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화 관련 정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어사일럼(영화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목버스터)] [목차] == 《트랜스모퍼》 == [[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0802210938580107000001070100-001.jpg]] 《[[트랜스포머]]》 실사영화의 짝퉁. 이건 2까지 나왔으며 2의 부제는 《Fall of Man》. 예고편만큼은 상당히 그럴싸하며, 국내 영화 케이블TV에서도 가끔 틀어주는 모양. 물론 퀄리티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최근에는 3편도 출시된 모양 == 《다 빈치 트레져》 == [[파일:external/pds.joinsmsn.com/htm_200802210938580107000001070100-002.jpg]] 《[[다빈치 코드]]》와 《[[내셔널 트레져]]》를 뒤섞은 영화. == 《킹 오브 더 로스트 월드》 == [[파일:external/www.yuppiepunk.org/kong.jpg]] ~~킹콩 표정이 참 묘하다~~ 《[[킹콩|킹 콩]]》과 《[[잃어버린 세계(영화)|잃어버린 세계]]》를 합쳐서 베꼈다. 여기서는 이상하게 [[드래곤]]이 등장한다. == 《아이 엠 오메가》 == [[파일:external/www.blastr.com/MockbustersOmega.jpg|itok=xG3o_Nn7]] 《[[나는 전설이다]]》와 《[[오메가맨|오메가 맨]]》(원작은 같다)을 철저히 합쳐서 베낀, 《나는 오메가》. 할리우드 판 《[[크라잉 프리맨]]》의 [[마크 다카스코스]]를 주연으로 했다. == 《몬스터》 == [[파일:external/www.yuppiepunk.org/monster.jpg]] 《[[클로버필드]]》를 베낀 《몬스터》. 이쪽도 핸드 헬드는 많이 쓰지만, 굉장히 조잡해서 사실감(?)이 더 강하다? == 《에일리언 vs 헌터》 == [[파일:external/store.theasylum.cc/62-2.jpg]] 《[[에이리언 VS. 프레데터]]》의 목버스터. == 《[[아서 코난 도일]] 경의 [[셜록 홈즈]]》 == [[파일:external/store.theasylum.cc/95-2.jpg]] 국내에서는 셜록 홈즈: 비밀의 열쇠라는 작품 명으로 공개했다. [[셜록 홈즈]] 영화인데 '''[[공룡]]'''이 나온다.(...)[* 코난 도일이 [[잃어버린 세계|공룡 나오는 소설]]을 쓴 적이 있긴 하다. 만약 노린거라면 셜록 홈즈 외에도 코난 도일의 다른 작품을 섞은 셈.] 배우 가레스 데이비드 로이드는 이후 닥터후 스핀오프 시리즈 [[토치우드]]에서 [[얀토 존스]] 역할을 맡게 된다. 참고로 영화 줄거리는 1940년, 독일군 공습으로 불타는 런던의 모습을 보며 상심에 빠진 늙은 모습의 [[존 왓슨]] 박사가 젊은 날의 친구였던 셜록홈즈에 대한 이야기를 간병인에게 받아 적게 하면서 시작하는데, 왓슨은 설정 상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10년 전인 1929년에 사망했다. ~~셜록 홈즈 영화를 찍기 전에 셜록 홈즈 시리즈를 한 번이라도 읽기는 했는지 의심이 간다.~~ == 《메가 피라냐》 == [[파일:external/store.theasylum.cc/100-2.jpg]] 《[[피라냐]]》의 파워업 버전. 거대한 피라냐가 [[떡장갑]]중의 [[떡장갑]]으로 유명한 6만톤짜리 [[아이오와급 전함]]도 이빨로 격침시킨다. 80년대 인기 가수이던 [[티파니]]가 세월의 흔적을 보이며 여주인공으로 나온다. --다행히 고소는 피했나 보다..-- == 《[[스네이크 온 어 플레인|스네이크 온 어 ''트''레인]]》 == [[파일:external/www.hairballmedia.com/battle_asylum_3.jpg]] 이젠 ~~세기의 명작~~ 《스네이크 온 어 플레인》까지 건드렸다 ~~B급영화를 베낀 B급영화~~[* 그래도 왜 뱀이 풀렸는지에 대한 이유는 다르다. 《스네이크 온 어 플레인》은 현실적으로 갱단 두목이 법정에서 증언하기 위해 비행기를 탄 주인공 암살을 위해 뱀을 푼 것이지만, 《스네이크 온 어 트레인》은 마야인의 저주에 걸린 여자 때문에 뱀이 풀린 것이다. 나중에 이 여자는 뱀으로 변신해서 기차를 집어삼킨다.] == 《주일학교 뮤지컬》 == [[파일:external/www.criticker.com/sundayhighschool.jpg]] 《[[하이 스쿨 뮤지컬]]》 시리즈를 베낀 영화. 