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까운 날짜를 나타내는 표현)] [목차] [clearfix] == 개요 == 지나간 하루 전의 날. 지나간 [[과거]]를 의미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제 하지 못한 일, 실수 한 일 등을 후회하고는 한다. 하지만 어제도 하루 전일 뿐, 이미 지나간 날이다. 즉, 되돌릴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러니 어제의 일에 너무 신경쓰고 후회하지 않도록 하자. 어떤 사람들은 [[이불킥|어제의 일은 기억하기도 싫어하고 잊으려고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단어의 변천 == [[오늘]], [[내일]]과 같이 기본 어휘에 해당하는 단어인데, 시대에 따라서 그 형태가 약간 달라졌다. [[북송|송나라]] 사신인 손목(孫穆)이 [[고려]]로 방문하여 고려어 단어를 기록한 《[[계림유사]](鷄林類事)》에서는 "어제를 흘재라고 한다(昨日曰訖載)"라는 기록이 등장한다. 실제 발음은 '''글재''' 혹은 '''흘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와 현재의 발음인 '어제'와는 첫 음절에서 차이를 보인다. [[http://gil092003.egloos.com/9870306|#]] 다만 [[조선]] 중기의 인물인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는 [[계림유사]]의 단어 중 40개가 실려 있는데, 여기서는 訖載(흘재)가 아닌 '''於載(어재)'''로 기록되어 있어서 고려시대에도 지금과 어형이 비슷했을 수 있다. 물론 수록 당시의 언어를 반영하여 형태를 조금 수정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명칭 == ||<-2> '''{{{#ffffff 나라별 어제의 표기}}}''' || || [[한국어]] || 어제[*고유어][* [[표준국어대사전|『표준국어대사전』]] 기본 표제어], 어저께[*고유어], 작일([[昨]][[日]])[*한자어] || || [[영어]] || yesterday || || [[일본어]] || [[昨]][[日]](きのう[*고유어], さくじつ[*한자어][* 조금 더 격식 있는 표현이다.]) || || [[중국어]] || [[昨]][[天]](zuótiān)[*주로], [[昨]][[日]](zuórì)[*드물게][* 옛날에 쓰던 표현이다.], [[昨]][[儿]](zuór)[*방언] || || [[프랑스어]] || hier || || [[스페인어]] || ayer || || [[독일어]] || gestern || || [[베트남어]] || ngày hôm qua || || [[몽골어]] || өчигдөр || || [[라틴어]] || hĕri || || [[러시아어]] || вчера || || [[스웨덴어]] || igår || || [[이탈리아어]] || ieri || [clearfix] == 관련 문서 == * [[내일]] * [[오늘]] * [[과거]] * [[Yesterday]] * [[어제 작가]] [[분류:날짜]][[분류: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