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스타팅 포켓몬)] [include(틀:고양이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25802><-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725_f00_s0.png|width=40]] 0725 [[냐오불]] || [[파일:icon0726_f00_s0.png|width=40]] '''0726 {{{#000,#fff 냐오히트}}}'''[br][[파일:icon0727_f00_s0.png|width=40]] '''0727 {{{#000,#fff 어흥염}}}''' || [[파일:icon0728_f00_s0.png|width=40]] 0728 [[누리공]] || ||<-3><#f25802>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FF9F40>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알로라도감 목록|{{{#FFFFFF 알로라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썬·문|SM]]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25MS.png]] 004 [[냐오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26MS.png]] '''005 {{{#000,#fff 냐오히트}}}'''[br][[파일:727스위치아이콘.png]] '''006 {{{#000,#fff 어흥염}}}'''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28MS.png]] 007 [[누리공]]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울트라썬·울트라문|USUM]]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25MS.png]] 004 [[냐오불]]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26MS.png]] '''005 {{{#000,#fff 냐오히트}}}'''[br][[파일:727스위치아이콘.png]] '''006 {{{#000,#fff 어흥염}}}'''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28MS.png]] 007 [[누리공]] || }}}}}}}}} || }}} ||<#f25802>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726 냐오히트.png|width=100%]] || [[파일:727 어흥염.png|width=100%]] || || 냐오히트 || 어흥염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FFFFFF 이름}}} || {{{#FFFFFF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726_f00_s0.png|width=40]][br]'''냐오히트''' [br] ニャヒート(냐히토) [br] Torracat || 전국: 0726[br]알로라: 005 || [include(틀:불꽃타입)] || || [[파일:icon0727_f00_s0.png|width=40]][br]'''어흥염''' [br] ガオガエン(가오가엔) [br] Incineroar || 전국: 0727[br]알로라: 006 || [include(틀:불꽃타입)][br][include(틀:악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포켓몬스터/특성#s-1.1|{{{#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ㅁ#맹화|맹화]] || 자신의 현재 HP가 전체 HP의 1/3일 때, 불꽃 타입 공격기의 위력이 1.5배 상승한다. || || *[[위협(포켓몬스터)|위협]] || 배틀에 나갈 때 상대방의 공격을 1랭크 낮춘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0726 냐오히트 || 불고양이 포켓몬 || 0.7m || 25.0kg ||<|2> 45 || || 0727 어흥염 || 힐[*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악역 레슬러를 일컫는 영단어 힐(Heel).] 포켓몬 || 1.8m || 83.0kg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87.5% [br] 암컷: 12.5% || 육상 || 15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6>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 [[포켓몬스터/진화|{{{#white 진화}}}]]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litten.gif]][br]0725 [[냐오불]] || 레벨 17[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torracat.gif]][br]0726 냐오히트 || 레벨 34[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incineroar.gif]][br]0727 어흥염 || [anchor(앵커-방어 상성)] ||<-5>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배}}} || || [[파일:icon0726_f00_s0.png|width=40]][br]냐오히트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 || || [[파일:icon0727_f00_s0.png|width=40]][br]어흥염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에스퍼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FFFFFF 포켓몬}}} || {{{#FFFFFF HP}}} || {{{#FFFFFF 공격}}} || {{{#FFFFFF 방어}}} || {{{#FFFFFF 특수공격}}} || {{{#FFFFFF 특수방어}}} || {{{#FFFFFF 스피드}}} || {{{#FFFFFF 합계}}} || || [[파일:icon0726_f00_s0.png|width=40]][br]냐오히트 || 65 || 85 || 50 || 80 || 50 || 90 || 420 || || [[파일:icon0727_f00_s0.png|width=40]][br]어흥염 || 95 || 115 || 90 || 80 || 90 || 60 || 53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726_f00_s0.png|width=40]][br]{{{#FFFFFF 냐오히트}}} || ||<#ffffff,#000000><-2><:>{{{#!HTML}}}|| ||<-2> [[파일:icon0727_f00_s0.png|width=40]][br]{{{#FFFFFF 어흥염}}}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0726_f00_s0.png|width=40]][br]{{{#FFFFFF 0726 냐오히트}}} || || 썬 ||목 주변에 불꽃의 방울이 있다. 불꽃을 뿜어낼 때 딸랑딸랑 높은 소리가 난다. || || 문 ||앞발의 힘이 자랑거리다. 펀치 한 방에 철봉도 구부러트려 버린다. || || 울트라썬 ||친해지면 트레이너에게도 응석 부리지만, 힘은 강하고 발톱도 날카롭다.[br]온몸을 상처투성이로 만든다. || || 울트라문 ||<|2>갈기가 바짝 서 있으면 컨디션이 좋다는 증거다. 상태가 안 좋으면 털이 뒤로 누워 버린다. || || 포켓몬 GO || ||<-2> [[파일:icon0727_f00_s0.png|width=40]][br]{{{#FFFFFF 0727 어흥염}}} || || 썬 ||거칠고 제멋대로인 성격이다. 기분이 내키지 않으면 트레이너의 명령도 아무렇지 않게 무시한다. || || 문 ||맹렬한 펀치와 격렬한 킥의 끝에는 [[배꼽]] 주위에서 불을 뿜어 상대를 끝낸다. || || 울트라썬 ||거칠고 제멋대로지만 약한 상대를 괴롭히는 것은 재미없어서 싫어한다.[br][[류(캡콤)|강한 상대에게 의욕을 보인다.]] || || 울트라문 ||<|2>투쟁심에 불이 붙으면 허리 주변에 있는 불꽃도 한층 격렬하게 타오른다. || || 포켓몬 GO || ||<-2><#f2580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지옥찌르기]]^^준 전용기^^, [[DD래리어트]]^^준 전용기^^ || || [[파일:Dream_Incinium_Z_Sprite.png|width=30]] [[Z기술|{{{#white Z기술}}}]] || || [[하이퍼다크크러셔]] || == 소개 == 포켓몬스터 7세대에 나온 불꽃타입 스타팅 [[냐오불]]의 최종진화형이다. 모티브는 [[호랑이]]+[[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장기에프]][* [[DD래리어트]]는 장기에프의 [[더블 래리어트]]가 모티브이다. 또한 어째서인지 [[흡혈]]을 배우는데 이것 역시 장기에프의 기본 잡기 중에 물어뜯기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예프와 어흥염을 에이스로 하는 7세대 포켓몬 박사 [[쿠쿠이박사]]는 인텔리 레슬러라는 공통점이 있다.]이며 아이들을 겉으로는 싫어하면서도 속으론 좋아한다는 설정을 봤을 때는 [[타이거 마스크]] 모티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이름의 뉘앙스는 가득염과 비슷하기도 하다.]] 악 타입이 붙고 허리의 벨트 모양 불꽃에서 불을 내뿜는 걸 보면 [[모탈 컴뱃: 데들리 얼라이언스]]의 악당 레슬러 [[슈하오]]와 [[마바도]]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슈하오는 일월도('''Sun-Moon''' Blade)라는 무기를 쓰고 무술 유파중에 레슬링이 있는 악당 캐릭터이다. 정작 악당 레슬러 기믹을 페이탈리티에 접목시켜 써먹는 캐릭터는 슈하오의 상관인 [[마바도]].] [[라이코]], [[랜드로스]](영물폼) 이후 오랜만에 추가된 [[호랑이]] 포켓몬이다. 비전설로는 최초. 불꽃 타입에 악 타입이 추가되어 [[헬가(포켓몬스터)|헬가]] 이후로 처음 등장한 불꽃/악 조합이 되었다. 