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magicjjal.gif|width=400]]|| 움짤의 춤은 [[MC 해머]]의 [[U Can't Touch This]] [목차] == 소개 == [[디시인사이드]]에서 유행한 [[짤방]] 중 하나. 외국에서는 '[[http://knowyourmeme.com/memes/ninja-works-it|Ninja Works It]]'라고 한다. 2004년 2월 12일 일본의 [[http://web.archive.org/web/20060903034933/http://hw001.gate01.com/otimusya/mc-karateka.htm|落武者(오치무샤)]]라는 사이트의 관리자가 사이트 임시폐쇄에 즈음하여 만들어서 올린 것이다. 정식 명칭은 [[MC 해머|'''MC카라테카''']]로 처음 올릴 당시 '[[견당사]]입니다.'[* 일본어 켄토오시데스 정도로 발음하는데, [[몬더그린|빠르게 읽어보자.]]] 라는 설명이 붙어있었다. 고전게임 [[카라테카]]로 만든 [[움짤]]인데, 여기에다가 음악만 깔아놓으면 그 음악이 어떤 장르든 상관 없이 그 음악과 짤방이 싱크로가 잘 맞는다. 그게 피아노곡이든, 발라드곡이든, 댄스곡이든, 헤비메탈이든, 나아가 우크라이나 민요나 오페라에도 어울린다. 심지어 노력해서 타이밍을 맞추지 않고 이 창 올리고 여유롭게 노래를 찾은뒤에 틀어도 잘어울려서 더욱 놀라울 따름이다. [[https://youtu.be/CdXesX6mYUE?t=10s|최신 미국 팝송에도 어울리며]] [[https://youtu.be/WMFG_rm00mc|K-POP도]] [[https://www.youtube.com/watch?v=z8EkO8iIbZM|북한 가요도]] [[https://www.youtube.com/watch?v=emoadwiK4TM|지니어스한 음악도]] [[https://www.youtube.com/watch?v=Kzr_xuqqh-M|일본애니 OST도]] [[https://www.youtube.com/watch?v=GBYA_OXd2rs|프랑스 뮤지컬 노래도]] [[https://www.youtube.com/watch?v=mlFDY5TMgeg|잔잔한게임 OST나]][[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23&v=0FCvzsVlXpQ&feature=emb_logo|유명한 OST도 어울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6A0AeoyFMM|일본 전통풍의]][[https://www.youtube.com/watch?v=WK-aE_3PF8g|음악도]][[https://youtu.be/5qIQ1UrO0cU|어울리며]] [[https://youtu.be/7maJOI3QMu0?t=44s|조용한 음악도]]미묘하게 어울린다. 믿기 어렵다면 여러분이 좋아하는 노래를 아무거나 틀어놓고 짤방을 보면 된다. 클래식 음악은 안 될 줄 알아도, 은근히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BWV 565)|토카타와 푸가]]와도 어울린다! [[피아노 소나타 11번(모차르트)|모차르트 피아노소나타 11번]] 3악장과도 어울린다! 그리고 [[슈베르트]]의 [[마왕(슈베르트)|마왕]]과도 어울린다. [[이루펀트]]의 노래 '키덜트'의 뮤직비디오 후반부에도 나온다. 또한 Skindred의 악곡 Ninja의 뮤직 비디오 후반부에도 쓰였다. 간혹 "[[문워크]]+[[비보잉|브레이크 댄스]]+[[테크토닉]]+로봇춤+[[에어로빅]]+[[빌리 진]]+[[김수로(배우)|꼭짓점 댄스]]를 동시에 하고 있다."는 오해가 있지만, 90년대 전설의 래퍼 [[MC 해머]]의 [[U Can't Touch This]]를 몰라서 그런 것. 그런고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춤|남자 오크의 춤 동작]]에서 다 볼 수 있다. 또 리그 오브 레전드 [[말자하]]의 춤도 이것. 1분경에는 [[말자하]], 1분 57초에서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의 춤도 나온다! [youtube(otCpCn0l4Wo, width=480, height=360)] == 원리 == 이 짤방이 가진 비밀은 춤이 가진 [[박자]]이다. 