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뼈]] [include(틀:사람의 뼈)] ||
{{{#000 ''' ''scapula'' '''}}}[br]{{{#000 ''' ''(어깨뼈, 견갑골)''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어깨 골격의 움직임.gif|width=100%]][[파일:어깨뼈프로필.jpg|width=100%]]}}} || || {{{#000 '''왼쪽 어깨뼈 뒷면'''}}} || [목차] [clearfix] == 개요 == 어깨뼈(scapula)는 [[어깨]] 부위에서 [[빗장뼈]](clavicle)와 함께 위팔을 몸통뼈대(axial skeleton)에 연결하는 세모꼴의 납작뼈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견갑골([[肩]][[胛]][[骨]])이며, 정식명칭은 아니지만 등쪽에 날개처럼 붙어있어 날개뼈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해부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어깨뼈와 날개뼈를 다른 부위로 인식하기도 한다.] [[어깨]] 전체를 차지하는 뼈라고 오해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인식하는 어깨 부위는 쇄골, 견갑골(정확히는 견봉), 상완골로 이루어진 삼중 복합체로 구성된 골격체이다. 즉, 대중들이 이해하고있는 '어깨'의 정의는 근육을 기준으로 하고있는데, [[어깨세모근]](삼각근)전체와 [[승모근]]의 일부이다. == 구조 == || [[파일:어깨뼈.jpg|width=100%]] || [[파일:어깨뼈가쪽.png|width=80%]] || || '''오른쪽 어깨뼈의 앞면/뒷면''' || '''오른쪽 어깨뼈의 가쪽''' || 어깨뼈는 세모꼴 근육으로, 안쪽모서리, 가쪽모서리, 위모서리의 모서리(border) 3개와 가쪽각, 위각, 아래각의 각(angle) 3개가 존재한다. 어깨뼈는 전체적으로 납작하지만 모서리들과 각들은 대체적으로 두꺼운 편이고, 이 중 가쪽모서리와 가쪽각이 힘을 많이 받는 곳이기 때문에 유달리 더 두껍다. 어깨뼈에서 유심히 봐야 할 특징적인 구조물들은 다음과 같다. * 어깨뼈패임(suprascapular notch) - 위모서리에서 부리돌기가 시작되는 지점의 움푹 들어간 부분. * 접시오목(glenoid cavity) - 가쪽각 끝부분에 움푹 들어간 부분. [[위팔뼈]]가 와서 붙어서 어깨관절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 어깨뼈밑오목(subscapular fossa) - 어깨뼈 앞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하여 앞면 전체를 이렇게 부른다. * 어깨뼈가시(spine of scapula) - 어깨뼈 뒷면에 [[산맥]]처럼 솟아 있는 능선으로, 이 가시--?--가 뒷면 전체를 위쪽의 가시위오목과 아래쪽의 가시아래오목으로 나눈다. * 가시위오목(supraspinous fossa) * 가시아래오목(infraspinous fossa) * 봉우리(acromion) - 어깨뼈가시가 가쪽 끝에서 만드는 돌기이다. 이 봉우리는 [[빗장뼈]]와 관절을 형성한다. *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 새의 [[부리]] 같이 생긴 돌기이다. [[작은가슴근]](pectoralis minor m.)의 닿는곳이며, [[부리위팔근]](coracobrachialis m.)과 [[위팔두갈래근]]의 짧은갈래(short head of biceps brachii m.)의 이는곳이다. === 관절 === * [[어깨관절]](shoulder joint) - 위팔뼈와 어깨뼈가 이루는 관절로, 위팔뼈의 머리(head of femur)와 어깨뼈의 접시오목(glenoid cavity)이 붙어서 형성되므로 접시위팔관절(glenohumeral joint)이라고도 한다. * 봉우리빗장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 [[빗장뼈]]의 봉우리끝(acromial ned)과 어깨뼈의 봉우리가 붙어서 이루어지는 관절이다. 세 개의 인대로 안정화되는 [[평면관절]](plane joint)이다. === 주변 구조물 === || [[파일:청진삼각.jpg|width=100%]] || || '''청진삼각(triangle of auscultation)''' || 어깨뼈 안쪽 모서리는 [[청진삼각]]의 가쪽 경계를 이룬다. ==== 근육 ==== 어깨뼈가 닿는 곳인 근육들이다. * [[작은가슴근]](pectoralis minor m.) - 어깨뼈 부리돌기에 닿는다. *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m.) - 어깨뼈 안쪽모서리에 닿는다. * [[등세모근]](trapezius m.) - 빗장뼈와 어깨뼈가시, 봉우리에 넓게 닿는다. *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 m.) - 어깨뼈 안쪽모서리 윗부분에 닿는다. *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rhomboid major/minor m.) - 어깨뼈 안쪽모서리에 닿는다. ---- 어깨뼈가 이는 곳인 근육들이다. * [[어깨세모근]](deltoid m.) - 빗장뼈와 어깨뼈의 봉우리, 어깨뼈가시에서 일어난다. * [[큰원근]](teres major m.) - 어깨뼈 아래각에서 일어난다. * [[작은원근]](teres minor m.) - 어깨뼈 가쪽모서리에서 일어난다. * [[가시위근]](supraspinatus m.) - 어깨뼈의 가시위오목에서 일어난다. *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m.) - 어깨뼈의 가시아래오목에서 일어난다. * [[어깨밑근]](subscapularis m.) - 어깨뼈밑오목에서 일어난다. *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 m.) - 긴갈래는 어깨뼈의 접시오목 위쪽에서 일어나고, 짧은갈래는 부리돌기에서 일어난다. * [[위팔세갈래근]]의 긴갈래(long head of triceps brachii m.) - 어깨뼈의 접시오목 밑쪽에서 일어난다. * [[어깨목뿔근]](omohyoid m.) - 어깨뼈의 위모서리에서 일어난다. == 움직임 == 견갑골(어깨뼈)의 움직임은 크게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아래 문단을 참고하자. === 거상 === === 하강 === === 후인 (내전) === === 전인 (외전) === === 상방회전 === === 하방회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