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선우프로덕션에서 제작한 동명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rd1=엄마찾아 삼만리(1981))] [include(틀:세계명작극장)] [include(틀:아사히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2>
{{{#373a3c,#dddddd '''{{{+1 엄마찾아 삼만리}}}''' (1976)[br]母をたずねて三千里[br]3000 Leagues in Search of Moth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엄마찾아삼만리_애니.pn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 || || '''{{{#373a3c,#dddddd 원작}}}''' ||{{{-2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エドモンド・デ・アミーチス)}}} || || '''{{{#373a3c,#dddddd 감독}}}''' ||[[타카하타 이사오]] || || '''{{{#373a3c,#dddddd 각본}}}''' ||후카자와 카즈오(深沢一夫) || || '''{{{#373a3c,#dddddd 화면 설계}}}''' ||<|2>[[미야자키 하야오]] || || '''{{{#373a3c,#dddddd 레이아웃}}}'''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코타베 요이치]] || || '''{{{#373a3c,#dddddd 작화감독}}}''' || || '''{{{#373a3c,#dddddd 작화감독 보좌}}}''' ||[[오쿠야마 레이코]]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무쿠오 타카무라(椋尾 篁)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쿠로키 케이시치(黒木敬七) || || '''{{{#373a3c,#dddddd 편집}}}''' ||세야마 타케시(瀬山武司) || || '''{{{#373a3c,#dddddd 음악}}}''' ||사카타 코이치(坂田晃一)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닛폰 애니메이션]] || || '''{{{#373a3c,#dddddd 제작}}}''' ||[[닛폰 애니메이션]][br][[후지 테레비]]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1970년대|1976. 01. 04.]] ~ 1976. 12. 26.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 / (일) 19: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동양방송|TBC]], [[KBS 2TV|KBS2]], [[한국교육방송공사|EBS]] || || '''{{{#373a3c,#dddddd 편당 방영 시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52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미정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nippon-animation.co.jp/work/962/|[[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엄마찾아 삼만리(일본판 母をたずねて三千里)는 [[닛폰 애니메이션]]의 [[세계명작극장]] 시리즈의 일환으로 제작된 일본의 TV시리즈 "[[플랜더스의 개]]"의 후속작인 [[애니메이션]]이다. 일본판 제목은 '엄마찾아 삼천리'지만, [[리(단위)|리]]의 단위 길이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10배의 차이가 나므로 한국판 제목은 '엄마찾아 삼만리'로 바뀌었다. 원작은 이탈리아의 아동 문학 작가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의 [[사랑의 학교]]에 실려 있는 단편 '아펜니노 산맥에서 안데스 산맥까지'(Dagli Appennini agli Ande)를 토대로 제작되었다. 일본에선 후지 TV를 통해 1976년 1월 4일에 방영이 시작되어 동년 12월 26일에 전 52화로 종영하였고, 당시 시청률 30% 이상을 기록하였다. 