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우홍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width=40]] '''1949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s-2]] MVP''' || ---- [include(틀:LG 트윈스 감독)]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감독)] ---- ||<-5> '''[[MBC 청룡|{{{#ffff00 MBC 청룡}}}]] {{{#ffff00 등번호 50번}}}''' || || 팀 창단 || → || '''어우홍(1984~1985)''' || → || 김성일(1990~1992) || ||<-5> '''[[롯데 자이언츠|{{{#red 롯데 자이언츠}}}]] {{{#red 등번호 70번}}}''' || || 결번 || → || '''어우홍(1988~1989)''' || → || [[김진영(1935)|김진영]](199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79/2012/07/09/20120709154606_09154327506000_61000080_0.jpg|width=100%]]}}} || ||<-2> {{{-2 {{{#gray 2012년 7월 9일 제 10구단 창단을 위한 역대 프로야구감독 기자회견[* 바로 뒤의 인물은 [[강태정]] 전 [[태평양 돌핀스]] 감독]}}} }}} || ||<-2> '''{{{+2 어우홍}}}[br]魚友洪 | Eoh Woo-Hong''' || ||<|2> '''출생''' ||[[1931년]] [[5월 19일]] ([age(1931-05-19)]세) || ||[[경상남도]] [[부산부]] (現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1931~1945^^[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1948~^^ || || '''학력''' ||[[동래고등학교 야구부|동래중학교]] {{{-2 (졸업)}}}[br][[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학교]] {{{-2 (학사)}}} || || '''현직''' ||학교법인 [[영동고등학교(서울)|해청학원]] 이사장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소속팀''' ||[[한국전력공사 야구단|남선전기]][br][[대한민국 해군]](1957~1959)[br][[한국전력공사 야구단|남선전기]][br][[한국전력공사 야구단|한국전력]](1961~1964)[* 1963년부터 1964년은 플레잉 코치] || || '''지도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1981~1983)''' [br][[MBC 청룡]] 감독(1984~1985) [br][[롯데 자이언츠]] 감독 (1988~1989)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야구 감독이자 일선에서[* 다른 야구 원로들중 어우홍과 동갑인 [[이용일]]도 생존해 있지만 인터뷰만 가끔씩 응하고, 어우홍 감독처럼 일선에서는 잘 활동하지 않는다.] 활동하는 한국 야구 최고 원로.[* [[윌리 메이스]]와 동갑이다.] == 선수 경력 == 1940년대 말부터 1950년대 초까지 고교야구계를 풍미한 투수였다. 당시 [[동래고등학교 야구부|동래중]][* 당시에는 중학교가 5학년까지 있었다. 현재의 교육 과정과는 조금 다른셈. [[최용수]]가 나온 축구부로 유명하지만, [[박정태]], [[문동환]], [[박지철]]의 모교다. 1998년을 끝으로 야구부는 해체되었다.]의 에이스로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중]]의 에이스 [[장태영]]과 자웅을 겨루던 투수였다. 다만, 장태영의 경남중이 좀 더 전력이 강했기 때문에 우승 자체를 차지한 적은 많지 않았다. 1949년 [[황금사자기]] 준우승이 그가 졸업반일 때 거둔 성적이다. 당시 최우수선수였으니 대단하기는 했지만. 본인의 말에 따르면 역회전 볼과 컨트롤이 좋은 투수였다고 한다. 그의 5형제 중 3명이 야구 선수로 활약했을 정도로 야구 가족으로 이름도 날렸다. 그 뒤 성균관대를 졸업하고, 남선전기-[[한국전력공사 야구단|한국전력 야구팀]] 소속으로 실업야구에서 활약하면서 경력을 이어갔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에는 아마 야구 팀과 실업 야구 팀 감독을 맡으면서 후배 양성에 주력했다. 이 당시에는 실업팀 생활을 하면서 감독직을 병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기도 했지만. [[개성고등학교 야구부|부산상고]]와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한국전력, 동아대 감독을 두루 역임했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1년|1981년 대륙간컵 감독]]으로 취임해서 이듬해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1982년|1982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야구선수권에서 한국의 우승]][* 이는 지금까지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가 기록한 이 대회 유일한 우승이다.][* 한국 야구 대표팀의 첫 국제대회 우승은 [[최동원]], [[김재박]]이 주축으로 활약했던 1977년 니카라과 대륙간 컵.]을 이끌며, 일약 명장으로 추앙받았다. 그 해 세계야구연맹이 선정한 올해의 감독상에 이름을 올렸으니, 명성이 대단했을터. 이 당시의 에피소드로 입술을 털려고 손을 올린 것이 스퀴즈 싸인으로 잘못 받아들여져서, [[김재박]]이 개구리번트로 득점에 성공한 일화는 유명하다. 이듬해인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한 후, [[MBC 청룡]]의 끈질긴 제의를 수락, 1984년에 감독에 부임한다. 