또한 [[울트라비스트]]인 [[악식킹]]만을 제외하면 유일한 알로라산 악타입 포켓몬이다.[* 리전폼은 기존 포켓몬의 변형이므로 제외한다.] ||<#fff>[[파일:external/4ecf216bea9f10fa3056c6fd9e7b77a2f8a4c96f840f04d4ce3a37403563d0eb.png|width=100%]]|| 허리의 벨트 모양 털은 불꽃 그 자체로, 버클 부분에서 불을 뿜어낸다. --절대 [[음경|그것]]이 아니다.-- == 애니메이션 == [[한지우|지우]]의 냐오불이 썬&문 63화에서 냐오히트로 진화, 143화에서 어흥염으로 진화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어흥염(한지우)]]를 참고. 그리고 최종진화형인 어흥염은 [[로열마스크]]의 파트너로 나온다. 또 무인편 리메이크 극장판 [[너로 정했다!]]의 라이벌이자 인면수심 트레이너인 [[오리지널 캐릭터]] [[크로스(포켓몬스터)|크로스]]의 포켓몬으로도 등장한다. == 스토리 == ||<#f25802> {{{#FFFFFF 메인 등장 작품}}} ||[[썬문|SM]], [[USUM]] || || {{{#FFFFFF 포지션}}} ||물리공격 위주의 물리딜탱 || || {{{#FFFFFF 난이도}}} ||중(USUM), 상(SM) || || {{{#FFFFFF 장점}}} ||높은 물리공격, 무난한 자력기, 빠른 초중반 스피드, 좋은 대응폭 || || {{{#FFFFFF 단점}}} ||어려운 초반 상성, 최종 진화하면서 확 느려지는 스피드[br]물 타입 견제 불가(SM)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목탄, 검은안경 || || {{{#FFFFFF 서브 포켓몬}}} ||[[팬텀(포켓몬스터)|팬텀]]/[[무우마직]](SM), [[자포코일]], [[워글]], [[맘모꾸리]], [[에리본]][br][[로즈레이드]](SM)[br][[이상해꽃]](USUM) || || {{{#FFFFFF 대체재}}} ||[[샹델라]], [[둥실라이드]], [[무장조]], [[왕큰부리]], [[픽시(포켓몬스터)|픽시]], [[엘풍]] || 팀원만 잘 만나면 그다지 어렵지 않다. 냐오히트 시기엔 물리기술이 [[할퀴기#s-2|할퀴기]], [[핥기#s-2|핥기]], [[불꽃엄니]]가 전부이기 때문에 [[애크러뱃#s-2|애크러뱃]], [[섀도크루]]와 더불어 체력이 부족해지면 아칼라외곽에서 얻는 [[흡혈#s-4|흡혈]]로 풀, 에스퍼, 악타입 포켓몬에게서 체력 쭉쭉 뽑아내고, 어흥염 시기엔 [[플레어드라이브]], [[DD래리어트]]를 주력기술로 선택하고서 바위타입 대책으로 [[깨트리다]]나 [[지진(포켓몬스터)|지진]] 정도를 채용하면 된다. 불꽃타입과 악타입의 공격상성이 전혀 겹치지 않아서 다양한 타입을 상대할 수 있는 데다가 악타입의 약점을 불꽃타입이 대부분 보완해주어서 천적도 많지 않은 편이다.[* 물론 불안하다면 애크러뱃을 사용해도 좋다.] 그 덕분에 무리만 하지 않으면 어흥염 혼자서도 무리없이 진행할 수 있다. [[염무왕]]처럼 격투기술도 익힐수있어서 바위 포켓몬 견제도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물 타입의 약점을 찌를 기술을 전혀 배우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흔한 [[솔라빔]]을 배우지 못한다. 때문에 물 타입을 상대할 다른 포켓몬이 필요하다. 풀 타입이나 전기 타입 포켓몬을 초반에 영입하지 못하면 이후 초반에 만나는 주인 [[약어리]]가 매우 어렵게 다가온다. 그렇기에 SM에서는 엘풍이나 드레디어의 의존도도 팬텀이나 무우마직 못지 않게 높았다. 그래도 USUM에서 [[번개펀치]]를 얻었다는게 어디인가. 또한 알로라 포켓몬들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느린 스피드도 문제다. 게다가 냐오히트는 어흥염으로 진화하면서 '''스피드가 오히려 30이나 떨어진다.'''[* 울머기-누겔레온도 냐오불-냐오히트 단계까지는 스피드가 같지만 [[인텔리레온|최종 진화하면]] 다른 스타팅처럼 빨라진다.] 90의 스피드로 선공은 다 잡다가 갑자기 반대로 먼저 얻어맞기 시작하면 적응이 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주인 [[따라큐]]전에서 선공 [[치근거리기]]에 쓰러지는 등 난이도가 결코 낮지 않다. 역시 썬문에서 원탑 플레이는 안 된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는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니트로차지]]를 이용하면 커버할 수 있으나 조금 시간이 필요하다. [[루가루암]]과는 조합이 좋지 않다. 어흥염과 상성이 매우 많이 겹치기 때문에 어흥염이 상대하지 못하는 포켓몬은 루가루암으로도 상대하지 못한다. 일명 '개와 고양이' 컨셉을 맞춘답시고 루가루암을 들여왔다면 물, 격투, 땅타입에 매우 고통받을 수 있으니 반드시 풀 타입 포켓몬을 하나 더 구해야 한다. 또한 같은 개과 포켓몬인 [[가디]]와 [[헬가(포켓몬스터)|헬가]], [[루브도]], [[바랜드]], [[트리미앙]]도 마찬가지로 보완되는 요소가 별로 없다. 그나마 [[그랑블루(포켓몬스터)|그랑블루]]와는 조합이 되는 편이긴 하는데...