감독은 [[타카하타 이사오]], 장면설정과 [[레이아웃]]은 [[미야자키 하야오]], 캐릭터 디자인 겸 작화감독은 [[코타베 요이치]], [[콘티]] 연출가는 [[토미노 요시유키]], [[오쿠다 세이지]]. 작화에는 OH 프로덕션이 참여해 [[하네 유키요시]], [[탄나이 츠카사]], [[사이다 토시츠구]], [[오카다 토시야스]], 야마우치 쇼쥬로 등 훗날 일본 애니메이션을 대표하게 되는 쟁쟁한 실력의 멤버가 만들었다. 만화 내용이 너무 슬퍼서 코타베 요이치가 중간에 멘탈이 붕괴되어 아내인 [[오쿠야마 레이코]]가 작화감독 보조로 작화를 적극 도왔다고 한다. 미야자키 하야오도 50화가 되도록 마르코가 엄마를 만나지 못하는 주제가 가사처럼 '산도 계곡도 없는' 전개가 싫었고, 전작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애니메이션|하이디]]에서 했던 전 에피소드 레이아웃과 장면 설정을 똑같은 패턴으로 하는 것도 너무 지루하고 육체적으로 힘들기만 했다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그래서 다음 작은 [[꼬마 너구리 라스칼]]에는 원화로 참여하고, 타카하타 연출의 [[빨강머리 앤/애니메이션|빨강머리 앤]]은 도중에 싫다고 내팽개치고 평소 좋아하는 모험 활극 스타일인 극장판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의 감독을 자청해서 맡는다.] 1999년 4월 3일에 극장용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 MARCO 엄마 찾아 삼만리》가 일본에서 개봉했다. [[야스히코 요시카즈]]는 타카하타 이사오 작품 중 이게 최고라고 평했다. 1980년 극장판으로 재편집한 버전이 상영되었지만 그야말로 처참하게 망했다. 얼마나 망했는지 상영 1주일 만에 극장에서 다 내려갔고, 같은 해 제작된 [[펠리네 이야기]] 재편집 극장판까지 10년이나 창고에서 썩다가 1990년에야 비로소 공개되었을 정도. == 줄거리 == 줄거리는 [[이탈리아]]의 [[제노바]]에 사는 소년 [[마르코]]의 엄마가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몸도 불편한 남편을 대신해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가정부 일을 하러 떠났는데, 편지도 돈도 꼬박꼬박 보내오던 어머니가 병에 걸렸다는 소식에 어머니를 찾아 어린 나이에 혼자서 먼 여행을 하면서 여러 사람을 만나는 여행담이다. 원작이 쓰여진 19세기 말 당시의 아르헨티나는 [[밀]]과 [[쇠고기]] 수출에 기반을 둔 신흥 부국이었고, 노동력 부족으로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각국의 이민자들의 이민을 많이 받아들였다. [[수도(지리)|수도]]인 부에노스아이레스는 '남미의 [[파리(프랑스)|파리]]'라 불리며 번창했다.[* 1869년에 총인구가 170만 명에서 외국계 이주민 비율이 12.1%였던 것이 1895년에는 총인구 수가 400만 명이 되고, 1914년에는 790만 명으로 증가했고, 이 때 외국계 해외 이주민 비율은 29.9%나 되었다. 이는 인종의 샐러드라 불리는 미국이 당시 약 13%였던 점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파일:external/blog-imgs-42.fc2.com/2011080908291823e.jpg]] [[파일:external/blog-imgs-42.fc2.com/20110809082925ee3.jpg]] ①[[1880년]], [[이탈리아]]의 [[제노바]]에서 출발. ②[[프랑스]]의 [[마르세유]], ③[[스페인]]의 [[바르셀로나]]와 ④[[말라가]]를 거쳐서 ⑤[[아프리카]]의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로 간 후 [[대서양]]을 종단한다. ⑥[[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 도착한 후 이민선으로 갈아타고 ⑦목적지인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도착. ⑧[[바이아블랑카]]로 갔지만, 엄마가 없어서 다시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돌아옴. 배를 타고 ⑨[[로사리오]], ⑩[[코르도바]], ⑪[[투쿠만]]에 가서 마침내 엄마를 만난다. 그리고 아마도 이 여정을 거슬러 제노바로 돌아온다. 마르코의 왕복 거리를 계산하면 25,910km. 일본의 단위로 계산하면 6,554리.한국의 단위로는 64775리이다. 제네바에서 투쿠만까지 편도는 3,445리. 