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 '''{{{+2 어린 의뢰인}}}''' (2019)[br]''My First Client''}}} || ||<-2> [[파일:common-16.jpg|width=100%]] || || '''{{{#000000 장르}}}''' ||[[드라마]], [[사회고발물|사회고발]] || || '''{{{#000000 감독}}}''' ||장규성 || || '''{{{#000000 각본}}}''' ||민경은 || || '''{{{#000000 제작}}}''' ||손광익, 이진훈, 도영훈 || || '''{{{#000000 주연}}}''' ||[[이동휘(배우)|이동휘]], [[유선(배우)|유선]], [[최명빈]], [[이주원(2011)|이주원]] || || '''{{{#000000 촬영}}}''' ||조정희 || || '''{{{#000000 조명}}}''' ||김창호 || || '''{{{#000000 동시녹음}}}''' ||박현수 || || '''{{{#000000 사운드}}}''' ||이성준 || || '''{{{#000000 음악}}}''' ||연리목 || || '''{{{#000000 미술}}}''' ||박혜정 || || '''{{{#000000 편집}}}''' ||정지은 || || '''{{{#000000 촬영 기간}}}''' ||[[2018년]] [[10월 23일]] ~ [[2018년]] [[12월 20일]] || || '''{{{#000000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스트드림시노펙스㈜부산지사 || || '''{{{#000000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000000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정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롯데엔터테인먼트]] || || '''{{{#000000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9년]] [[5월]] 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5월 22일]] || || '''{{{#000000 화면비}}}''' || || || '''{{{#000000 상영 시간}}}''' ||114분 || || '''{{{#000000 제작비}}}''' ||-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04,259명 || || '''{{{#000000 공식 홈페이지}}}'''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등급}}}]]'''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60]]]] '''[[12세 관람가|{{{#000000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 개요 == [[2019년]] 제작된 [[영화]]. [[2013년]] [[8월]] 발생한 [[칠곡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이다. == 예고편 == [youtube(5XHxApiaI_U)] == 시놉시스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2013년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렸던 실화! “제가 동생을 죽였어요” 2019년 당신에게 찾아온 뜨거운 질문! “당신은 이 아이를 외면하시겠습니까?” [[인생]] 최대 목표는 오직 성공뿐인 [[변호사]] ‘정엽’ 주변에 무관심한 그에게 ‘다빈’과 ‘민준’ [[남매]]가 자꾸 귀찮게 얽힌다. 오랫동안 기다렸던 대형 로펌 합격 소식을 듣게 된 ‘정엽’은 믿을 수 없는 사실을 알게 된다. 10살 소녀 ‘다빈’이 7살 남동생 '민준'을 죽였다는 충격적인 자백 뒤늦게 미안함을 느낀 ‘정엽’은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다빈’의 엄마 ‘지숙’에게 숨겨진 진실을 밝히려고 하는데…|| == 등장인물 == * 윤정엽([[이동휘(배우)|이동휘]]) * 강지숙([[유선(배우)|유선]])[* 여담으로 7년 전에 실제를 모티브로 한 [[돈 크라이 마미|영화]]에서 피해자의 엄마를 맡았는데 여기서는 실제 범죄자를 맡는다.]: 다빈과 민준의 양어머니 하지만 실상은 아이들을 학대하고 민준을 죽인 살인범으로 평소 아이들을 매우 미워하며 걸핏하면 폭행도 서슴없이 일삼은 인간 말종. 결말까지도 반성은 없이 도리어 '''네가 뭔데 내 삶에 끼어들고 [[지랄|지X]]이냐'''며 자기합리화만 하고 있었다. 사이코패스일 가능성이 높다. 신상 조사에 따르면, 보험설계사로 일하다 사기 전과로 실형을 받은 적이 있고 분노조절장애 판정을 받았다 한다. 마지막에 '엄마가 있어 봐야 알지'라는 혼잣말을 하는 것을 보면 이쪽도 엄마가 없었거나 [[고아]]인 듯하다. 즉, 이 작품의 '''메인 빌런 및 [[최종 보스]]'''.