너무 후반에 나온다. [[루카리오]]는 아예 엔딩 이후에 나오므로 논외로 하자. 오히려 어흥염과 조합이 좋은 포켓몬은 개굴닌자와 마찬가지로 주로 고스트 포켓몬으로, 팬텀, 둥실라이드, 무우마직(썬문 한정)이 어흥염과 잘 맞는다. 특히 썬문때는 무우마직이 가장 잘 맞는 편으로 할라는 격투 공격기가 무우마 앞에서 무효화되고, [[하푸우]]전에서는 부유 특성이 있어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비 고스트 포켓몬 중 궁합이 맞는 포켓몬은 에리본이 추천되는 편. 썬/문에서 너무 고전하다보니, 울트라썬/울트라문에서는 난이도가 다소 하향 되었다. [[헬가(포켓몬스터)|헬가]], [[불카모스]], 섬 스캔까지 동원하면 [[초염몽]], [[리자몽]], [[번치코]] 등의 고화력&속공형 불꽃 타입 포켓몬이 늘어나서 이 둘이 등장하는 시기에 따라 경쟁력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긴 했지만, 냐오히트가 배울 수 있는 기술 중에 [[두번치기]]가 추가되어 견제폭이 늘어나고 사천왕이 [[할라]]에서 어흥염이 상대하기 유리한 [[멀레인]]으로 변경되어 좀 더 플레이하기 쉬워졌다. 게다가 헬가는 울트라썬에서만 나오고, 불카모스는 극후반에 나오는데다 출현률도 극악이다.[* 셰이드정글 안쪽 동굴(괴력몬 푸시 필요)에서 무려 1퍼센트의 출현률이다.] 섬 스캔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이상해꽃]]을 포획하는 것이 좋다. 어흥염은 이상해꽃의 에스퍼 약점을 무효로 받고 불꽃과 얼음을 반감으로 받으며, 이상해꽃은 어흥염의 약점인 물과 땅, 바위를 모두 찔러주고 격투는 반감으로 받아준다. 나머지 한 마리는 대짱이와 엠페르트 중 하나를 골라가면 우수한 3스타팅 파티를 완성할 수 있다. 심지어 USUM에서는 SM처럼 스토리 난이도가 어렵지는 않지만, 어흥염을 스타팅으로 골랐을 경우에는 모크나이퍼나 누리레느랑 달리 울트라네크로즈마와의 보스전에서 공략이 굉장히 힘든데, 그 이유는 모크나이퍼와 누리레느는 울트라네크로즈마한테 전혀 약점을 찔리지 않지만[* 다만 포톤가이저가 날라온다, 모크나이퍼와 누리레느로 울트라네크로즈마를 깨려면 특수내구를 보정해서 한대 버틴 다음 Z기술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어흥염은 파워젬에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모크나이퍼나 누리레느랑 달리 공격을 한대 버티고 Z기술로 찌르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끼 때문이다. 여담으로, 울트라썬/문에서 스타팅으로 냐오불을 골랐을 경우 [[모크나이퍼]]와 마찬가지로 [[쿠쿠이박사]]에게 '''시련 한참 전에''' 어흥염Z를 받기 때문에 악Z의 동작을 배우기도 전에 사용하게 되는 약간의 설정오류가 존재한다. === 번외 === 투텐도나 뱅크신공 등으로 동세대 스타팅 포켓몬을 더 끌어와서 플레이 할 경우 [[누리레느]]와의 궁합이 좋다. 정확히 말하자면 누리레느가 어흥염의 보조를 받는 부분은 풀, 강철 부분이지만 어흥염 입장에서는 대부분의 약점인 땅, 격투, 바위를, 대부분의 반감점인 드래곤, 불꽃, 악을 찔러줄 수 있다는 것이 큰 메리트이다. 하지만 어흥염의 활동 무대인 알로라지방은 섬 스캔을 통해 다른 세대의 스타팅을 끌어올 수 있고, 특히 울트라썬문에서는 초중반에 1, 3, 4세대 스타팅들이 골고루 나오기 때문에 울트라썬문에서 투텐도나 뱅크 신공은 단순 스토리 난이도 때문이라면 선택 사항 수준. 일단 당장 도감을 채우고 싶어서 3스타팅 플레이를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 다만 썬문에서는 풀 타입이 정 필요하다면 나몰빼미를 끌어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울트라썬문이야 이상해꽃이나 토대부기 같은 걸출한 풀 스타팅이 있고 못해도 나무킹은 나오지만, 썬문의 섬 스캔 시 풀 스타팅은 메가니움, 샤로다로 스토리 진행에 부적합하기 때문. 하지만 이것도 엘풍/드레디어나 섬 스캔으로 로즈레이드를 포획하면 그만이나, 드레디어는 견제폭이 터무니 없이 부족하며, 로젤리아의 경우에는 섀도볼은 바로 배울 수 있고 오물폭탄도 곧 수상한 저택에서 얻을 수 있지만 에너지볼과 매지컬샤인을 얻으려면 포니섬까지 가야하며, 꽃잎댄스를 배우려고 한다면 50레벨까지 버텨야 한다. 견제폭 문제에 있어서는 모크나이퍼가 이들보다는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다. 물론 모크나이퍼 계열을 언제 끌어오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로젤리아 습득 시기는 포마을 바로 직전이기 때문에 스토리 멤버 편입 시기로는 아슬아슬한 중반이다. 1장 1단 정도로 보면 된다. 허나 스토리에서 물 견제용으로 풀 보다는 전기 포켓몬을 주로 쓰기 때문에 역시 난이도 측면에서만 보자면 섬 스캔은 선택 사항 수준이다. 그리고 모크나이퍼가 다른 대체제보다 스토리 성능이 우위이긴 하나 그렇다고 대체제들이 성능이 교환이 필요할 정도로 저열한 것도 아니다. 포켓몬 홈을 통해 냐오불을 데려와서, 소드/실드에 데려와서 스토리 멤버로 사용은 가능하다. 