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2 언니}}}''' (2019)[br]''No Mercy''}}} || ||<-2> [[파일:b6f97e699d6a4bde9e219f971e6c6479.jpg|width=100%]] || || '''{{{#000000 장르}}}''' ||[[액션]], [[범죄물|범죄]], [[스릴러]], [[느와르]], [[미스터리]], [[하드보일드]], [[고어물|고어]], [[복수물|복수]] || || '''{{{#000000 감독}}}''' ||임경택 || || '''{{{#000000 각본}}}''' ||김민 || || '''{{{#000000 제작}}}''' ||정석현, 이동현 || || '''{{{#000000 출연}}}''' ||[[이시영(배우)|이시영]], [[박세완]], [[이준혁]], [[최진호]] 외 || || '''{{{#000000 촬영}}}''' || || || '''{{{#000000 음악}}}''' || || || '''{{{#000000 촬영 기간}}}''' ||[[2016년]] [[6월 13일]] ~ [[2016년]] [[10월 4일]] || || '''{{{#000000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필름에이픽쳐스, [[조이앤시네마]] || || '''{{{#000000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조이앤시네마|제이앤씨미디어그룹]][br][[더콘텐츠온]] || || '''{{{#000000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월 1일]] || || '''{{{#000000 화면비}}}''' || || || '''{{{#000000 상영 시간}}}''' ||94분 (1시간 34분) || || '''{{{#000000 제작비}}}''' || || || '''{{{#000000 스트리밍}}}'''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100]]]]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100]]]]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100]]]]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1,558,387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97,213명 ([[2019년]] [[1월 13일]] 기준) || || '''{{{#000000 공식 홈페이지}}}'''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등급}}}]]'''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청소년 관람불가}}}]]'''[br][[영상물 등급 제도/일본|[[파일:영륜 PG12 로고.svg|width=30]]]] '''{{{#000000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 개요 == [[2019년]]에 개봉한 [[한국]]의 액션 스릴러 [[영화]]. == 예고편 == [youtube(R2wbARVn3tA)] == 시놉시스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남들처럼 평범하게 살고 싶었는데… 동생이 사라졌다 “내 동생 어디로 보냈어?” 동생의 흔적에 가까워질수록 그녀의 분노는 폭발한다 == 등장인물 == * 박인애([[이시영(배우)|이시영]]) * 박은혜([[박세완]]) * 한정우([[이준혁]])[* 한정우 역을 맡았던 [[이준혁]]은 훗날 [[범죄도시 3]]에서도 최종보스 주성철 역할이 대표적이다.] * 박영춘([[최진호]])[* 극중 메인 빌런.][* 전작의 [[미세스 캅 2]]에서도 빌런 역할이며 중간보스로 나왔다.] * 하상만([[이형철]]) * 지철(일진)([[설정환]]) * 정 사장([[김원해]]) * 슈퍼주인(신철민) * 사진관([[김기무]]) * 안마방여자(윤송아) * 카센터 사장([[김정팔]]) - 우정출연 * 대부업체직원([[안세하]]) - 우정출연 * 하상만 부인(이자은) - 우정출연 == 줄거리 == 부모 없이 발달장애인 고등학교 3학년인 동생 은혜를 키우는 인애는 경호원으로 일하는 중 과잉 방어로 감옥에서 1년 반을 살고 나온다. 유도 선수 생활, 특공무술까지 익힌 실력이지만 과거 일 때문에 취직도 안 된다. 출소 후 만난 동생은 학교에 가기 싫다고 보채고 인애는 학교는 졸업하자며 동생을 달랜다. 하지만 인애가 돌아온 다음 날 사건이 터진다. 동생 은혜가 학교 일진들에게 끌려가 원조교제 사기에 이용되다 납치된 것. 인애는 동생의 실종에 대해 학교에 말을 하나 학교에서는 신경도 쓰지 않고 경찰에서도 "가출한 건 지 모르니 기다려라"며 절차를 앞세우며 미지근하게 대응한다. 이에 인애는 직접 해결하기로 하고 나선다. 인애는 출소날 은혜가 용돈을 모아 사준 빨간색 원피스와 하이힐을 신은 채 동생을 찾아 나서는데 은혜의 친구에게 그동안 은혜가 일진들에게 당하고 있었음을 알아낸다. 일진의 자취방에 들어가 피작살을 낸 후 은혜를 납치해 간 [[이형철|하 사장]]을 찾아가 은혜의 행방을 알아낸다. 