그러나 프로 감독으로서는 썩 성공한 편이 아니다. [[MBC 청룡]] 감독 첫 해였던 1984년은 중위권에 머물렀고 1985년 전기리그는 하위권을 맴돌아[* 2020년 한화 이글스와 함께 유이하게 18연패를 기록하며 부동의 꼴찌가 된 [[삼미 슈퍼스타즈]]가 있었던 덕분에 꼴찌를 면했을 뿐이다. 그 18연패를 깨준 팀도 자신이 이끌던 MBC였다. MBC의 당시 전기리그 성적은 24승 31패로 6개 팀 중에 5위였다.] 결국 취임 후 1시즌 반 만에 해임되었다. 1988년 새롭게 부임한 고향팀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팀 전력의 핵심인 [[최동원]]이 [[선수협]] 결성과 연봉 문제([[최동원 90만원 사건]]) 때문에 [[프런트]]와 갈등을 빚으며 합류가 늦어지면서 시즌을 망치게 된다.[* 이 당시 [[최동원]]과 [[프런트]]의 갈등에는 프런트에서 상이군인인 최동원의 아버지를 비하했다는 것이 전해지면서 비롯된 감정싸움이 컸다. 여기에 최동원도 당시 프런트의 책임자였던 박종환 전무를 그 사람이라 호칭했는데, 박종환 전무가 최동원의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선배라는 점에서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이 때 수습방안으로 나온 것이 소위 박종환 전무의 반성문. 아이러니한 것이 이 아이디어는 어우홍이 최동원의 아버지에게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이종남의 이중노출 中 : 고인이 된 이종남 기자의 증언인데, 실제 여부는 알 수 없다. 이종남이 훗날 박동희에게서 보이는 것처럼 은근히 자기 과시가 심한 인물이기도 하고.) 그러나 이게 더 감정싸움을 부추기면서 최동원은 결국 시즌이 다 지나서야 합류한다. 결국 화해하기는 하지만, 이로서 최동원과 롯데 구단의 관계는 돌이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1989년에 바로 [[삼성 라이온즈]]로 트레이드. [[윤학길]], [[김민호(1961)|김민호]] 같은 선수들을 중용하면서 세대교체를 시도했지만, 롯데의 흐트러진 분위기를 추스리는데는 실패한다. 결과적으로 2년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 야구 원로로서 == 그 뒤, 야구 원로 모임인 [[일구회]]를 창립, 초대 회장에 오르고, KBO 보좌역과 야구 해설[* 1998년 [[선동열]], [[이종범]]이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했을 때 OSB(국내 일본방송 전문 위성 채널)에서 일본프로야구 해설을 맡았다. 그 이후로도 일본프로야구나 고교야구 등에서 해설위원으로 간간히 나왔다.] 등을 하다가 현재는 은퇴한 상황이다. 아직도 그를 따르는 사람이 많고, 야구 원로로 대접받고 있다. 야구자문원로위원회에 이름을 올려놓은 상황. [[영동고등학교(서울)|영동고등학교]] 재단인 해청재단 이사장으로 있다. 2014년 [[최동원 상]] 선발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2018년 한국시리즈#s-4.1|2018년 한국시리즈 1차전]]의 시구자로 선정되었다. [[2014년 한국시리즈#s-4.5|2014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시구한지 4년만이다. == 여담 == * [[허구연]] 해설위원 경우, [[1980년대]] [[MBC 청룡]]의 감독 제안을 받았을 때, 은사의 자리를 뺏어 감독의 자리에 오르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고 반문했다고 한다.[[https://youtu.be/mpq9OlXF4aw?t=402|#]] 지금도 [[스승의 날]]이면 [[허구연]] 해설위원은 어우홍 감독에게 고마운 선배이자 스승이라고 언급한다. 야구 기술뿐만 아니고 야구 외적으로 조언을 많이 준 덕분에 지금도 감사하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category=kbo&tab=&listType=game&date=20190515&gameI=20190515SSOB02019&teamCode=&playerId=&keyword=&id=540786&page=1|영상 자료]] * 동생 어지홍(魚之洪)도 야구선수로 뛰었으나 병으로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 조카 손녀딸인 제인 어(Jane Uh)도 야구선수로 [[고양 원더스]] 트라이 아웃에 지원하기도 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다. [[연천 미라클]]에 선수로 속해 있었지만 선수 명단에 들어갔다 빠졌다를 반복했으며 독립리그 대회에 공식적으로 출전한 적은 없었다. 일종의 마케팅용으로 데리고 있었던 듯. * [[영동고등학교(서울)|영동고등학교]]의 개교일 기념행사에도 매년 참석한다. 이름이 워낙에 특이하기에 처음 듣는 학생들은 웃음 죽이기 바쁘다고(...). * 부산상고 감독 시절 제자가 [[김응용]]이었다. * 팬서비스에 관한 인식이 남달라서 MBC청룡 감독 시절에 어린이들이 선수들에게 사인요청을 하면 반드시 다 해주고 가라고 하던 감독이었다. 그가 감독으로 활동했던 프로야구 초창기에는 지금보다 선수들의 팬서비스 인식이 희박했지만, 아이들에게 싸인 안 해주면 나쁜 놈들이라며 선수들에게 꼭 사인을 하게 해 주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한국전력공사 야구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31년 출생]][[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한국전력공사 야구단/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역대 감독]][[분류:롯데 자이언츠/역대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동래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