병맛스러움이 취향이라면 그나마 봐도 괜찮은 작품. == 《[[타이타닉 2]]》 == [[파일:external/store.theasylum.cc/106-2.jpg]]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타이타닉 2)] == 《올마이티 [[토르]]》 == [[파일:external/www.pajiba.com/pajibathorvsthor-thumb-550x435-43010.jpg]] 《[[토르]]》 영화에 맞추어서 만들었다. 토르의 원제는 《마이티 토르》. [[케빈 내쉬]]가 [[오딘]] 역으로 출연했다. --참고로 이 양반은 원래 프로레슬러다...-- 여기서는 괴수가 등장한다.[* 등장하는 괴수는 [[파프니르]]와 [[펜리르]].][* 펜리르는 체구가 가느다란 늑대에 모습에 등에는 부속기관이 크게 나있고, 꼬리가 없다. 파프니르는 거대한 파충류의 모습에 V모습( 끝이 약간 구부려졌다.)의 뿔에 두다리와 긴꼬리를 가진 등에 가시가 돋은 도마뱀의 형성을 했다.] 마지막에는 로키가 패배하자 땅속으로 도망친다. 목버스터인데도 불구하고, 영화에 나오는 노래는 인기가 좋다. 여기선 토르는 천둥를 단 한 번도 쓰지 않는다. 명색히 천둥의 신인데도 말이다.--아무리 망작들을 만드는 제작사임에도 어째서 북유럽 신화에 대해 모를 수가 있는거지?-- --실은 [[인피니티 워|예언]][[토르: 라그나로크|한거다]]--그리고 뮬니르(?)를 가지고 있긴 한데 창 같은 평범한 무기들도 다루기도 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압권은 '''토르가 기관총을 난사한다.''' 게다가 로키는 창백한 얼굴로 등장하며, 로키도 토르처럼 돌망치를 다루고, 돌망치로 토르와 대적하는 장면이 있다. == 《[[대서양|애틀랜틱]] 림》 == [[파일:external/static1.businessinsider.com/pacific-rim-atlantic-rim-3.jpg]] 《[[퍼시픽 림]]》을 모방. [[거대로봇]]이 바다[[괴수]]와 싸운다는 줄거리도 비슷하다.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8008|2014년 9월 '''국내 개봉'''되었다.]] ~~[[차지맨 켄|잘도 이런 미치광이 배급을!]]~~ 여담으로 평점이 클레멘타인처럼 높은데 당연히 평점 낚시. 다만 인지도 때문에 화력이 부족했는지 6점대 초반에 머무는 중. 2018년 [[퍼시픽 림: 업라이징]]의 개봉 기반으로 또 짝퉁 후속작을 내놓았다. 제목은 [[아틀란틱 림 라이징]]. == 《아메리칸 배틀쉽》 == [[파일:external/www.hollywoodreporter.com/battleship_poster_split_a_l.jpg]] 《배틀쉽》을 모방. 한국에서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14215|개봉했다]](!) 전국 관객은 무려 5,452명이며 서울 관객은 320명이나 되었다. 참고로 전국 5개 극장에서 개봉했다. 타군 전투복에 비해 부착물의 민간 구매 통제가 심한 [[NWU]]를 구하기 어려웠는지, NWU가 도입되기 이전 시기를 배경으로 했다. 근데도 카키 근무복 계급장이 칼라용 소형이 아닌 점퍼용 대형이라거나, 해군 장교가 해병대 근무복을 입고 있는 등 고증은 개판이다. --이런 영화에 고증 바라는 건…-- 영화의 내용은 투명 잠수함으로 공격하는 외계인들로 부터 맞서 싸우는 해군의 내용... 도중에 북한도 나온다. 발CG 외계인들이 날리는 파이어볼이 압권. == 《머서너리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Mercenaries_%282014_film%29.jpg]] 《[[익스펜더블]]》의 모방작, 정확히는 '''여성판 익스펜더블'''. 《익스펜더블》 시리즈 중 [[익스펜더블 3|3편]]을 모방했다고 한다. 목버스터라곤 하지만, 《샤크네이도》 시리즈로 돈 좀 벌게 된 어사일럼이 이름값 좀 되는 배우를 쓰기 시작하는 시기에 만든 영화라서 B급 영화치고는 출연진이 꽤 화려하다. 주인공 캣 모건 역에는 《[[터미네이터 3]]》에서 [[T-X]]역을 맡았던 크리스타나 로컨, 전직 특수부대 소대장이었던 카산드라 크레이 역에는 《Xena : Warrior Princes》에서 주인공 제나의 스턴트와 《[[킬 빌]]》에서 [[우마 서먼]]의 스턴트 대역을 맡았던 조이 벨, 전직 CIA 요원에서 살인청부업자로 전업했다 잡혀 들어온 레이븐 역에는 《[[킬 빌]]》에서 우마 서먼과 나이프 파이트를 펼쳤던 비비카 A 폭스, 현 CIA 국장이자 머서너리즈 팀을 조직한 모나 켄달 역에는 국내의 올드 홍콩영화 팬에게는 '''나부락'''으로 유명한 [[신시아 로스록]], 메인 빌런인 테러리스트 두목인 우르리카 역에는 [[브리짓 닐슨]]이 등장한다. 