기본적으로 노래의 박자라는 게 4박자에서 쪼개지면서 8박자, 16박자 순으로 바뀌는 것으로, 변박자가 나온다고 해도 잠시 나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정한 박자를 지닌 채 반복되는 스텝이나 터닝들이 곡의 박자와 어우러져 마치 춤이 노래에 맞춘 안무처럼 보이는 것이다. 규칙적인 박자를 '[[four-on-the-floor]]'로 부르는데, 한 마디에 4분음표가 4번 나오는 방식이 반복되는 매우 간결하고 쉽고 규칙적인 박자라는 뜻이다. 괜히 어렵게 말했지만 쉽게 말해 '쿵 쿵 쿵 쿵 쿵 쿵 쿵 쿵' 하는 느낌이 계속 반복된다는 뜻이다. 듣기 편하면서도 박자감을 느끼기 쉽기 때문에 웬만한 [[대중음악]]엔 거진 다 사용되며, 짤 자체가 엇박자 춤이 아닌 이상 이 박자가 잘 들어맞는다. 그리고 춤은 대개 [[대중음악]]을 들으면서 춘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초기 르네상스 음악, 엄청나게 느린 템포의 네박자 음악, 그리고 4박자 기반이 아닌 음악[* 세박자 기반의 [[왈츠]]가 대표적이며, 그 밖에도 [[전람회의 그림]]의 프롬나드(11/4) 등이 여기에 속한다.]에는 역시나 안 어울린다.[* 그래서 흔히 "[[결국 남극대모험]]"(남극탐험) 브금으로 알려진 [[에밀 발퇴펠]]의 '스케이터 왈츠'를 들어보면 서로 안 맞는 것이다.] [[오페라]] [[아리아]]들도 템포 빠른 경우 아니면 대부분 어울리지 않는다.[* Caro nome나 Addio del pasato 같은 곡이 안 어울리는 좋은 예] 대중가요는 대부분 [[네박자|4박자]]이기 때문에 템포만 맞으면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것이다. 비슷하게 4/4 박자이기만 하면 아무 노래에나 짬뽕해도 어울리는 노래로는 영화 [[스페이스 잼(노래)|스페이스 잼의 주제가]]가 있다. --둘을 서로 섞어도 된다.-- --마치 원래 세트였던거 처럼 딱 딱 맞는다.-- == 기타 == * [[파일:attachment/어느 음악에나 어울리는 마법의 짤방/닭다리_하면_핳_하림.gif]] [[닭다리]] 2개를 든 [[흑인]]의 댄스 짤방이 이 마법의 짤방 자리를 위협한 적도 있다. [[치킨흑형]] 참고. * [[황신]]의 [[콩댄스]]도 이런 마법의 짤방으로 각광받던 시절이 있다. * [[파일:GBCamera-TitleScreen-JP.gif]] [[검은 닌텐도#s-4.6|검은 닌텐도 요소]]로 알려진 [[게임보이]] 카메라에도 있다. * [[인도형님]]의 춤도 인도 특유의 아스트랄함으로 마법의 동영상이 되었다. * 어느 광고에서 나오는 [[프리저]]의 짤막한 춤도 마법의 짤방이 되었다. * [[파일:로다주 춤.gif|height=300]] [[https://tenor.com/view/robert-downey-jr-dancing-the-moves-gif-14102366|GIF 출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어벤져스: 엔드게임]] 내한 당시 SNS에 업로드했던 춤 영상도 마법의 영상이 되었다. * [[Double Dream Hands]]도 영미권에서 비슷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 [[파일:예티댄스.gif|height=300]] 메이플스토리 이벤트 의자 중 하나인 예티 춤춘다 또한 나쁘지 않은 싱크로율을 보여준다. * [[파일:vmcdance.gif|height=300]] 힙합 레이블 [[VMC]]의 [[딥플로우]]와 [[넉살]]이 나오는 움짤도 상당한 싱크로율을 보여준다. * [[오오조라 스바루]]와 오리가 함께 춤추는 움짤도 마법의 짤방으로 쓰이고 있다. * [[불리 맥과이어]] 짤방에서 나오는 [[토비 맥과이어]]의 춤 역시 마법의 짤방으로 유명하다. == 관련 문서 == *[[네박자]] *[[마성의 BGM]] *[[스페이스 잼(노래)]] [[분류:짤방]][[분류:인터넷 밈/음악]][[분류:인터넷 밈/다국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