하 사장은 일진들에게 합의금을 가져오지 않으면 은혜를 데려간다고 했고 당연히 일진들은 은혜의 몸값을 지불해주지 않았다.--지불할 능력도 없지만-- 하 사장은 은혜를 안마업소에 팔았다고 하며 은혜를 포기하라는 식으로 말하며 저항하다 인애에게 반 죽는다. 인애는 안마업소를 찾아가 사장을 반 죽여 놓고 은혜를 잠시 교육 시켰던 윤송아에게 은혜가 또다시 팔린 것을 알게 된 후 사장의 목을 꺽어 죽여버린다. 그 후 인애는 경호요원의 경험을 살려 은혜의 흔적을 찾아가다 [[도가니(영화)|놀라운 사실]]을 알아낸다. {{{#!folding [이후 내용] [include(틀:스포일러)] 그 동안 은혜는 동네 슈퍼, 사진관, 카센터 사장 등 삼촌뻘 되는 사람들에게 차례로 성폭행을 당했던 것. 인애는 은혜를 성폭행한 놈들을 하나 하나 찾아 손가락을 부수고, 사진 액자를 깨 목을 그어버리고, 오함마로 손을 아작내는 복수를 단행한다. 이러는 사이 은혜는 한 시의원 박영춘의 지시를 받은 비서 한정우에 의해 팔려가는데... 알고보니 그 시의원은 전에 은혜를 사서 원조교제를 하려다 인애에게 딱 걸려 눈을 잃은 적이 있었다. 즉 복수심리로 은혜와 인애를 찾아 죽이겠다는 게 이 시의원의 목표. 하지만 양심에 찔린 비서는 은혜를 납치해가지만 결국 언니에게 풀어주려고 하고, 시의원은 이런 비서를 눈치채며 묶어놓고 목에 회칼을 꽂으면서 살해한다. 천신만고 끝에 인애는 시의원을 만나 모두를 아작내고, 동생 은혜를 되찾는다. 차를 타고 터널 밖을 나간 장면에서 빛이 나고 영화는 막을 내린다. ~~그러나 후상황 생각하면 그다지....~~}}} == 평가 == ||<-2>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www.metacritic.com/movie/(영화_이름)/critic-reviews|스코어 (스코어) / 100]]''' || '''[[http://www.metacritic.com/movie/(영화_이름)/user-reviews|네티즌 평점 (평점) / 10]]''' || ||<-2>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http://www.rottentomatoes.com/m/(영화_이름)|신선도 (신선도)%]]''' || '''[[http://www.rottentomatoes.com/m/(영화_이름)|관객 점수 (평균 점수)%]]'''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www.imdb.com/title/tt9535950/ratings|유저 평점 없음 / 10]]''' || ||
[[Letterboxd|[[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https://letterboxd.com/film/sister-2019/|사용자 평균 별점 1.43 / 5.0]]''' || ||
[[키노포이스크|[[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width=100]]]] || || '''[[https://www.kinopoisk.ru/film/(영화 이름 및 코드. 검색 시 뒤에 붙음)/|네티즌 평균 별점 (별점) / 10.0]]''' || ||
'''[[야후! 재팬 영화|[[파일:movies_r_34_2x.png|width=100]]]]''' || || '''[[http://movies.yahoo.co.jp/movie/(영화 이름. 검색 시 뒤에 붙음)/(영화 코드. 검색 시 뒤에 붙음)|네티즌 평균 별점 (별점) / 5.0]]''' || ||
'''[[엠타임|[[파일:Mtime Logo_Transparent.png|width=100]]]]''' || || '''[[http://movie.mtime.com/(영화 코드 검색 시 뒤에 붙음)/|사용자 평균 별점 (점수) / 10.0]]''' || ||
'''[[도우반|[[파일:더우반 로고.svg|height=20]]]]''' || || '''[[https://movie.douban.com/subject/26825688/|네티즌 평균 별점 2.8 / 10.0]]''' || ||
'''[[watcha|[[파일:왓챠 로고.svg|width=80]]]]''' || || '''[[https://watcha.com/ko-KR/contents/mO0mzez|사용자 평균 별점 2.6 / 5.0]]''' || ||
'''[[키노라이츠|[[파일:키노라이츠 로고.svg|height=19]]]]''' || || '''[[https://kinolights.com/movie/70840|키노라이츠 지수 14.29%]]''' || ||<-3>
'''[[네이버 영화|[[파일:n영화.jpg|width=65]]]]''' ||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2344|기자, 평론가 평점[br]4.00 / 10]]'''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2344|관람객 평점[br]7.30 / 10]]'''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2344|네티즌 평점[br]6.57 / 10]]''' || ||<-2>
