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2> {{{#ffffff '''{{{+2 언터처블}}}''' (1987)[br]''The Untouchable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impawards.com/untouchables.jpg|width=100%]]}}} || || {{{#ffffff '''장르'''}}} ||[[범죄]], [[드라마]], [[스릴러]] || || {{{#ffffff '''감독'''}}} ||[[브라이언 드 팔마]] || || {{{#ffffff '''각본'''}}} ||데이비드 마멧[* 각본가로서도 이름이 알려졌고 작품성 높은 영화감독으로서도 유명하다. 감독한 영화 호미싸이드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후보작으로 오를 정도.] || || {{{#ffffff '''제작'''}}} ||아트 린슨[br]레이몬드 하트윅 || || {{{#ffffff '''음악'''}}} ||[[엔니오 모리코네]] || || {{{#ffffff '''미술'''}}} ||윌리엄 A. 엘리엇 || || {{{#ffffff '''의상'''}}} ||마릴린 밴스 || || {{{#ffffff '''출연'''}}} ||[[케빈 코스트너]][br][[숀 코너리]][br][[로버트 드 니로]][br][[앤디 가르시아]][br]찰스 마틴 스미스[br]퍼트리샤 클라크슨 외 || || {{{#ffffff '''제공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라마운트 픽처스 || || {{{#ffffff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아트 린슨 프로덕션 || ||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IP 코리아 || || {{{#ffffff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라마운트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UIP 코리아]] || || {{{#ffffff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1987년]] [[6월 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89년]] [[11월 18일]] || || {{{#fff '''월드 박스오피스''' }}} ||'''$76,270,454'''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0094226/?ref_=bo_se_r_1|출처]])^^ || || {{{#fff '''대한민국 관객 수''' }}} ||'''66,471명''' ^^(서울 기준)^^ || || {{{#ffffff '''상영 시간'''}}} ||119분 || || {{{#fff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목차] [clearfix] == 개요 == [[금주법/미국|금주법]] 시대의 [[미국]] [[시카고]]를 배경으로 밀주 밀매로 막강한 부와 권력을 쌓은 악명 높은 [[마피아]]인 [[알 카포네]]와 이에 대항하는 연방 [[시크릿 서비스|비밀검찰국]](U.S. Secret Service)[* 재무성 소속의 비밀검찰국은 이후에 [[FBI]]라는 연방 사법기구가 유명해지지만, 저 시대에는 각 연방기구마다 고유한 사법권이 존재했다. 링컨 대통령 시절 창설된 비밀검찰국은 대통령 경호로 유명하지만 원래 임무는 위조지폐, 탈세 같은 연방범죄자들을 잡아 수사하기 위한 기관이였다.] 밀주단속요원(Prohibition agent)[* Prohibition은 단순히 '금지'를 의미하지만, 미국 역사에서는 [[금주법]]을 의미하는 뜻이기도 하다.]의 대결을 그린 실화를 각색한 영화다. 영화 주인공인 [[엘리엇 네스]](Eliot Ness)[[https://en.wikipedia.org/wiki/Eliot_Ness|#]]와 그의 팀 자체가 실제로 존재한 팀이다. 사실 영화 이전에 책(1957)[* 동명의 이 책은 당사자인 [[엘리엇 네스]]의 금주법 시대에 대한 회고록으로, 저널리스트인 오스카 프렐리와 같이 집필한 책이다. 어떻게 보면 영화의 원작이라고 볼 수 있다.]과 TV 시리즈(1959-63)로 존재했으며 해당 항목의 영화 이후에도 1993년 [[CBS(미국 방송)|CBS]]를 통해 TV 드라마로 방영되었다. 여기서 언터처블이란 무소불위의 권력으로 인해 아무도 감히 건드리지 못한 알 카포네와, 1930년대 권력이나 재력에 굴복하지 않은 연방 비밀검찰국 둘 다 의미한다. 극중 알 카포네의 위세에 사람들(경찰 포함)이 설설 기는 와중에도, 신명나게 카포네를 털고 있는 네스의 수사팀에 대해 기자가, "너희들은 아무도 '''못 건드리는(untouchable)''' 용가리 통뼈라도 되는 줄 아냐?" 라고 비웃는 장면이 나온다. 