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충청남도)]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충청남도|{{{#cfa547 충남}}}]] [[당진시(선거구)|{{{#cfa547 당진시}}}]])'''}}} || || 제19대[br][[김동완(1958)|김동완]] || → || '''제20-21대[br]어기구''' || → || ''현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fff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br]{{{#ffffff {{{+1 어기구}}}[br] 魚基龜 | Eoh Kiyk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당진어기구.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3년]] [[1월 10일]][* 음력 [[1962년]] [[12월 15일]]] ([age(1963-01-10)]세) ||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읍|송악면]] 부곡리[br](現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부곡리) || || {{{#ffffff '''거주지'''}}} ||[[충청남도]] [[당진시]] 원당동 원당마을아파트 || || {{{#ffffff '''본관'''}}} ||[[어(성씨)|함종 어씨]][* 진사공파(進士公派)-양양(襄陽) 문중 28세 기(基) 항렬.] || || {{{#ffffff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당진시(선거구)|당진시]] [[지역위원장]] || || {{{#ffffff '''SNS'''}}} ||[[https://blog.naver.com/kiyku|[[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hs_XqFh2-Wuwu4fkfti0o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yku6311, 크기=20)] | [[https://facebook.com/ekkw201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eoh_kiyk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가족'''}}} ||배우자 임명신(林明信)[* 1967년 6월 26일생으로, [[나주 임씨]] 임방우(林方佑)의 딸이다.], 슬하 1남 1녀 || || {{{#ffffff '''학력'''}}} ||{{{-1 당진상록국민학교}}} {{{-2 (졸업)}}}[br]{{{-1 [[송악중학교]]}}} {{{-2 (졸업)}}}[br]{{{-1 [[북일고등학교]]}}} {{{-2 (졸업)}}}[br]{{{-1 [[순천향대학교]]}}} {{{-2 ([[독어독문학]] / [[학사]]) }}}[br] {{{-1 [[빈 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 {{{-1 [[빈 대학교|빈 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br]{{{-1 빈 경제경영대학교[* [[빈 대학교]]와 다른 학교이다. 오스트리아식 이름은 Wirtschaftsuniversitat Wien.] 대학원}}} {{{-3 ([[노동법]]·사회법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8556844|Is there an alternative way for the Korean pension system?]].])}}} ||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하사]] 만기전역 || || {{{#ffffff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토마스 모어]])}}} || || {{{#ffffff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지역구'''}}} ||[[충청남도|충남]] [[당진시(선거구)|당진시]] || || {{{#ffffff '''의원 선수'''}}} ||'''2''' || || {{{#ffffff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 || {{{#ffffff '''소속 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 || || {{{#ffffff '''경력'''}}} ||순천향대학교 총학생회 회장[br]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br]고려대학교 경제연구소 연구교수[br]한국노총중앙연구원 연구위원[br][[경기대학교]] 겸임교수[br][[세한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br]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충청남도당 당진시 지역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충청남도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선임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해양수산특별위원장[br]제20대 국회의원 (충남 당진시, 더불어민주당)[br]제20대 국회 민생경제 특별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br]제20대 국회 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br]제21대 국회의원 (충남 당진시, 더불어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출신 [[정치인]]. == 생애 == [[1963년]] [[1월 10일]], [[충청남도]] [[당진시|당진군]] [[송악읍|송악면]](현 [[당진시]] [[송악읍]]) 부곡리에서 아버지 어동훈(魚東勳, 1933. 2. 10 ~ )과 어머니 [[원주 원씨]] 원창금(元昌錦, 1940. 5. 17 ~ )[* 원사종(元思鍾)의 딸이다.]