액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그놈의 CG성애자 버릇을 못 버린 점[* 폭발신의 상당수가 CG다. 자동차 폭발 장면 같은 건 그냥 진짜로 폭파하면 될 것을, 괜히 CG티 풀풀 나게 만들어 버려서리…. 게다가 일부 사격 장면에서도 CG를 썼다(…).]과 특유의 싼티나는 배경 등등을 제외하고 보면 그냥저냥 볼만한 편이라는 듯. 영화 리뷰 사이트의 평점도 어사일럼 영화 치고는 그럭저럭 나오는 편. ~~10점 만점에 3.7점이지만, 어사일럼표 목버스터의 평균점이 2점대인 걸 감안하면 높은 편이지, 뭐.~~ == 《[[꼬마 물고기 이자벨: 바다 대모험]]》 == [youtube(EnQJ6xrK0HM)] '''이제는 애니메이션까지 베낀다.''' == 《카 고(CAR GO)》 == [youtube(0rJRuWJcRQ8)] 이 작품도 마찬가지로 [[카(애니메이션)|카]]의 표절. 문제는 카가 [[월트 디즈니 컴퍼니|저작권 괴물]] 계열사의 작품인데 과연 이번에도 고소를 피하를 있을 것인지가 관건일 듯...[* 비슷한 행보를 걸친 [[비디오 브린쿠에도]]가 디즈니의 고소로 내렸다는걸 생각해보면 매우 위태롭다. 그리고 위에있는 작품도 [[니모를 찾아서]]를 닮았다.] 심지어 2022년 9월 15일 국내에서 개봉했다(!) 평은 당연히 최악이다. --내 눈-- == 《알라딘-램프의 신》 == * [[알라딘-램프의 신|해당 문서]] 참조 == 《몬스터 아일랜드》 == 아틀란틱 림 이후 다시 내놓은 거대 괴수 영화. [[레전더리 픽처스]]와 [[워너 브라더스]] 합작 [[몬스터버스]] 영화를 베껴만든 영화다. 감독은 Mark Atkins. 특히 [[콩: 스컬 아일랜드]] 타이틀을 베낀 듯하다. 특히 일본에선 '''[[고질라: 킹 오브 더 몬스터즈|Lord of Monsters]]''' (ロード・オブ・モンスターズ)라고 직명 시키는 등 그야말로 몬스터버스 목버스터다. 심지어 고지라 및 괴수 코믹스 작가로 유명한 '''멧 프랭크'''가 본 영화의 괴수를 디자인 했다고. == 《홈워드》 == [youtube(dv0WoKXzcpo)]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이 애니메이션]]도 베꼈다. == 기타 == 여기서 만드는 목버스터를 일일이 소개하다가는 끝이 없기 때문에 ~~망해야 끝이 나든 말든 하지..~~ 대충만 더 소개를 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 《[[300]]》을 베낀 《트로이 더 오디세이》 *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를 베낀 《오퍼레이션 덩케르크》 * 《[[분노의 질주 시리즈]]》를 베낀 《패스트 오브 피어스》 * 《[[에이리언 커버넌트]]》를 베낀 《[[에이리언 컨버전스]]》 * 《[[킹 아더]]》를 베꼈다고 해야 하는지 애매한 《킹 아더 나이츠 오브 라운드 테이블》 * 《[[혹성탈출]]》을 베낀 《플래닛 오브 샤크》 ~~역시 상어 성애자들..~~ * 《[[벤허]]》를 베낀 《벤허의 이름으로》 * 《[[수어사이드 스쿼드]]》를 베낀 《[[시니스터 스쿼드]]》 * 《[[스타워즈]]》와 《[[배틀스타 갤럭티카]]》를 베낀 《배틀 스타 워즈》 * 《[[파라노말 액티비티]]》를 베낀 《파라노말 엔디티》 * 《[[레퀴엠]]》하고 《[[엑소시즘 오브 에밀리 로즈]]》를 베낀 《아넬리제:엑소시스트 테이프》[* 다른 이름은 파라노말 엔디티 3:엑소시스트 테잎, 파라노말 엔디티 후속작이다!] * 《[[그레이브 인카운터 2]]》를 베낀 《파라노말 엔디티 4:각성》 * 《[[탑건 매버릭]]》을 베낀 《탑 거너》, 《탑 거너 : 데인저 존》[* 원래 탑 거너가 탑건: 매버릭의 개봉 시기를 감안하여 2020년에 개봉했는데 정작 탑건 매버릭은 코로나바이러스-19 사태 등으로 2년여 가량 개봉 일정이 밀리면서 어사일럼은 2년 뒤 탑건: 매버릭 개봉 시점에 맞춰 후속작인 탑 거너 데인저 존을 또 찍어야 했다(…)] *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을 베낀 《쥬라기 도미네이션》 * 《[[토르: 러브 앤 썬더]]》를 베낀 《토르: 갓 오브 썬더》 * 《[[불릿 트레인]]》과 《[[스피드(영화)|스피드]]》를 베낀 《불릿 트레인 다운》 * 《[[문폴]]》을 베낀 《문 크래쉬》 * 《[[고질라 VS 콩]]》을 베낀 《유인원 VS 괴물》 --뭐 틀린 말은 아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어사일럼(영화사), version=245, paragraph=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