머, 멈춰, 발사중지다-!"''' >'''"What?! W-Wait! Abort launch!"''' >(섀도우가 멈췄을 시) 슬롯 3개가 모두 미사일로 맞춰졌을 때 나오는 패턴. 에그 딜러의 동체에서 다수의 로켓 미사일이 발사된다. 세 번째 슬롯을 섀도우가 멈췄다면 에그맨이 탑승한 콕핏에 맞으며, 반대로 에그맨이 멈췄다면 섀도우에게 조준선이 표시된다. 가만히 서 있지만 않으면 맞을 일은 없다. * '''봄 피버'''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omb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omb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omb_Fever_slot.png]] || > '''"좋아! 「봄 피버」!! 이걸로 산산조각 내주마!"''' >'''"Now it's time for Bomb Fever! Get ready to blasted into oblivion!"''' >(에그맨이 멈췄을 시) > '''"우옷! 바, 바보같은 놈, 이쪽으로 떨구지 마라!"''' >'''"Gah! No! Don't drop them here!"''' >(섀도우가 멈췄을 시) 슬롯 3개가 모두 폭탄으로 맞춰졌을 때 나오는 패턴. 이것을 에그맨이 사용하면, 에그 딜러가 필드를 매우 빠르게 달리면서 [[폭풍설사|지나가는 길에 폭탄을 미칠듯이 뿌려댄다]]. 이 경우, 슬롯이 멈추자마자 그냥 필드 중앙에 설치된 발판으로 건너가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한편 섀도우가 봄 피버를 발동하면 에그 딜러가 넘어지고 그 자리에 폭탄이 떨어져 에그맨이 대미지를 입는다. 참고로 봄 피버로 사출되는 폭탄은 폭발의 공격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누가 슬롯을 멈추든 그냥 피버가 발동하는 순간 멀리 떨어져야 한다. * '''폰 피버'''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awn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awn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awn_Fever_slot.png]] || > '''"「폰 피버」! 가라! 갈가리 찢어 발겨라!!"''' >'''"Pawn Fever! Prepare to be skewered!"''' 에그맨만 사용하는 패턴. 어쩌다 에그맨이 슬롯 3개를 모두 [[에그 폰]] 그림으로 맞추면, 섀도우의 주위에 다수의 에그 폰이 나타난다. 섀도우가 슬롯 확정 스위치를 누를 경우 절대로 에그 폰 그림이 나오지 않는다. * '''링 피버'''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ing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ing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ing_Fever_slot.png]] || > '''"네 이놈, 내 링을...!!"''' >'''"No! My beautiful Rings!"''' 섀도우가 슬롯 확정 스위치를 모두 눌렀을 때만 볼 수 있는 패턴. 슬롯 3개가 모두 [[링(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링]] 그림으로 맞춰졌을 때 발동하며, 발동하는 순간 필드 중앙의 발판에서 에그맨이 저축해둔 링이 마구 샘솟는다(...). 보스전은 링 카운트가 랭크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링이 모자랄 때가 아니면 가장 쓸모없다. 에그맨이 슬롯머신을 조작할 경우 절대로 링 슬롯은 나오지 않는다. * '''섀도우 피버'''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hadow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hadow_Fever_slot.png]] ||<#000000>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hadow_Fever_slot.png]] || > '''"이, 이런! 「섀도우 피버」다!"''' >'''"N-no! Not Shadow Fever!"''' 링 피버와 마찬가지로 섀도우가 슬롯 확정 스위치를 눌렀을 때만 나오는 패턴. 슬롯 3개가 모두 섀도우 그림으로 맞춰졌을 때 발동하며, '''발동하는 순간 섀도우의 다크 게이지가 완충된다.''' 게다가 섀도우가 다크 섀도우로 변신한 직후에도 에그 딜러는 잠시 움직이지 않으므로, 그 자리에서 [[카오스 블래스트]]를 쓰면 소소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 관련 문서 === * [[닥터 에그맨/건조물]] == [[닥터 에그맨 네가]]의 에그 딜러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R2_EggDealer_02.png|width=640]] [[소닉 라이벌즈 2]]의 세 번째 스테이지인 네온 팰리스 존의 보스. [[소닉 히어로즈]]의 [[빙고 하이웨이]]처럼 '''빙고 보드'''가 있는 스테이지에서 싸우게 되며, 소닉 라이벌즈 시리즈답게 플레이어와 라이벌 한 명이 동시에 보스에게 도전한다. == 관련 문서 == *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 * [[소닉 라이벌즈 2]]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