사실, 저 금주법 시대에는 밀주를 하면서 급속도로 막대한 부를 쌓은 마피아들이 전국에 걸쳐 나타났으며 당시 미국 제 2의 도시인 시카고는 알 카포네가 시카고의 정치계와 공무원들을 뇌물로 장악하고 어떠한 제재도 없이 범죄를 저지르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전혀 처벌을 할 수 없는 지방 정부 대신 연방 정부의 정의로운 요원들이 알 카포네를 법의 심판대로 보내는 이야기가 주된 줄거리다. 실제로 알 카포네는 체포 후 지리한 재판과정을 거쳐서 탈세와 금주법위반으로 11년 유죄 판결을 받은 후 가장 악명높은 범죄자들이 수용된다는 [[알카트라즈]] 감옥에 수감되었다. == 예고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bzkK06MJjE)]}}} || == 등장인물 == [[파일:17b0fd2e0f1504eb9.png]] * [[알 카포네]]([[로버트 드 니로]]) * [[엘리엇 네스]]([[케빈 코스트너]]) * 지미 말론([[숀 코너리]]): 늙은 순경. 순찰 돌다가 첫번째 작전이 실패한 네스와 마주친 이후 네스의 팀의 들어가 네스의 스승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다. * 조지 스톤([[앤디 가르시아]]): 경찰학교 졸업생. 뛰어난 사격 솜씨를 가지고 있다. 원래 쥐세피 페트리라는 이름의 [[이탈리아계 미국인]]이지만 이를 숨기고 있다. * 오스카 월레스(찰스 마틴 스미스): 네스의 팀에 들어온 경찰. 본래 회계사로 알 카포네가 세금을 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처음 발견했다. * 캐서린 네스(퍼트리샤 클라크슨): 네스의 아내. 딸 한 명을 두고 있으며 아들 하나를 임신하고 있다. * 프랭크 니티(빌리 드라고): 카포네의 부하. 실존인물이지만 작중에서의 행적은 실제와 좀 다르다. == 흥행 == [[퓰리처상]]을 수상한 데이비드 마벳의 시나리오를 [[브라이언 드 팔마]]가 각색해서 만든 작품. 《[[대부(영화)|대부]]》 이후의 갱스터 무비의 맥을 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평도 좋았고, 북미 7,627만 달러, 총 흥행수익 1억 달러(제작비 1,8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면서 흥행도 성공했다. 그리고 [[숀 코너리]]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았다. 한국에서는 1989년 11월 18일에 직배 영화로 개봉, 1990년 1월까지 25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하며 당시 기준으로 흥행에 성공했다. == 평가 == 그 밖에도 [[로버트 드 니로]]가 알 카포네를 연기해 강력한 카리스마를 보여주었으며[* 실제로 알 카포네가 탈모가 있어 이마가 넓었기에, 자신의 생 앞머리를 왕창 뽑고 촬영에 임했다.] [[케빈 코스트너]]([[엘리엇 네스]]), [[숀 코너리]](짐), [[앤디 가르시아]](조지), 찰스 마틴 스미스(오스카) 등의 그야말로 쟁쟁한 배우들이 열연해주었다. 시종일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연출이 일품이며, 특히 [[시카고 유니언 역]]을 배경으로 계단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유모차를 사이에 두고 벌이는 총격장면은 그야말로 영화사에 기록될 백미이다. 이 장면은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의 영화 《[[전함 포템킨]]》의 [[오마주]]로, 계단 주변에 [[미합중국 해군]] [[수병]]들이 끼어 있다 총격전에 휘말리는 장면도 이를 보여준다. 그리고 슬로우 모션으로 보여 줬다 뿐이지, 실제로는 짧은 시간 동안 총격신이 일어났을 뿐임에도, 총격이 시작될 때와 끝났을 때 보이는 기차역의 시계가 너무 많이 흘러가 있는 옥에 티가 유명하다. [youtube(NylvRzYtug4)] 해당 총격전 장면. 이 장면은 나중에 [[총알탄 사나이]] 3편에서 패러디한다. == OST == [[엔니오 모리코네]]의 긴장감 넘치는 음악도 유명하지만 메인 음악은 평온하다. [youtube(KTMnkPrdFRo)] 메인 음악 이 영화 음악은 [[주성치]]의 영화 《007 북경특급》에서도 패러디로 어레인지되어 사용됐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영화 음악과 [[임권택]] 감독의 영화 《[[씨받이]]》가 음악이 비슷하다고 해외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그런데 정작 《씨받이》 음악을 맡은 신병하(1947~2005, [[하얀전쟁(영화)|하얀전쟁]]이라든지 1980~90년대 한국 영화 음악이나 드라마 음악으로 유명했었다.)나 임 감독은 이게 어디가 같냐고 경악했다. 