혹은 갑옷섬 DLC 지역에서 알로라지방의 디그다를 100마리 찾아내는 보상으로 냐오불을 얻을 수 있다[* 단, 해당 캐릭터가 고른 스타팅 포켓몬이 염버니일 때만 얻을 수 있다.]. 소드에서 사용 난이도가 실드보다 높은 편. 이는 격투 타입 채두와 바위 타입 마쿠와 때문. 다만, 실드라면 고스트 타입 어니언과 얼음 타입 멜론 모두 상성 상 우위를 점한다. 일단 실전을 목적으로 하는 포켓몬 유저들은 투텐도가 상당히 필요하기에 고려해볼 수 있는 플레이지만 라이트 유저들한테는 돈이 상당히 깨져나가는 방법이니 닌텐도를 가진 인맥이라도 있는게 아니면 추천하지 않는다. == 대전 == === 싱글배틀 === 처음에는 스피드가 느려 7세대 특유의 애매한 포켓몬이라는 평가였지만, 물리형이면서 불꽃타입이 붙어 화상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페어리타입을 만나도 크게 겁낼 것 없이 안정적으로 딜링이 가능하다. 거기다 [[철화구야]] 등 각종 강철 타입 포켓몬들을 자속 불꽃으로 잡아낼 수 있고, 짓궂은마음을 무효화하면서 에스퍼와 고스트 타입을 제압하는 악 타입의 조합, 고성능인 선공기 속이기에 전용기 DD래리어트와 [[Z기술]], 거기에 역할 파괴로 드래곤 타입마저 제압할 수 있는 [[역린(포켓몬스터)|역린]]까지 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장점으로 날뛰는 포켓몬들을 저격하는데에 특화된 녀석이다. 어흥염은 신기술 [[DD래리어트]]를 익히는데, 상대방 능력 변화에 관계없이 대미지를 주는, [[성스러운칼]]과 같은 유형의 기술이다. 위력이 85라서 [[깨물어부수기]]가 유전기로만 배울 수 있지만 전혀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모티브가 된 호랑이의 사냥 방식이 기습임에도 불구하고 [[기습#s-2]]을 배울 수가 없다. 밸런스 문제 때문인듯. 그러나 초전설을 2마리까지 투입 가능한 룰에서는 사용률이 30위권 내까지 급상했는데, 악타입에 고내구로 흑마 버드렉스 상대로 강하면서도 자시안에게도 위협이나 막말내뱉기로 부담을 주기 좋기 때문이다. 특히 메타몽이 배낀 자시안의 경우 대부분 거수참만 사용하기에 물리내구에 좀 주면 여유롭게 받으러 올 수 있다. 허나 같은 불꽃 타입이면서 위협을 지닌 윈디의 존재로 인해 윈디랑 비교하면 악 타입이 붙어서 견제해야 할 따라큐에게 강하게 가지 못하고, 윈디로 카운터칠 수 있는 에이스번과 자시안에게 약하다. 또 더블에서는 체감하기 힘들었던 회복기의 부재,낮은 스피드로 인해서 싱글에서의 채용률은 더블에 비해 낮은 편이다. === 더블배틀 === 위협 특성이 풀린 이후 '''더블배틀의 신'''으로 등극했다. 고양이과인 호랑이인데다가 최종진화에 악 타입이 추가되므로 [[속이기]]([[나옹]]에게서 유전)를 배운다. 스피드가 느리지만 대신 공격이 높고 체력/방어/특방이 준수하다. 불꽃/악 타입이어서 [[도깨비불#s-3]]도 통하지 않으며 벌레와 페어리를 1배로 완화시켜준다. 거기다가 숨겨진 특성은 새로운 특성을 얻은 나머지 스타팅과 달리 기존의 위협인데, 캐릭터에도 어울리면서도 물리 내구를 향상시킬 수 있어 큰 활약을 해줄 수 있는 특성이다. 또한 [[카포에라(포켓몬스터)|카포에라]], 숨특 [[곤율거니]]와 함께 위협+속이기의 조합이 가능하며, 이 조합이 가능한 포켓몬 중에서는 공격 종족값이 가장 높다.[* 곤율거니 90, 카포에라 95.] 결국 2018년 3월 8일에 [[포켓몬뱅크]]를 통해 위협 특성이 해금되었다. 예상대로 위협 특성이 해금되자마자 주가가 급상승해서 [[더블배틀]]의 TOP 3 이내로 드는 기염을 토했고, [[랜드로스]] 영물폼을 넘어 1위를 차지했다. 다른 위협요원에 비해 월등히 높은 딜량도 당연히 장점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희소가치가 있는 우수한 타입 상성과 위협 + 속이기 + [[탁쳐서떨구기]]의 조합으로 판을 짜주는 유틸성이기에 심지어 초전설전인 WCS 19에서도 사기 포켓몬인 [[제르네아스]]보다도 높은 채용률을 보였며, 시즌 13에는 [[가이오가]] 바로 다음인 2위를 차지하였다. 물 타입의 가이오가에게 약점을 찔린다는 점을 감안해서라도 어흥염 특유의 유틸성이 엄청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주력기는 [[플레어드라이브]]와 전용기인 DD래리어트가 있다. 또한 기술가르침으로 탁쳐서떨구기 등 유용한 기술을 익힐 수 있다. 그 외 기술로는 자력기에 역린, [[크로스춉]] 등이 있으며, 기술머신으로 [[지진(포켓몬스터)|지진]], [[유턴(포켓몬스터)|유턴]], [[섀도크루]], [[애크러뱃#s-2|애크러뱃]] 등을 배우므로 바위 타입 기술을 못 배우는 것 정도를 제외하면 아쉬울 건 없다. 화력이 부족하면 [[벌크업#s-2|벌크업]], [[칼춤(포켓몬스터)|칼춤]] 중 골라서 쓸 수 있다는 건 덤이다. 내구형으로 굴린다면 위협 특성과 돌격조끼, 혹은 도깨비불을 조합할 수 있겠지만, 단점은 [[아침햇살#s-3|아침햇살]]을 배우는 [[윈디(포켓몬스터)|윈디]]와는 다르게 자체 반피 회복기가 없다. 물론, 어흥염이 주로 쓰이는 더블배틀에서는 반피열매의 회복량으로도 충분하다. 덤으로 명색이 레슬러인지라 격투기술을 꽤 많이 배우는데, 이중에는 유전기 [[리벤지#s-3|리벤지]]도 들어있다. 또한 기술 가르침으로 [[번개펀치]]도 배울 수 있다. 울트라썬문부터 [[악비아르]]와의 교배로 [[기어오르기]]를 배울 수 있게 되었다.