'''[[다음 영화|[[파일:daum movie official logo.jpg|height=35]]]]''' || || '''[[http://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102535&type=columnist|기자, 평론가 평점[br]없음 / 10]]''' || '''[[http://movie.daum.net/moviedb/grade?movieId=102535&type=netizen|네티즌 평점[br]7.6 / 10]]''' || ||
'''[[CGV Golden EGG지수|[[파일:CGV 로고.svg|height=30]][[파일:KakaoTalk_20170125_141617099.jpg|height=25]]]]''' || || '''[[http://www.cgv.co.kr/movies/detail-view/?midx=81518|관객 평가 83%]]''' || * 스토리는 매우 진부하고 개연성, 서사도 등장인물이 엉성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며 여성 액션을 내세운 영화지만 정작 액션은 [[성난황소]], [[아저씨(영화)|아저씨]] 등 기존의 남성 배우가 주연인 액션 영화에서 배우만 이시영으로 바꿔 놓은 수준으로 굉장히 몰개성한데다[* 모 영화 유튜버는 아예 성난황소에 빗대 '''성난 암소'''라고 표현하기도 했다.]~~어설픈 권총 액션까지 하는~~ 배우 이시영에게 적합하지도 않고[* --이시영은 복싱 챔피언인데 설정부터 난데없는 유도 선수이다.-- 언뜻 보면 유도선수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유도선수가 아닌 경호원이다. 경호원이 유도 기술을 쓰는 건 당연하다.], 특히 이시영의 불필요한 섹스 어필에 치중하는 등 엉망진창이다. 이시영이 연기한 주인공 인애는 극중에서 내내 빨간 [[미니스커트]] 원피스에 빨간 [[하이힐]] 차림을 유지하는데, 아무리 설정상 동생이 사준 옷과 신발이라지만 애초에 액션 연기에 부적절한 이런 복장으로 격렬한 액션을 펼친다는 게 얼마나 현실성이 부족한지는 말할 필요가 없을 지경.[* 영화 후반부에 결국 인애가 하이힐을 벗고 운동화를 신은 채로 싸우는 전개로 영화가 진행되는데 이는 감독이 하이힐을 신고 계속 싸우는 전개로 내세운 영화 이야기 주제와 의미를 자기 스스로 부정하고 어긴 것이나 다름없는 행위다.] 한 영화 유튜버는 명색이 액션 영화인데 주인공에게 활동하기 편한 옷을 입히는 성의조차 없다고 지적하면서 "아니 싸울 준비를 할 거면 손에 라이터를 감지 말고[* 인애가 싸움을 준비하면서 손등에 라이터를 감는 장면을 인용했다.] '''편한 옷으로 좀 갈아 입어요!'''"라고 비판했다.[* 뒤에 자막으로도 "편하고 튼튼한 옷을 입어야 방어력+전투력이 올라가죠"라고 덧붙였다. 또한 일부 여성 관객들 사이에서는 인애의 극중 복장을 두고 "감독한테 저 하이힐 신고 한 10분만 가만히 서 있어 보던지, 하이힐 신고 월드컵경기장 10바퀴 전력질주 해보라고 하고 싶다"는 냉소적인 평이 나오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의 [[일사 파우스트]]가 드레스 차림으로 펼치는 액션신을 예로 들면서 인애의 극중 옷차림에 대한 비판이 과하다는 평을 하기도 했으나 애초에 일사와 인애는 입장이 전혀 다르고[* 인애는 경호원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민간인이고, 일사는 국가 정보기관인 MI6 소속의 첩보 요원이다.], 일사의 경우 오페라하우스에 잠입 중이었다는 극중 상황이 맞물려 불가피하게 연출된 장면일 뿐 그 외의 전투신에서는 예외 없이 활동하기 편한 복장으로 전투에 임한다. * [[테이큰]]을 비롯한 이런 류의 영화에서는 악당들이 모두 황천행이 되지만 '''여기선 주인공에게 죽는 사람이 나오는 장면이 하나도 없다. 어디까지나 직접적인 장면이 없을 뿐이지 문이나 차로 깔아뭉갠다던지 액자로 목을 그어 살해했다는 간접적인 연출은 있다. 청소년 관람 불가 치고는 잔혹한 장면도 거의 없는 편이며''' 단적인 예로 최종보스를 해치우는 것도 주먹 몇방정도 때리는 것으로 끝낸다. 다만 미성년자, 그것도 지적장애가 있는 청소년이 원조교제에 사기에 이용되거나 성폭행에 대한 지나친 안일한 묘사와[* 이 때문에 일부 영화 리뷰 유튜버들과 관객들은 은혜를 연기한 박세완 배우의 정신건강이 심히 걱정된다고 평했다.] 주인공의 분노를 자극할 목적으로 성폭력 장면이 자세하고 불필요하게 반복되는데다 문이나 차로 깔아뭉개 죽이는게 간접적이지만 불쾌하게 묘사되는 장면들 때문에 청소년 관람불가(18세 이상) 등급을 받은 듯. 무엇보다도 '''[[임달영|이러한 문제점들은 감독의 심각한 안일함에서 비롯되었다고도 과언이 아니다.]]''' [* 그렇다고 액션의 완성도와 주인공이 악인을 처단하는 과정의 쾌감이 큰 것도 아니다. 악인을 처단하는 과정을 보면서 오히려 답답함이 배가될 정도. 복수의 쾌감을 느낄 수 있도록 액션과 복수 묘사에 공을 들이고 성적인 묘사를 줄이는 게 나았을 것이다.] * 2019년 3월 초 [[넷플릭스]]에 올라왔다. 1월 1일 개봉 후 단 2개월만에 풀린 것. 그러나 2021년 10월까지만 서비스된다. == 흥행 == 제작비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손익분기점 관객수는 93만이라고 한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1,243명 || 1,243명 || 미집계 || 11,155,000원 || 11,155,000원 || ||<|7> {{{#ffffff 1주차}}} ||2019-01-01. 