실제로 당시 [[이선영(성우)|이선영]] 영화 음악 라디오 방송에서도 1990년 초반에 신병하가 생전에 나와 인터뷰하면서 이 이야기를 했는데 정확히는 [[칸 영화제]]에서 이런 반응이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당시 방송에서 두 영화 음악을 같이 틀어줬는데, 시청자 반응은 도대체 [[판소리]]하듯이 아아아아~ 이러는 《씨받이》 음악이 이 영화 음악과 뭐가 비슷하다는 건 모르겠다는 반응이었다. [youtube(oF6wQAz0DYU)] 신병하가 맡은 씨받이 메인 음악. 듣어보면 비슷한 것을 알 수가 없다..... == 한국어 성우진 == 이후 [[MBC]]에서 1993년 1월 2일 신년특선영화로 방영되었는데 성우진은 아래와 같다. * [[김관철(성우)|김관철]] - 엘리엇 네스(케빈 코스트너) * [[양지운]] - 알 카포네(로버트 드 니로) * [[이규연(성우)|이규연]] - 짐 말론(숀 코너리) * [[박기량(성우)|박기량]] - 스톤(앤디 가르시아) * [[김강산]] - 월리스(찰스 마틴 스미스) * [[성유진(성우)|성유진]] - 캐서린(퍼트리샤 클라크슨) * [[이영달]] - 재판장(안소니 모커스) * [[황일청]] - 프랭크(빌리 드래고) * [[한상혁(성우)|한상혁]] - 마피아(비토 디암브로시오) * [[박태호]] - 바덴더(존 J. 월시) * [[전국근]] - 엘리엇의 변호사(에드워드 맥도날드) * [[이도련]] - 페인(잭 케호) * [[이성(성우)|이성]] - 카포네의 부하(델 크로즈) * [[이종오]] - 마피아(에드워드 도노) * [[최상기]] - 캐나다 수비대장(로버트 스완) * [[곽대홍]] - 조지(브레드 셜리반) * [[이우신]] - 앤더슨(피터 애일워드) * [[이선호(성우)|이선호]] - 여자 아이의 엄마(콜린 베이드) / 여자 아이(아디트라 콜) * [[황윤걸]] - 경찰서장(리처드 브래드퍼드) * [[김동현(성우)|김동현]] - 신문 기자(스티븐 골드스타인) / 경찰(돈 하비) EBS [[세계의 명화]]에서 방송된 후 [[OBS]] 시네마에서도 가끔 방송되었다. == 기타 사항 == * 비밀검찰국과 경찰은 완전히 다르다. 알 카포네는 시카고 지역의 고위 정치인과 관료 및 주 검찰, 경찰들을 적절한 뇌물과 로비로 장악했고 약점을 잡힌 이들이 철저히 알 카포네의 사법처리를 방해했다. 지역에서 처벌이 불가능했기에 결국은 엘리엇 네스를 포함한 재무성 소속 특수 요원들이 수사해서 처벌할 수 있었던 것. 물론 죄목은 당연하게 연방법 관할인 탈세와 금주법으로 기소한 후 처벌했다. * 케빈 코스트너가 맡은 역은 제작사 파라마운트는 위트니스를 보고 [[해리슨 포드]]를 원했다고 한다. * 기차역에서 유모차 안에 있는 아기는 스턴트 코디네이터의 아들이다. * [[타이토]]에서 만든 《[[데드 커넥션]]》은 이 영화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 * [[오션 소프트웨어]]가 아미가, 코모도어 64, ZX 스펙트럼용의 PC용 라이선스 게임을 배급했으며 NES, SNES로도 게임을 발매했다. 슈팅게임 및 플랫포머 게임을 결합한 구성으로 엘리엇 네스를 비롯한 특수요원들을 조작하는 게임. == 평가 == ||<-2>
[[메타크리틱|'''{{{#ffe400 메타크리틱}}}''']] || || [[http://www.metacritic.com/movie/the-untouchables/critic-reviews|'''스코어 79/100''']] || '''[[http://www.metacritic.com/movie/the-untouchables/user-reviews|유저 점수 8.7/10]]''' || ||<-2>
[[로튼 토마토|'''{{{#1ddb16 로튼 토마토}}}''']] || || [[https://www.rottentomatoes.com/m/untouchables|'''신선도 80%''']] || '''[[https://www.rottentomatoes.com/m/untouchables|관객 점수 89%]]''' || ||
'''[[IMDb|{{{#000000 IMDb}}}]]''' || || '''[[http://www.imdb.com/title/tt0094226/ratings|평점 7.9/10]]''' || ||
[[watcha|'''{{{#ffa0a0 왓챠}}}''']] || || '''[[https://watcha.net/mv/the-untouchables-1987/|사용자 평균 별점 3.8/5.0]]''' || ||<-2>
'''[[네이버 영화|{{{#ffffff 네이버 영화}}}]]''' ||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068|네티즌 평점[br]8.37/10]]''' || [각주] [[분류:1987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분류:브라이언 드 팔마]][[분류:엔니오 모리코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