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당진상록초등학교, 당진송악중학교, [[북일고등학교]], [[순천향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오스트리아]]로 유학하여 [[빈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빈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2년 빈 경제경영대학교 대학원에서 [[노동법]] 및 사회법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순천향대학교 재학 중에는 총학생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후엔 귀국하여 경제학자로 활동했는데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노무현 정부]]),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연구교수,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연구위원, [[경기대학교]] 겸임교수, [[세한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 === 정치 활동 === 2011년 [[민주당(2008년)|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에 임명되어 정치에 입문하였다. 민주당이 민주통합당으로 당명이 변경되고 나서도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충청남도 당진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의 [[김동완(1958)|김동완]]에 밀려 낙선하였고, 4년후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새누리당 김동완에 설욕하였다. 당시 [[출구조사]]에서는 2위로 나왔으나 출구조사 결과를 '''어기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화젯거리#s-9.2|당선되었다는]] [[아재개그]]가 있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전 대선후보 특보 한광희와 경선 끝에 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하게 되었다. 충청남도 [[당진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미래통합당]]의 [[김동완(1958)|김동완]]에 다시 승리하였다.[* 그러나 미래통합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정용선]]의 표를 김동완의 표와 합하면 어기구의 표보다 더 많다. 결국 보수 분열로 인해 어부지리로 승리한 것이다.] 개표방송에서는 초반부터 앞서나가면서 어기구 후보가 '''이기구'''있다는 개드립이 또 나왔다. 더300·법률앤미디어가 주최한 ‘2020 대한민국 최우수법률상 및 국감 스코어보드 대상’ 시상식에서 국감 스코어보드 대상을 수상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5015455|@]] 농업 관련 국가예산 비중의 지속적인 감소, 우리나라 식량 및 곡물자급률의 하락, 막대한 예산의 R&D를 통한 농작물의 상용화 및 관리부실, 일본산 수산물 등 안전한 먹거리 문제, 해안을 통한 밀입국 문제 등에 대한 대책마련과 대안 제시에 힘썼다. 악천후 시 긴급피난을 허용한 법을 악용하여 중국 등 외국 어선이 불법 조업과 폐기물 투기를 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불법조업 및 오염물 해양투기를 상시 단속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불법조업이나 오염물의 해양투기 금지 및 적발 시 처벌 규정을 명시하는 수상구조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5057952|#]]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당진의 2018년 난지도, 2019년 왜목항·한진포구, 2020년도에는 용무치항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2&aid=0002162768|어촌뉴딜300]] 산업에 포함시키는 등 관광지와 연계한 어항 재개발 사업을 잇달아 따냈다. == 논란 == === [[MBC]] 취업청탁 논란 === [[2018년]] [[3월 5일]] 밤, 어기구가 자기 아들이 [[MBC]] 아나운서 지원을 했다며 [[http://www.sedaily.com/NewsView/1RWV39H0M1|3월 6일 새벽에 페이스북에 공개적으로 글을 올렸다]]. 문제는 MBC는 [[블라인드 채용]]을 채택하고 있어, 지원자나 채점자의 신분을 공개하면 안 된다는 것. 당연히 어기구가 자신의 국회의원 지위를 이용해 '''MBC에 공개적으로 취업 청탁'''을 했다는 논란이 커졌다. 어기구는 MBC라는 글자를 한 차례 지웠으나, [[페이스북]]에서는 '''수정 로그도 전부 보존'''하기때문에 글자를 지운다고 지워지지 않았고, 결국 글을 삭제하고 [[3월 6일]] 오후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5203046881330403002|대국민 사과와 동시에 아들의 아나운서 지원 철회를 결정했다]]고 발표하였다. === 문자 논란 === [[파일:gikoo.jpg]] ,,,A씨와 당진 시민으로 추정되는 B씨가 보낸 문자들을 합쳐놓은 것,,,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직후, 한 유권자가 "재난지원금 정부와 발 맞춰 70% 가라"고 보낸 문자메시지에 "당신이 대통령 하시죠", B씨가 보낸 "일을 똑바로 하고 어디서 반말에 협박질을 하느냐"라는 메시지에는 , "개자식이네", "유권자가 유권자다워야지"라고 답장을 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이와 관련해 기자들이 어기구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에 걸쳐 통화를 시도하고 문자메시지를 보냈으나 답변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04203113Y|한국경제]] [[https://news.joins.com/article/23758722|중앙일보]]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0163100063|연합뉴스]] 이후 어기구의 공식 블로그에서는 사실 확인 중이라는 답변을 남겼다. 첫 사진은 A씨가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 추정되는 100명에게 단체 문자를 보낸 부분이 잘려 있는데, 최초 보도 당시 사진에는 단체발신 사실이 캡처 화면 상단에 나와 있었다는 이유로 왜곡됐다며 어기구를 커버치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을 같이 본다 해도 어기구가 망언으로 답한 사실은 변하지 않는데, 질문자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거나 하면 정중히 답해주는 것이 정치인이 할 언행이지 "니가 대통령 하라"는 식의 발언이 결코 정당성 있는 답변이 될 수는 없다. 