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제목이 같은 영화]] [목차] == [[1988년]] 개봉 [[한국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른들은 몰라요(1988년 영화))] === 동명의 영화 주제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른들은 몰라요(1988년 영화), 문단=4.1)] == [[2021년]] 개봉 [[한국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른들은 몰라요(2021년 영화))] == [[한국방송공사|KBS]]에서 방영한 재연 드라마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 ||[youtube(r71pWxNAejw)]||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타이틀 영상''' || 이 작품은 KBS의 드라마제작국도 예능국(당시 TV2국)도 아닌 교양국(당시 TV1국)에서 제작되었다. 1994년 봄 방송 개편에 따라 자녀교육문제를 다루는 'TV 교육위원회'라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이 신설되었고, 1995년에 봄 방송 개편에는 이 프로그램의 후신으로 교육, 가정 프로그램 확대를 목적으로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를 신설해서 방영했다. 내용은 주로 [[옴니버스]] 식으로 청소년들이 보내준 사연이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재연하는 형태, 즉 재연극이라 할 수 있었다. 이 방송은 3년간 방송되었으며, 시청률이 20~30%가 나왔을 정도로 인기가 좋았던 프로그램이었지만, 포맷 변경을 위해 종영되었다. 이후로 방영된 후속 프로그램이 '접속 신세대'며, 해당 프로그램은 1998년에 가을 개편에 막을 내렸고 해당 프로그램의 코너 중 하나였던 [[도전 골든벨]]은 독립 프로그램이 되면서 2020년까지 방영되었다. 이후로 '접속 어른들은 몰라요'라는 다큐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이어져서 원래는 [[목요일]] 저녁에 방송했다가 개편으로 [[일요일]] 오전으로 옮겼는데, 여기로 가면서 [[시청률]]이 부쩍 떨어졌고, 결국 2002년 10월에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방영 당시에 제목은 분명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인데, 어찌된 일인지 '신세대 '''보고서''' - 어른들은 몰라요'라는 제목으로 잘못 알려지는 일이 종종 있었다. 한편 우열반 편성을 주제로 한 에피소드인 '하늘 위의 교실'은 1997년 방송의 날에 방송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youtube(PI6SK7fOFdk)]||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의 한 장면'''(출처: KBS) || 당장 위의 장면에서도 [[최민용]]과 [[최강희(배우)|최강희]]의 아역 시절 연기를 볼 수 있듯이, 이 프로그램은 아역 연기자들의 주무대이자 연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이 되었고, 이 프로그램 종영 뒤에 제작된 '드라마 [[학교(드라마)|학교]]'와 함께, 미래의 청춘 스타들이나, 연기자들의 등용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이 문서의 이 문단으로 연결되는 검색어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의 [[https://namu.wiki/backlink/신세대%20보고%20-%20어른들은%20몰라요|역링크]]를 보더라도 쟁쟁한 배우들의 이름들을 볼 수 있고, 이 배우들을 검색해 들어가면 상당수의 스타들이 이 작품이 데뷔작 또는 초기작인 경우가 많다. 방영 초기에는 '드라마게임'과 '[[이것이 인생이다]]'처럼 대담 + 드라마 포맷이었으며 [[송지헌]] 아나운서가 진행한 바 있다. 2021년 스승의 날 특집으로 [[한국방송공사|KBS]]의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제57회를 맛보기 형식으로 올린 뒤 2022년에는 [[KBS 같이삽시다]]에 일부 회차들을 업로드했고, 2023년 7월 19일부터 '[[맥랑시대]]' 후속으로 [[https://youtube.com/channel/UCpdvFXMZkqFLdp1nagLkOhg|옛날티비 채널]]을 통해 매주 수~목 밤 10시마다 공개 중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청소년 드라마, version=236, paragraph=3.1)]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의 가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른들은 몰라요 피터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