[* 사실 이 영화의 모티브가 된 칠곡 계모 아동 학대 사망사건의 가해자도 어린 시절 성폭행을 당한 경험으로 트라우마로 인격장애를 안고 살았다고 한다. 따라서 이 사람도 어린시절 자신의 부모한테 똑같이 학대를 당했거나 방임 및 버림받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변호사 윤정엽이 자신에게 엄마란 어떤 느낌이냐는 질문을 던지자 크게 짜증을 내면서 "엄마가 있어봤어야 알지"란 말을 읖조리다 결국 극대노하며 급발진한 걸 보면 분명히 부모에 대한 애정이나 보살핌도 없이 불우한 유년기를 보낸 것이 분명하다. 급발진한 것도 모정을 경험해보지 못해 누적된 분노와 억울함을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혹은 학대경험으로 인한 [[PTSD]]일 수도 있다.] 여담으로 다빈이를 향해 '생긴 것도 재수 없어 죽겠어.'라고 하는 것을 보아, 다빈이의 예쁜 외모에 대한 질투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김다빈([[최명빈]]) * 김민준([[이주원(2011)|이주원]]) * 윤미애([[고수희]]) * 서문정([[서정연]]) * 김종남([[원현준]]): 다빈과 민준의 친아버지[*스포일러 하지만 실상은 강지숙과 다를 것 없는 인간 말종. 아이들을 사랑하지 않고 학대를 당하면서도 방관하고 오히려 강지숙의 편만 든다. 이쪽도 강지숙과 마찬가지로 사이코패스일 가능성이 높다. 허나, 묘사상으론 강지숙과도 사이가 좋지 않은 듯하다. 참고로 실제 사건의 친부도 계모가 아이들을 학대하는 걸 방관하다가 작은 딸이 목숨을 잃자 계모를 감싸기 위해 큰딸에게 누명을 씌우는 걸 주도했다. 즉, 이 작품의 ''' 서브 빌런 및 [[중간 보스]]'''.] * 판사([[김보연]]) - 특별출연 * 경재([[조덕현]]) - 특별출연 * 장호([[이로운(배우)|이로운]])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없음, popcorn=없음)] [include(틀:평가/IMDb, code=tt10308634, user=없음)]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my-first-client, user=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206600,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3404726, user=없음)]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yaxxV, user=3.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4604, light=92.86)]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80169, expert=5.25, audience=9.31, user=8.8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5933, expert=없음, user=9.5)] [include(틀:평가/CGV, code=81757, egg=96)] == 흥행 == === [[북미]] === [[2019년]] [[6월]] [[미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에 [[수출]]할 예정이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17,313명 || 17,313명 || 미집계 || 143,352,000원 || 143,352,000원 || ||<|7> {{{#ffffff 1주차}}} ||2019-05-22. 1일차(수) || 21,262명 ||<|7> -명 || 4위 || 169,077,420원 ||<|7> -원 || ||2019-05-23. 2일차(목) || 16,341명 || 6위 || 130,525,170원 || ||2019-05-24. 3일차(금) || 22,040명 || 5위 || 188,932,303원 || ||2019-05-25. 4일차(토) || 37,403명 || 5위 || 326,867,127원 || ||2019-05-26. 5일차(일) || 35,950명 || 5위 || 313,549,140원 || ||2019-05-27. 6일차(월) || 12,885명 || 5위 || 103,755,750원 || ||2019-05-28. 7일차(화) || 12,214명 || 5위 || 99,080,580원 || ||<|7> {{{#ffffff 2주차}}} ||2019-05-29. 8일차(수) || 10,389명 ||<|7> -명 || 7위 || 62,645,980원 ||<|7> -원 || ||2019-05-30. 9일차(목) || 1,325명 || 12위 || 9,787,160원 || ||2019-05-31. 10일차(금) || 1,670명 || 9위 || 13,068,710원 || ||2019-06-01. 11일차(토) || 2,725명 || 9위 || 22,468,160원 || ||2019-06-02. 12일차(일) || 2,676명 || 10위 || 22,916,620원 || ||2019-06-03. 13일차(월) || 693명 || 10위 || 5,015,700원 || ||2019-06-04. 