게다가 비속어를 먼저 사용한 쪽이 "일이나 똑바로 해 어디서 유권자에게 반말에 협박질이야 당선됐다고 막나가네 ㅉㅉ"라고 발언한 B씨라는 주장도 있으나, B씨의 발언이 반말조이긴 해도 의원 개인에게 직접 욕설한 것도 아니며, 도리어 B씨에게 먼저 욕설을 한 것은 어기구이다. 결국 4월 22일 어기구 본인이 페이스북에 사과글을 올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565720|관련 기사]] === 의정 간담회 욕설 논란 === 2021년 10월 18일 오전 당진시 수청동의 어기구 지역사무실에서 열린 의정 간담회에 당진시 농민회장 김희봉을 비롯한 농민회 회원과 어기구, 어기구 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당진 간척지 활용 문제와 당진 송전탑 문제 등 지역 현안이 논의됐는데, 이 과정에서 농민회와 어기구 사이에 언쟁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어기구는 ‘왜 떠드냐’고 화를 내며 회의자료를 집어 던지고 ‘양아치 ×××’라고 욕을 했다. 어기구는 사흘 뒤인 10월 21일 보도자료로 사과문을 냈으나 농민회 측은 진정성 없는 사과라며 민주당에 어기구에 대한 징계를 요청했다. 김희봉은 “욕설을 들은 당사자에겐 전화 한 통 하지 않고 언론에 보도자료만 내면 그것이 사과인가”라며 “민주당은 어기구를 징계해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565450|#]] ===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체포동의안]] 표결 무기명 투표 원칙 위배 논란 === [[파일:1695287563.png|width=70%]] 어기구 의원의 지지자로 추정되는 사람이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관련 부결 투표 여부를 물어보는 문자를 보내자 인증샷과 함께 답장을 보냈다. 2023년 9월 22일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s-3|체포동의안 표결]] 직후 [[재명이네 마을]], [[이재명 마이너 갤러리]],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보배드림]], [[클리앙]], [[더쿠]]등 친민주당 커뮤니티에 사진이 확산되면서 언론에서도 무기명 투표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 제기를 하기 시작했다.[[https://youtu.be/vfBpDD0d3Hs?si=ROiCOKdATNQ6GN1M|#]] [[공직선거법]]에서는 투표용지를 촬영하면 처벌받는다.[* 공직선거법 제166조의2(투표지 등의 촬영행위 금지) ① 누구든지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를 촬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투표관리관 또는 사전투표관리관은 선거인이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를 촬영한 경우 해당 선거인으로부터 그 촬영물을 회수하고 투표록에 그 사유를 기록한다.][* 제256조(각종제한규정위반죄) ③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선거질서와 관련하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사. 제166조의2제1항(제218조의17제9항에서 준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투표지를 촬영한 사람] 하지만 체포동의안 표결은 공직선거법이 아닌 [[국회법]]의 적용을 받고, 국회법에는 무기명 투표 원칙 위배 관련 처벌조항이 없으며, 국회 내부 징계 규정도 없어서 무기명 투표 원칙을 위배하기는 했지만 제제할 방법은 없다.[[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5194651|#]]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상남자라는 반응이 대다수이지만, [[국민의힘]] 지지자들이나 비명계는 무기명투표 원칙 위배라며 비판을 하고 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3> 충남 [[당진시(선거구)|당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13,391 (22.03%) || 낙선 (3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8,530 (40.44%)''' ||<|2> '''당선 (1위)''' || '''초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38,535 (47.66%)''' || '''재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기구1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기구20.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9대 총선}}}]] [[당진시(선거구)|{{{#000000,#fff (충남 당진시)}}}]]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당진시(선거구)|{{{#000000,#fff (충남 당진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어기구21.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1대 총선}}}]] [[당진시(선거구)|{{{#000000,#fff (충남 당진시)}}}]] || }}}}}}}}} || == 둘러보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충청남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충청남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당진시 출신 인물]][[분류:함종 어씨]][[분류:196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상경계 교수]][[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분류:학생운동가]][[분류:노동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북일고등학교 출신]][[분류:순천향대학교 출신]][[분류:빈 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재직]][[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육군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