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arkPiercingLight-DM2-JP-VG.png]] || 한글판 명칭 ||'''어둠을 없애는 빛'''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をかき[ruby(消, ruby=け)]す[ruby(光, ruby=ひかり)]'''|| || 영어판 명칭 ||'''Dark-Piercing Light'''|| ||<-2> 일반 마법 || ||<-2>눈부신 빛으로 필드의 몬스터 전부가 보이게 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2>눈부신 빛으로 적의 필드의 몬스터가 전부 보이게 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DM1에서부터 등장. 이 카드 3장을 동시에 통신 교환하면 [[빛의 봉인검]]으로 변화되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에서는 슬롯에 채우면 [[빛의 봉인검]]을 입수할 수 있는 등 빛의 봉인검과 인연이 깊은 카드로 나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arkPiercingLight-B1-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어둠을 없애는 빛'''|| || 일어판 명칭 ||'''[ruby(闇, ruby=やみ)]をかき[ruby(消, ruby=け)]す[ruby(光, ruby=ひかり)]'''|| || 영어판 명칭 ||'''Dark-Piercing Light'''|| ||<-2> 일반 마법 || ||<-2>상대 필드 위에 뒷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부 앞면 표시로 한다.|| 상대 몬스터를 전부 앞면 표시로 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상대가 수비 몬스터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카드. 이 효과로 앞면 표시로 바뀐 몬스터는 반전 소환으로 취급하지 않지만,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된다. 리버스했을 경우의 [[유발효과]]가 다수 동시에 발동할 경우에는 동시에 다수의 카드가 발동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상호 호환 효과를 가진 카드는 [[태양의 서]][* 태양의 서는 자신의 몬스터도 지정을 할 수 있다만 1장에 한정된다.], [[빛의 봉인검]], [[정전 협정(유희왕)|정전 협정]], [[정전 협정(유희왕)|생명력 흡수 마술]]이 존재한다. 성능 상으로는 [[빛의 봉인검]]의 실질적인 하위 호환이라 채용하는 의미는 없다. 이 카드에겐 [[웨더 컨트롤|일기예보]]같은 메타 카드가 없다는 차별점이 있긴 하지만 해당 카드도 쓰이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라 장점으로 내세우긴 애매하다. 등장 당시에는 [[식인 곤충]]이나 [[하늘하늘]] 등 제거 효과를 가진 리버스 효과 몬스터가 활약하는 환경이었는데, 여기서 자신이 몬스터를 소환하기 전에 이 카드를 사용하여 상대 몬스터를 자멸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미 당시에도 같은 용도로 쓸 수 있는 [[빛의 봉인검]]이 존재하긴 했지만 해당 카드는 레어도가 높았기에 그 대용으로 쓰는 플레이어도 적지 않았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에서는 초기 [[A·O·J]] 덱에 투입되었다. [[웜(파충류족)|웜]] 대책으로 투입된 것이지만, 악의 빛을 토벌하는 정의의 어둠이라는 컨셉을 생각하면 꽤나 아이러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최강 카드배틀!]]에서는 라이트 츠키코에 덱에 투입된 것으로 나오며, 사용했을 때의 전용 보이스가 존재한다. == 관련 카드 == === [[빛의 봉인검]] === === [[태양의 서]]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