[* 8세대에서는 [[모르페코]]와의 교배를 통해 배울 수 있다.] 8세대에서는 소위 '반피 열매'라고 불리는 회복 열매들의 회복량이 1/2→1/3으로 하향받았고, 전작까지 위협 특성이 너무나 강력했던 이유로 정신력, 둔감, 마이페이스, 배짱 등의 특성에 무시하도록 간접 하향을 받았다. '미러아머'로 위협을 받아치는 [[아머까오]] 등의 포켓몬의 등장 또한 영향이 작은 편이 아니다. 하지만 [[부란다]]나 [[폭슬라이]]와의 교배로 [[막말내뱉기]][* 프로레슬링에서 악역 선수의 역할 중 하나가 관중석을 향해 욕설을 하는 것이다.]를 배울 수 있게 되어 여전히 위협 서포터로 강력하고, [[인파이트]] 등 공격기도 습득할 수 있게 되어 약점보험 내지 화력 보정 도구를 장착하고 다이맥스 어태커로 써먹어도 유용하다. 막말내뱉기로 [[브리무음]]을 역으로 쫓아내는 그림 또한 종종 나온다. 그리고 숨겨진 특성 해금 후 사용률 1위가된 [[고릴타]]를 위협과 상성으로 확실히 카운터 쳐줄수 있기에 결국 더블배틀에선 고릴타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사용률 2위, 이후 14시즌 초반에는 다시 1위를 탈환하였다. 참고로 이렇게 고릴타와 경쟁을 벌였던 어흥염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어흥염과 고릴타의 조합은 굉장히 궁합이 잘 맞는다'''. 어흥염의 약점인 땅, 물 타입을 고릴타가 안정적으로 받아주고, 그래스슬라이더를 통한 어흥염의 약점인 바위, 땅, 물타입을 견제함과 동시에 메이저한 땅타입 기술인 지진을 그래스필드로 반감시켜준다. 어흥염의 입장에선 고릴타의 약점인 불, 얼음, 벌레타입을 받아줄 수 있고, 서로 속이기, 교체기, 유용한 보조기를 배우기 때문에 유연하게 배틀상황을 이끌어 나갈 수 있어 대처를 잘못했다가는 계속해서 들어오는 속이기와 랭크다운에 게임이 터진다. 그리고 더블배틀에서 어흥염이 [[질투의불꽃]]을 배우는 것을 이용하여 특수형 서포터 어흥염이라는 변종이 등장했다. 위협특성으로 물리형 포켓몬의 화력을 낮추면서도 [[바크아웃]]으로 특수형 포켓몬의 화력도 낮추고, [[속이기]]를 통한 변화기 견제와 물리형 다이맥스 포켓몬을 화상으로 카운터칠 수 있는 질투의불꽃을 사용하는 형태로 화력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물리스위퍼를 카운터 칠 수 있고, 맞위협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데다 교체 대신 [[막말내뱉기]]로 빠지면서 상대방의 화력을 낮추는 식으로 운용하는 전법이다. 어차피 화력보다는 상대를 무력화하는 용도로 쓰이지만, 특수공격도 80이면 어태커라고는 못해도 아주 낮지는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대미지도 들어간다. 물론 특공이 60에 스피드가 80이면 더 좋았을 수도 있지만, 오히려 반드시 채용되는 기술인 속이기는 선공기라서 스피드에 큰 영향이 없고 막말내뱉기가 늦게 발동된다는 점을 역이용하여 '''안정적인 후발주자 등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도리어 어중간하게 빠른 것보다 나을 때가 있다. 이처럼 어흥염이 유독 더블배틀에서는 싱글배틀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뽐내는 이유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기존 위협몬인 랜드로스랑 달리 4배 약점이 없고 약점타입중 물타입을 제외하면 물리기위주라 위협으로 약점에 찔리더라도 약하게 맞는다는 점. * 더블배틀에서 자주 등장하는 특성 [[짓궂은마음]]의 효과를 무시할 수 있는 [[악 타입]]이면서 페어리 타입에 약하지 않다는 점. * [[속이기]], [[유턴]], [[막말내뱉기]] 등 보조와 대면 조작에 유용한 기술을 다수 배워 어떤 파티에서도 범용성 있는 활약이 가능하다는 점. 이러한 이유들로 현재까지도 어흥염이 더블배틀에서 반드시 1번 이상은 사용률 1위를 달성하며 심지어 초전설전에서조차 날뛰기도 한다.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흥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Pokémon GO]] == ||<-12>
'''727 어흥염''' || ||<-12> [[파일:pokemongo_727.png]] || ||<|3><-2> 명칭 || 한국어 ||<-9> 어흥염 || || 영어 ||<-9> Incineroar || || 일본어 ||<-9> ガオガエン || ||<-2> 분류 ||<-4> 힐 포켓몬 ||<-2> 타입 ||<-4> [include(틀:불꽃타입)][include(틀:악타입)] || ||<-2> 몸무게 ||<-4> 83㎏ ||<-2> 키 ||<-4> 1.8m || ||<-2> 설명 ||<-10><(> 투쟁심에 불이 붙으면 허리 주변에 있는 불꽃도 한층 격렬하게 타오른다. || ||<|2> 기술 || 일반 ||<-10> * [include(틀:불꽃타입)] [[불꽃엄니]] (12) * [include(틀:악타입)] [[바크아웃]] (12) * [include(틀:격투타입)] [[두번치기]] (10) || || 특수 ||<-10> * [include(틀:악타입)] [[악의파동]] (2차징, 80) * [include(틀:불꽃타입)] [[불대문자]] (1차징, 140) * [include(틀:불꽃타입)] [[니트로차지]] (3차징, 70) || ||<-2><|2> 종족치 ||<-3> 공격 ||<-3> 방어 ||<-4> 체력 || ||<-3> 214 ||<-3> 175 ||<-4> 216 || ||<|2><-2> 획득 방법 ||<-8> 진화, 리서치, 알 || ||<-8> ★★★★★ || ||<-2> 포획률 ||<-10> 5% || ||<-2> 색이 다른 포켓몬 ||<-2> 없음 ||<-8><#fff,#191919> [[파일:pokemongo_727s.png|width=160px]] || 2022년 3월 1일부터 알로라 이벤트로 다른 스타팅, 콕코구리, 영구스, 짜랑꼬, 큐아링(하와이 한정)과 함께 야생으로 등장한다. 최대 CP는 40레벨 2996. 전체적으로 배틀에 최적화된 기술배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악 타입과 불꽃타입으로 통일이 가능하다. 각 타입별 2티어 정도 성능에 [[두번치기]] 또는 [[바크아웃]]을 이용한 빠른 차징과 [[니트로차지]]의 공격력 버프가 시너지를 발휘하기 때문에 마땅한 배틀용 포켓몬이 없을 경우 의외로 상당한 활약을 할 수 있다. 특히 [[바크아웃]]과 [[불꽃엄니]] 모두가 메타그로스를 저격해서 비슷한 cp의 [[메타그로스]]를 상대로 잘 활약할 수 있다. 2022년 9월 밸런스패치를 통해 쓸만한 격투타입 노말어택인 [[두번치기]]를 받았다. == 기타 == *[[포켓몬스터 썬문]] 발매 전 어흥염을 비롯한 스타팅 최종진화체들의 설정화가 [[http://blog.naver.com/iceposs2000/220777276482|유출]]된 적이 있다. 본래 루머라고 여겨졌던 시절 이미지를 자세히 보면 냐오불 최종진화 옆에 공개된 캡틴 중 한명인 [[마오(포켓몬스터)|마오]]가 보여서 루머가 아닌 유출일 확률이 높았었다. 그 후 데이터를 유출한 결과, 위 최종진화 모습은 사실로 밝혀졌고 후에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다른 둘과 달리 대표 아트워크의 포즈가 유출 설정화에 나오지 않은 새로운 포즈다. *공식 설명문에 따르면 약한 포켓몬이나 어린이가 다가오면 [[츤데레|냉대하는 듯 하나 내심으론 기뻐하고 있다고 한다.]] 자기보다 약하거나 상처입은 포켓몬이랑 싸울 때에는 주저하기도 한다고 한다. 악역 레슬러가 모티브고 악타입도 가졌지만 근본은 선하다는 갭 모에 설정으로 보인다.[* 실제 프로레슬러들도 각본상으로는 악역일뿐, 실제로는 좋은 성격을 가진 선수들이 많다. 각본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 기믹이라면, 각본이 아닌 실제 모습은 케이페이브로 구분된다.] *종족값은 전체적으로 3세대 [[스타팅 포켓몬]]인 [[대짱이]]와 비슷하다. HP가 대짱이가 좀 더 높은 것을 제외하면 방어, 특수방어, 스피드는 서로 동일한데, 어흥염의 공격에서 5를 특공에 옮기면 완전히 대짱이와 같아진다. 또, 3단 진화형이면서 최종진화 시 [[마임꽁꽁|스피드가 30 이상 떨어지는]] 몇 안 되는 포켓몬이며, 스타팅 포켓몬 중에서는 유일하게 진화 시 스탯이 떨어지는 포켓몬이다. *다만 스토리 진행 난이도는 대짱이보다 어흥염이 훨씬 어려운데, 방어상성이 상대적으로 나쁘고 SM/USUM이 ORAS보다 난이도가 어려워진 점도 있다. 게다가 풀 타입 체육관이 없는 ORAS에 반해 SM/USUM은 [[할라]], [[라이치(포켓몬스터)|라이치]], [[약어리]]&[[깨비물거미]], [[짜랑고우거]] 등 스토리 진행 중 거쳐야 하는 시련에서 약점을 찔릴 일이 많은 편이다.[* [[따라큐]]의 경우 불꽃이 페어리를 반감해서 실질적으로 1배 대미지를 입지만 빠른 스피드와 높은 공격 때문에 [[치근거리기]] 한 방에 쓰러지기 쉽다.] 그 외에는 8세대부터는 둘 다 [[DD래리어트]]를 배울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도 초반에 자주 나오는 [[벌레타입]] 포켓몬들[* [[턱지충이]], [[캐터피]], [[레디바]], [[페이검]] 등.]을 불꽃타입 기술로 손쉽게 처치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벨업 노가다가 수월한 면도 있다. *특공과 스피드가 낮다는 점을 제외하면 [[윈디(포켓몬스터)|윈디]]와도 비슷하다. 반피 회복기를 배운다는 점과 위협 특성 의존도가 낮다는 점, 특수 딜러로도 쓸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윈디가 우위를 보이고 내구가 조금 높다는 점과 속이기와 막말내뱉기, 유턴, 질투의불꽃 등을 배워 교란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 악 타입에서 오는 유틸성에서는 어흥염이 우위다.[* 다만 그 악 타입때문에 방어 상성은 안 좋아져서 싱글 배틀에서는 윈디보다 평이 낮아졌다. 7세대에서는 따라큐 상대로 윈디보다 불리하고, 8세대에서는 에이스번/자시안이라는 싱글 최상위 포켓몬에게 카운터로 작용하는 윈디랑 달리 어흥염은 각각 무릎차기/인파이트 두어대 맞고 날아간다.] *외형상 이족보행형의 근육질인 것도 그렇고, 대놓고 [[프로레슬러]]인 [[타이거 마스크]]가 모티브인지라 또 불/격투 타입이 되는 것이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다행히[* 다른 타입과 다르게 불꽃타입은 이중 타입([[번치코]], [[초염몽]], [[염무왕]])이 동일한 포켓몬이 3세대 연속으로 나온 탓에 불꽃/격투라는 말만 들어도 진절머리를 내는 팬들이 많다. 