지구 둘레가 적도 기준으로 약 4만km이므로 마르코는 지구 둘레의 70%를 일주한 셈이다. 지금이야 [[제노바 국제공항]]에서 [[KLM 네덜란드 항공]]으로 [[스키폴 국제공항|암스테르담]]를 경유하거나 [[루프트한자]]로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여 [[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간단히 갈 수 있고 아니면 [[ITA 항공]]을 타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로마]]를 경유하면 의사소통 문제 없이 더 쉽게 갈 수도 있다. [* 인근의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으로 육로 이동하면 선택지가 넓지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어 보인다.] 아르헨티나 국내 이동도 [[국내선]] 비행기로 이동하면 그만이지만 저 시대엔 비행기가 전무했고 있었다고 해도 당시 주인공의 가난한 형편으로 비행기 이동은 꿈도 못 꿀일이다. 거리가 거리인 만큼 작중 고생이란 고생은 다 한다. 웬만한 어른도 힘든 일을 겪으면서 버텨내지만 정말 엄마가 일하고 있다는 곳에 가보면 이미 다른 곳으로 떠났다는 패턴이 [[무한반복]]된다. 천신만고 끝에 찾아갔더니 '그 집 먼 데로 [[이사]]갔는데?' 해서 또 찾아갔더니 '어쩌냐, 그 집 이사갔어.' 또또 갔더니 '일주일만 일찍 오지. 이사갔단다' ...가 짜증날 정도로 계속 반복된다. 그러다 잠시 동안 여정을 함께 한 [[당나귀]]마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결국 나중에는 거지꼴이 다 되어 투쿠만에 도착해 어머니도 찾고 마르코가 보고싶다며 수술을 거부하고 있던 어머니도 마르코를 만나 수술을 받고 어머니의 건강도 회복되어 모국인 이탈리아로 함께 귀국하면서 [[해피 엔딩]]. == 성우진 == 일본판 성우진은 다음과 같다. 오른쪽은 KBS, EBS, 대원방송, 대원극장판 더빙판 성우진. *마르코 롯시 - 마츠오 요시코/[[김순원]], [[손정아]], [[양정화]] *안나 롯시 - 니카이도 유키코/[[홍희숙]], [[장미(성우)|장미]], [[김채린]] *피에트로 롯시 - [[카와쿠보 키요시]]/[[엄상현]], [[이장원(성우)|이장원]] *토니오 롯시 - 소카베 카즈유키/[[정재헌]], [[서반석]], [[임혁(성우)|임혁]] *펩피노 - [[나가이 이치로]]/[[이인성(성우)|이인성]], [[이장원(성우)|이장원]] *콘체타 - [[오하라 노리코]]/[[이소영(성우)|이소영]], [[장예나]], [[이세레나]] *피오리나 - 노부사와 미에코/[[박선영(성우)|박선영]], [[강은애]], [[신나리(성우)|신나리]] *줄리에타 - 치지마츠 사치코/[[홍희숙]], [[이다은]], [[손정민(성우)|손정민]] *카타리나 - [[아소 미요코]]/[[이다은]] *루키노 - 호소이 시게유키/[[박성영]] *카를로 - [[츠지무라 마히토]]/[[이창민(성우)|이창민]] *야고보 - [[사이카치 류지]]/[[이창민(성우)|이창민]] *레오나르도 - 카미야마 타쿠조/[[전태열]], [[이창민(성우)|이창민]] *체자레 - [[니시카와 이쿠오]] *에밀리오 - 키타카와 치에 → 코마무라 마리코/[[이소영(성우)|이소영]], [[김보나]]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후카자와 카즈오(深沢一夫) * 전화 작화감독: [[코타베 요이치]] * 전화 [[레이아웃]]: [[미야자키 하야오]] || '''회차''' || '''제목'''[* 한글제목은 [[대원방송]] 방송 제목을 따른다.] || '''콘티''' || '''연출''' || '''방영일''' || || 1 || いかないでおかあさん[br]엄마, 가지 마세요! ||<|2><-2> [[타카하타 이사오]] || 1976.1.4. || || 2 || ジェノバの少年マルコ[br]제노바의 소년, 마르코 || 1976.1.11. || || 3 || 日曜日の港町[br]항구 도시의 휴일 || [[토미노 요시유키]] || 타카하타 이사오 || 1976.1.18. || || 4 || おとうさんなんか大きらい[br]전 아빠가 미워요! ||<|2><-2> 타카하타 이사오 || 1976.1.25. || || 5 || なかよしエミリオ[br]내 친구 에밀리오 || 1976.2.1. || || 6 || マルコの月給日[br]마르코의 월급날 || 토미노 요시유키 || 타카하타 이사오 || 1976.2.8. || || 7 || 屋根の上の小さな海[br]지붕에서 