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발]][[분류:근육]]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손의 이름이 같은 근육, rd1=엄지모음근(손))] [include(틀:근육)] ||||
{{{#ffffff ''' ''adductor hallucis'' '''}}}[br]{{{#ffffff ''' ''(엄지모음근, 무지내전근)'' '''}}} || |||| [[파일:발의엄지모음근.jpg|width=100%]][* 엄지모음근 깊숙한 곳에 있는 3개의 근육들은 [[바닥쪽뼈사이근(발)|바닥쪽뼈사이근들]](plantar interossei mm.)이다.] || || 이는 곳[br](origin) || 빗갈래: 2, 3, 4번째 발허리뼈바닥(base of 2nd, 3rd, 4th metatarsal bones)[br]가로갈래: 3, 4, 5번째 바닥쪽 발허리발가락인대(3rd, 4th, 5th plantar metatarsophalangeal ligaments) || || 닿는 곳[br](insertion) || 엄지발가락 첫마디뼈바닥 가쪽면[br](lateral surface: base of 1st proximal phalanx) || || 동맥[br](artery) || 가쪽발바닥동맥[br](lateral plantar artery) || || 신경[br](nerve) || 가쪽발바닥신경[br](lateral plantar nerve) || || 기능[br](action) || 엄지발가락 모음, 굽힘은 보조[br](adduction of big toe, assists flexion of big toe) || [목차] [clearfix] == 개요 == 발의 엄지모음근(adductor hallucis m.)은 발바닥의 3층(layer 3) 중심칸(central compartment)에 존재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크게 나눠서 빗갈래(oblique head)와 가로갈래(transverse head)로 이루어졌고, 각 갈래에는 세 갈래의 근육들이 존재하는 근육이다. 개정 전 용어는 무지내전근([[拇]][[指]][[內]][[轉]][[筋]])[* [[엄지손가락 무]], [[손가락 지]], [[안 내]], [[구를 전]], [[힘줄 근]].]. [[엄지모음근(손)|손의 엄지모음근]]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엄지발가락모음근'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 구조 == || [[파일:발바닥3층.jpg|width=80%]] || || 발바닥의 근육들을 4층으로 나눴을 때, 셋째층의 그림. || 층별로 구분했을 때 3층에 같이 존재하는 근육들은 [[짧은엄지굽힘근(발)|짧은엄지굽힘근]](flexor hallucis brevis m.)과 [[짧은새끼굽힘근(발)|짧은새끼굽힘근]](flexor digiti minimi m.)이다. 이 두 근육의 빗갈래와 가로갈래는 닿는 곳을 제외한 구조적인 특성이 상이하므로 따로 서술한다. 빗갈래는 2, 3, 4번째 발허리뼈바닥, 즉 발목뼈들과 발허리뼈가 만나는 발허리뼈의 몸쪽 끝(proximal end)에서 세갈래로 일어난다. 이 근육들은 가로갈래에 비해 훨씬 두껍고 크며, 따라서 그 힘이 비교적 강하다. 이때, [[긴종아리근]](peroneus longus m.)의 힘줄이 발목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을 가쪽에서 안쪽으로 가로지른다는 것을 상기하자. 이 2, 3, 4번째 발허리뼈바닥은 긴종아리근 힘줄이 지나가며 긴종아리근 섬유집(fibrous sheath of peroneus longus m.)에 싸이는 부분이고, 따라서 빗갈래가 일어날 때 긴종아리근 섬유집 일부에서도 일어나게 된다. 이런 긴종아리근 섬유집에서 일어나는 특성은 짧은새끼굽힘근도 마찬가지이다. 가로갈래는 빗갈래보다 먼쪽에 위치하는 3, 4, 5번째 바닥쪽 발허리발가락바닥인대(plantar metatarsophalangeal lig.)와 깊은가로발허리인대(deep transverse metatarsal lig.)들에서 일어난다. 이 근육들은 빗갈래에 비해서는 얇고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다. 빗갈래와 가로갈래는 각자 따로 발바닥을 주행하다가 닿는곳인 엄지발가락 첫마디뼈바닥 가쪽면에서 융합하여 한곳에 닿는다. 닿는곳인 첫째 첫마디뼈바닥 가쪽면에서, 엄지모음근은 [[짧은엄지굽힘근(발)|짧은엄지굽힘근]]의 가쪽갈래(lateral head)와 함께 닿는다.[* 짧은엄지굽힘근의 안쪽갈래는 이들보다 안쪽인 엄지발가락 첫마디뼈바닥 안쪽면에 닿는다.]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이 엄지모음근이나 [[벌레근(발)|벌레근]](lumbrical mm. of foot)과 같은 발바닥 근육들을 주로 지배하는 [[가쪽발바닥신경]](lateral plantar n.),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은 [[엄지벌림근]](abductor hallucis m.)과 [[짧은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brevis m.)의 깊은 쪽을 지나가며 [[깊은발바닥동맥활]](deep plantar arterial arch)을 형성하는 [[가쪽발바닥동맥]](lateral plantar a.)이다. == 기능 == 주 작용은 엄지발가락을 세번째 발가락 쪽으로 모으는 것이다. 따라서 [[엄지벌림근]](abductor hallucis m.)과는 [[대항근]] 관계이다. 한편, 엄지발가락 첫마디뼈바닥에 닿으므로 발허리발가락뼈관절(metatarsophalangeal joint, MTP)에서의 엄지발가락 굽힘을 보조할 수 있다. 이는 [[짧은엄지굽힘근(발)|짧은엄지굽힘근]](flexor hallucis brevis m.)과 [[협동근]] 관계인 작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