오죽하면 정식 신작에서 등장하는 신규 불 포켓몬이 공개되면 '불꽃/격투' 아니냐는 반응이 심심찮게 나올 정도.] 팬덤의 예상을 뒤엎고 불꽃/악 타입이 되었다. 이는 타이거 마스크가 원래 '''악역 레슬러''' 기믹을 가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쩌면 원래는 격투 타입으로 설정되었다가 불/격투 스타팅이 너무 많아서 변경된 것일지도 모른다. 물론 타입 자체와 별개로 격투가 컨셉이라는 건 바뀌지 않았다.[* 웃기게도 레슬러라는 것 하나 때문에 세레비넷 강의에 나온 기술배치에는 [[존 시나|어흥존시나염(InCENAroar)]]이라는 배치도 존재한다. 플레어드라이브/DD래리어트/흡혈/크로스춉 or 지진 or 역린] *[[포켓리프레]]에서 냐오히트는 이마의 깃을 만져주면 좋아하고, 다리를 만지면 싫어한다. 어흥염은 반대로 이마를 만지면 싫어하고 상완을 만져주면 좋아한다. 그리고 각각 목의 불구슬/허리의 불꽃 벨트를 만지면 화상을 입는다. *디자인은 꽤 괜찮은 편이지만, 마초스러운 디자인이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냐오히트까진 귀여운 고양이 포켓몬이지만, 최종진화시 우락부락한 마초로 역변해버리는 것에서 실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싫어하는 사람은 [[염무왕]]과 같이 함께 싫어하는 반면 [[수인러]], [[Yiff]] 같은 데서 동기 스타팅들보다도 더욱 빠르게 팬아트가 그려질 정도로 대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동양보단 서양 팬덤의 반응이 좋다. 레슬러 + 근육질 + 호랑이 수인 등 히트칠 만한 요소들이 한가득이기 때문에 원본에 비해 엄청나게 근육이 우락부락하게 그려지거나 아예 프로레슬러 복장을 입히는 경우가 많다.[* 위에서 보다시피 어흥염의 공식 영문명은 'Incineroar'인데, 데이터 추출로 이미지가 처음 밝혀졌을 때는 어째선지 'Beltigre'라는 임시 명칭으로 불리더니 이 이름으로 [[Danbooru|단부루]] 계통과 이미지 보드 사이트에 태그가 만들어졌을 정도다.] 또한 한국 한정으로는 [[던전앤파이터]]의 [[카쉬파/조직 구성#흑호 그라골|흑호 그라골]]이랑도 비슷하다. 달려있는 벨트도 거의 흡사한 편. *2차 창작에서는 어흥염과 같이 역변하는 진화루트와, 비슷한 느낌의 디자인을 가진 브리가론 또는 붉은 계열 컬러링, 우락부락한 디자인에 같은 7세대에 나온 [[매시붕]]과 엮이는 그림이 많이 보인다. 동일하게 프로레슬러가 모티브인 [[루차불]]과 엮여서 레슬링 대결을 벌이는 그림도 많다. 9세대 스타팅 중 똑같이 고양이과 동물을 모티브로 한 [[마스카나]] 계열이 나온 후 마스카나와 엮이는 그림도 자주 보이는 편. *진화하면서 눈동자 색깔이 바뀐다. 냐오불은 빨간색, 냐오히트는 주황색, 어흥염은 초록색 내지는 청록색 순으로 바뀌게 된다. *2018년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 참전이 확정된 이후, [[구글 번역]]으로 한국어 이름인 어흥염을 영어로 [[https://www.youtube.com/watch?v=luAIHadAdpg|번역]]하면 '''Ejaculation Salt([[사정(생물)|사정]]염)'''이라고 [[오역]]된다는 게 [[https://www.reddit.com/r/smashbros/comments/9v7gs0/apparently_if_you_go_to_the_korean_version_of_the/?sort=old|해외]]에서 알려져서 뜬금없이 [[밈(인터넷 용어)|밈]]이 되기도 했다. "Ejaculation"에 외침, 고함이란 의미도 있기 때문에 일어난 일. 심지어 [[69(성적 은어)|69]]번째 파이터이기 때문에 각종 [[섹드립]]의 필수요소로 자리잡았다. [[어반 딕셔너리]]에 이 단어가 [[https://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Ejaculation%20salt|등재]]되었다. *일본에는 어흥염의 마초스러운 최종진화에 실망한 팬이 많기 때문이었는지 같은 고양이 포켓몬인 9세대의 스타팅 포켓몬 [[나오하]]가 나오자 '''나오하 일어서지마라(ニャオハ立つな)'''라는 밈이 등장하기도 했다. 결국 나오하도 섰지만(...)[* 나오하는 첫 번째 진화에서 바로 이족보행이 된다.] 최종진화형이 날씬한 쾌걸 조로 느낌으로 나와 어흥염을 비판한 팬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었다. [include(틀:2020 포켓몬 데이 총선거 알로라)] 2020 POTY 총선거에서 알로라 부문 6위를 기록했다. == 관련 문서 == * [[스타팅 포켓몬]] * [[사기 포켓몬]]([[더블배틀]]) [[분류:7세대 포켓몬]][[분류:스타팅 포켓몬]][[분류:불꽃타입 포켓몬]][[분류:악타입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