1일차(화) || 66,686명 ||<|7> 181,242명 || 5위 || 612,798,450원 ||<|7> 1,614,814,950원 || ||2019-01-02. 2일차(수) || 24,845명 || 5위 || 204,752,400원 || ||2019-01-03. 3일차(목) || 17,227명 || 7위 || 142,319,650원 || ||2019-01-04. 4일차(금) || 17,202명 || 7위 || 156,446,000원 || ||2019-01-05. 5일차(토) || 24,908명 || 7위 || 228,628,700원 || ||2019-01-06. 6일차(일) || 20,229명 || 7위 || 185,563,650원 || ||2019-01-07. 7일차(월) || 10,145명 || 7위 || 84,306,100원 || ||<|7> {{{#ffffff 2주차}}} ||2019-01-08. 8일차(화) || 9,043명 ||<|7> 15,203명 || 7위 || 75,101,250원 ||<|7> 127,177,600원 || ||2019-01-09. 9일차(수) || 1,416명 || 14위 || 11,539,300원 || ||2019-01-10. 10일차(목) || 939명 || 17위 || 7,456,400원 || ||2019-01-11. 11일차(금) || 967명 || 16위 || 8,497,200원 || ||2019-01-12. 12일차(토) || 1,277명 || 19위 || 11,181,850원 || ||2019-01-13. 13일차(일) || 1,086명 || 18위 || 9,547,300원 || ||2019-01-14. 14일차(월) || 475명 || 21위 || 3,854,300원 || ||<|7> {{{#ffffff 3주차}}} ||2019-01-15. 15일차(화) || 434명 ||<|7> -명 || 26위 || 3,475,750원 ||<|7> -원 || ||2019-01-16. 16일차(수) || 45명 || 60위 || 276,000원 || ||2019-01-17. 17일차(목) || 6명 || 79위 || 9,000원 || ||2019-01-18. 18일차(금) || -명 || -위 || -원 || ||2019-01-19. 19일차(토) || -명 || -위 || -원 || ||2019-01-20. 20일차(일) || -명 || -위 || -원 || ||2019-01-21. 21일차(월)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19-01-22. 22일차(화)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9-01-23. 23일차(수) || -명 || -위 || -원 || ||2019-01-24. 24일차(목) || -명 || -위 || -원 || ||2019-01-25. 25일차(금) || -명 || -위 || -원 || ||2019-01-26. 26일차(토) || -명 || -위 || -원 || ||2019-01-27. 27일차(일) || -명 || -위 || -원 || ||2019-01-28. 28일차(월)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197,213명, 누적매출액 1,749,289,250원'''[* ~ 2019/01/1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언니(이상 [[2019년]] [[1월 1일]]), [[레인보우: 나의 사랑]], [[데드풀 2|데드풀 2: 순한 맛]], [[마션 인베이션]], [[미션 이스탄불 5: 더 파이널]],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레토(영화)|레토]](이상 [[2019년]] [[1월 3일]]), [[아이스브레이커(2016)|아이스브레이커]](이상 [[2019년]] [[1월 4일]])까지 총 8편이다. === [[북미]] === [[2019년]] 연내 [[미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 개봉 예정. === [[중국]] === === [[일본]] === === [[영국]] === === 기타 국가 === == 기타 == * 본래 명칭은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오뉴월]]이었으나 변경되었다. * 임경택 감독은 지적장애를 가진 어린 여성이 장기간 마을 남성들에게 성폭행당한 실제 사건에서 모티브를 얻어 시나리오를 작업했다고 밝혔는데, 감독의 언급으로 보아 [[장흥 지적장애소녀 집단 성폭행 사건]]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 심각한 주제를 구경거리(전시거리)로 삼을만큼 안일하고 가볍게 다루었다는 비판도 있다. [[분류:2019년 영화]][[분류:한국의 액션 영화]][[분류:한국의 범죄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한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한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고어 영화]][[분류:복수물]][[분류:청소년관람불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