14일차(화) || 1,109명 || 11위 || 8,175,180원 || ||<|7> {{{#ffffff 3주차}}} ||2019-06-05. 15일차(수) || 278명 ||<|7> -명 || 25위 || 1,942,700원 ||<|7> -원 || ||2019-06-06. 16일차(목) || 569명 || 18위 || 4,908,000원 || ||2019-06-07. 17일차(금) || 340명 || 18위 || 2,779,400원 || ||2019-06-08. 18일차(토) || 273명 || 20위 || 2,414,000원 || ||2019-06-09. 19일차(일) || 235명 || 23위 || 2,066,300원 || ||2019-06-10. 20일차(월) || 152명 || 36위 || 1,010,900원 || ||2019-06-11. 21일차(화) || 118명 || 44위 || 927,300원 || ||<|7> {{{#ffffff 4주차}}} ||2019-06-12. 22일차(수) || 113명 ||<|7> -명 || 48위 || 798,500원 ||<|7> -원 || ||2019-06-13. 23일차(목) || 150명 || 42위 || 1,133,000원 || ||2019-06-14. 24일차(금) || 189명 || 38위 || 1,248,000원 || ||2019-06-15. 25일차(토) || 209명 || 33위 || 1,386,500원 || ||2019-06-16. 26일차(일) || 160명 || 36위 || 1,228,100원 || ||2019-06-17. 27일차(월) || 135명 || 32위 || 915,100원 || ||2019-06-18. 28일차(화) || 132명 || 40위 || 938,0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199,041명, 누적매출액 1,642,859,800원'''[* ~ 2019/06/18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영화)은 [[크로우 라이징]](이상 [[2019년]] [[5월 21일]]), [[뷰티풀 보이스]], 어린 의뢰인(이상 [[2019년]] [[5월 22일]]), [[김군(영화)|김군]], [[너의 목소리]], [[더 보이(2019)|더 보이]], [[돈키호테를 죽인 사나이]], [[드라큘라: 모로이의 전설]], [[러브 포 세일]], [[로제타(영화)|로제타]], [[무협: 강호수사대]], [[비질란테(영화)|비질란테]], [[시민 노무현]], [[알라딘(영화)|알라딘]], [[언더 더 씨 2]], [[테이크 유어 데드]], [[해피타임 스파이]](이상 [[2019년]] [[5월 23일]]), [[기동전사 건담 내러티브]](이상 [[2019년]] [[5월 24일]])까지 총 18편이다. === [[중국]] === === [[일본]] === === [[영국]] === === 기타 국가 === == 기타 == * 2019년 5월 21일 장규성 감독과 배우 이동휘가 [[SBS 나이트라인]] 초대석에 출연하여 인터뷰했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274473|영상]] * 실제 사건에서 피해 아동들은 11살과 8살의 [[자매]]였는데, 영화에서는 10살, 7살의 [[남매]]로 각색되었다. * 실화를 바탕으로 한 취지는 이해하지만 굳이 이 사건을 영화화해야 했냐는 비판도 있었다. 실제 사건에서 피해자 중 생존한 언니는 영화 개봉 당시 미성년자였는데, 영화가 개봉하며 사건이 다시 회자되면 오히려 상처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이스트드림스노펙스 대표가 밝히길 오히려 실제 사건의 대상인 아이가 연락을 취하여 영화화에 동의하였고, 그 이유는 자신처럼 폭행을 당하는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하라는 용기를 주기 위해 승낙했다고 한다. * [[미쓰백]]과 약간 공통점이 있다. 실화 바탕 영화라는 점. [[친아빠]]는 방관하고 [[새엄마]]가 적극적으로 [[학대]]한다는 것과 주인공이 아이에게 [[햄버거]]를 사준 것까지 유사하다. 또한, 미쓰백에 나온 학대 피해자를 맡은 [[김시아]]도 최명빈이랑 동갑이다. * 여담으로 동년에 방영한 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에서 [[유선(배우)|유선]]의 딸 이름도 다빈이다.[* 이 드라마에선 친딸이다.] * 아동학대가 많이 나온 만큼, 아역들의 정신건강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전문 심리검사와 미술치료, 개인 상담을 진행했다고 한다. * 작중 강지숙이 복지관 명함을 들고 '엄마 신고하기 위해 복지관에 갔나 보네?'하는 데 [[복지관]]은 절대 신고하기 위해 가는 게 아니다. * 아동학대를 다룬 작품인 만큼 폭력 묘사와 저속한 대사가 많음에도 [[12세 이상 관람가]]로 분류되었다. [[분류:2019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실화 바탕 영화]][[분류:사회고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