보이는 작은 바다 ||<-2> 타카하타 이사오 || 1976.2.15. || || 8 || ゆかいなペッピーノ一座[br]유쾌한 펩피노 극단 || 토미노 요시유키 ||<|45> 타카하타 이사오 || 1976.2.22. || || 9 || ごめんなさいおとうさん[br]아빠, 잘못했어요 || [[오쿠다 세이지]] || 1976.2.29. || || 10 || かあさんのブエノスアイレス[br]엄마가 계신 부에노스아이레스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3.7. || || 11 || おかあさんの手紙[br]엄마의 편지 || 오쿠다 세이지 || 1976.3.14. || || 12 || ひこう船のとぶ日[br]비행선이 뜨는 날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3.21. || || 13 || さよならフィオリーナ[br]안녕, 피오리나 || 쿠로다 요시오[br](黒田昌郎) || 1976.3.28. || || 14 || マルコの決意[br]마르코의 결심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4.4. || || 15 || すすめフォルゴーレ号[br]포르고레 호, 출발! || 오쿠다 세이지 || 1976.4.11. || || 16 || ちいさなコック長[br]꼬마 주방장 || 쿠로다 요시오 || 1976.4.18. || || 17 || 赤道まつり[br]적도 축제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4.25. || || 18 || リオの移民船[br]리우의 이민선 || 오쿠다 세이지 || 1976.5.2. || || 19 || かがやく南十字星[br]반짝이는 남십자성 || 쿠로다 요시오 || 1976.5.9. || || 20 || おおあらしの夜[br]폭풍우치는 밤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5.16. || || 21 || ラプラタ川は銀の川[br]은빛 라플라타 강 || 오쿠다 세이지 || 1976.5.23. || || 22 || かあさんのいる街[br]엄마가 계신 마을 || 쿠로다 요시오 || 1976.5.30. || || 23 || もうひとりのおかあさん[br]또 다른 엄마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6.6. || || 24 || 待っててくれたフィオリーナ[br]마르코를 기다린 피오리나 || 오쿠다 세이지 || 1976.6.13. || || 25 || ペッピーノ一座大あたり[br]펩피노 극단의 대성공 || 쿠로다 요시오 || 1976.6.20. || || 26 || 草原へ[br]초원 여행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6.27. || || 27 || フィオリーナの涙[br]피오리나의 눈물 || 오쿠다 세이지 || 1976.7.4. || || 28 || バルボーサ大牧場[br]커다란 바르보사 목장 || 쿠로다 요시오 || 1976.7.11. || || 29 || 雪がふる[br]눈 내리던 날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7.18. || || 30 || 老ガウチョ カルロス[br]정의로운 카를로스 할아버지 || 오쿠다 세이지 || 1976.7.25. || || 31 || ながい夜[br]길었던 하룻밤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8.1. || || 32 || さようならといえたら[br]안녕이라는 그 말 || 오쿠다 세이지 || 1976.8.8. || || 33 || かあさんがいない[br]엄마는 어디에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8.15. || || 34 || ジェノバに帰りたい[br]제노바로 가고 싶어 || 오쿠다 세이지 || 1976.8.22. || || 35 || おかあさんのなつかしい文字[br]그리운 엄마 글씨 || 쿠로다 요시오 || 1976.8.29. || || 36 || さようならバイアブランカ[br]안녕, 바이아블랑카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9.5. || || 37 || はてしない旅へ[br]끝없는 여행 ||<|2> 오쿠다 세이지 || 1976.9.12. || || 38 || かあさんだってつらいのに[br]힘들었을 엄마의 마음 || 1976.9.19. || || 39 || ばら色のよあけロサリオ[br]로사리오의 장밋빛 새벽 ||<|2> 토미노 요시유키 || 1976.9.26. || || 40 || かがやくイタリアの星一つ[br]반짝이는 이탈리아의 별 || 1976.10.3. || || 41 || かあさんと帰れたら…[br]엄마와 돌아가고 싶어 || 오쿠다 세이지 || 1976.10.10. || || 42 || 新しい友だちパブロ[br]새 친구 파블로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10.17. || || 43 || この街のどこかに[br]이 마을 어딘가에 || 오쿠다 세이지 || 1976.10.24. || || 44 || フアナをたすけたい[br]위독한 후아나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10.31. || || 45 || はるかな北へ[br]머나먼 북쪽으로 || 오쿠다 세이지 || 1976.11.7. || || 46 || 牛車の旅[br]짐마차 여행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11.14. || || 47 || あの山の麓にかあさんが[br]저 산 아래에 엄마가 || 오쿠다 세이지 || 1976.11.21. || || 48 || ロバよ死なないで[br]당나귀야, 죽지 마!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11.28. || || 49 || かあさんが呼んでいる[br]엄마가 부르고 있어 || 오쿠다 세이지 || 1976.12.5. || || 50 || 走れマルコ![br]달려, 마르코!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12.12. || || 51 || とうとうかあさんに[br]드디어 만난 엄마! || 오쿠다 세이지 || 1976.12.19. || || 52 || かあさんとジェノバへ[br]엄마와 함께 집으로! || 토미노 요시유키 || 1976.12.26. || == 국내 방영 == 대한민국에서는 [[동양방송|TBC]]에서 1976년 6월 21일 오후 6시에 한국어 더빙으로 방영하였고 이후 [[KBS 2TV|KBS2]]에서 방영하였다. 2002년 [[대원방송]]의 [[애니원]]에서 [[한국방송공사|KBS]]판을 재방영했다. 2008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재더빙하여 방영했으며, 2017년에는 [[대원방송]]에서 다시 재더빙하여 재방영했다. 참고로 KBS판에서 주인공 마르코를 맡은 성우는 [[김순원]], 대원방송 판에서 마르코를 맡은 성우는 [[양정화]]이다. 극장판 2022년 대원방송에서 방영했으며, 성우진은 외부 성우인 마르코의 [[양정화]], 피에트로의 [[이장원(성우)|이장원]]을 제외하면[* 다만 [[권창욱]]은 본작에는 출연하지 않았고, 그가 맡았던 배역은 모두 전속으로 교체되었다.] 모두 [[대원방송 성우극회|대원방송]] 6~7기에서 11~12기 성우들로 교체되었다. == 기타 == 사실 대한민국에서는 1958년 만화가 [[김종래]]가 원작 이야기를 고전사극 형식으로 각색해 발표한적이 있었다. 이 책은 대한민국 최초의 베스트셀러 만화책[* 참고로 국내 최초의 만화 단행본은 1946년 5월 발간된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39079.html|토끼와 원숭이]].]으로 알려져 있으며 1964년까지 10쇄를 찍어냈고, 2013년에는 국가등록문화재 539호로 등재되었다. [[으쌰으쌰 우비소년]]에서 패러디가 되는데, 남자(외계인)의 거짓 회상에서 [[파트라슈]]와 같이 사는데 외로운 마음이 있다 → 자기를 버린 엄마가 그리워졌다[* [[메텔]]의 모습을 비춘다.] → 엄마를 찾아 길을 떠나지만 너무 굶주려서 죽어가는데 [[할랜드 샌더스]]로 패러디한 김회장의 양자가 되며 엄마의 기억은 잊었다[*스포일러 전부 다 페이크였으며, 게시판에 엄마 찾으러하는 캠페인이 붙어 있으며, 그가 도망가기 위한 위장술에 불과할 뿐이었다.]는 [[현실은 시궁창]]스런 식이다. 이 작품의 제목이 알려지면서 '00찾아 삼만리' 같은 표현이 쓰이기 시작했다. 이를테면 [[맘마 미아(뮤지컬)|맘마 미아]]는 '아빠 찾아 삼만리'인 셈이다. [[분류:동화]][[분류:세계명작극장]][[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79년 애니메이션]][[분류:KBS 방영 애니메이션]][[분류:EBS 방영 애니메이션]][[분류:199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가족 애니메이션]][[분류:모험 애니메이션]][[분류:타카하타 이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