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건축재료 양회(洋灰), rd1=시멘트, other2=후한 말의 장수, rd2=양회(후한))]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공산당의 구조)] {{{+1 [ruby(两会, ruby=liǎnghuì)]}}} [[중국]]의 [[중화인민공화국 헌법|헌법]] 상 최고기관 2개를 지칭하는 말로, '''[[전국인민대표대회]]'''(中华人民共和国全国人民代表大会, 약칭 전인대 全人大)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中国人民政治协商会议, 약칭 정협 政协)를 이르는 말이다. 매년 [[3월]]에 [[인민대회당]]에서 열린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은 [[중국]]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자문기구로, 국가정책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인대에 법안을 건의하는 역할을 맡는다. [[중국공산당]]을 비롯해 [[민주당파]], 인민단체, [[소수민족]], 재외동포 등 34개 영역을 대표하는 전국위원들로 구성된다. 정협 전국위원은 전인대와는 달리 [[추천]] 방식으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https://www.voakorea.com/a/4820164.html|#]]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전국 각지에 있는 [[인민]] 대표들이 1년에 한 차례씩 모여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행사이다. 중국의 [[입법부]]에 해당되는 기구이지만 너무 규모가 커서 매년 3월에 열리는 정례회를 제외하면 전인대 산하 상무위원회가 대행한다. 전인대 대표는 각 성에서 [[간접선거]]로 선출한다. 이 기간 동안 [[중국 정부]]는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168084|자신들의 체제 선전을 위해 애를 쓴다]]. 양회를 앞두고 [[베이징]] 인근 공장들의 가동을 정지시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06/2019030601118.html|베이징의 미세먼지가 사라지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한다. [[2020년]] 초부터 중국과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사태로 연기가 결정되었다. 이는 [[문화대혁명]]의 종식 이래 약 40년 동안 정상적으로 개최되어 온 양회가 늦춰지는 첫 사례다. [[분류:중국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