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ffffff {{{-1 폐역}}}}}}'''|| [[효자역(포항)|{{{#000000 효자}}}]] - --[[양학동역|[ruby(양학동, ruby=~2005)]]]-- - [[포항역(폐역)|[ruby((舊)포항, ruby=~2015)]]] - --[[학산역(동해중부선)|[ruby(학산, ruby=~1945)]]]-- || {{{+1 良鶴洞驛 / Yanghakdong Station }}} ||<-3> {{{+2 '''양학동역'''}}}[br]{{{#red '''(폐역)'''}}}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6.026136 129.351932,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Yanghakdong || || [[한자]] ||<-2> 良鶴洞 || || [[간체자]] ||<-2> 良鹤洞 || || [[가나(문자)|가나]] ||<-2> [ruby(良鶴洞, ruby=ヤンハクドン)] || ||<-3> '''주소''' || ||<-3>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학잠동]] 60-3 || ||<-3> '''관리역 등급''' || ||<-3> [[폐역]][br]--([[코레일|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 ||<-3> '''개업일''' || || [[동해남부선]] ||<-2> 1975년 7월 1일~[br]2005년 7월 1일 || ||<-3> '''철도거리표''' || || [[부산진역(경부선)|{{{#!html
부산진 방면}}}]][[효자역(포항)|효 자]][br]← 2.8 ㎞ || '''[[동해남부선]]'''[br]--양학동--[br]{{{#red '''(폐역)'''}}} || [[포항역|{{{#!html
포항 방면}}}]]--[[포항역(폐역)|포 항]]--[br] 1.2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동해선]]의 폐역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학잠동]] 60-3 소재. [[한국철도공사]] 대구지사 산하의 [[임시승강장]]이었다. == 역사 == 포스코 통근열차가 운행했을때 양학동에서 포항제철로 통근하는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1975년 7월 1일에 개업하였다. 그래서 [[포항역]]에서 [[제철역]]간을 운행한[* [[포항역]] - 양학동역 - [[효자역(포항)|효자역]] - [[제철역]]] [[괴동선]] 포스코 통근열차만 정차했으며, 포항제철 관계자만 승차할 수 있었다. 역사에는 별다른 시설도 없었고, 승강장만 덜렁 있는 형태였다. 심지어 역명판마저도 없었다. [[괴동선]]이 K리그 경기가 열리는 포항 스틸야드([[제철역]] 인근)로 가는 노선이기도 하여 경기가 있을때에는 포항제철 관계자 외에도 승차가 가능했다. 그러나 포스코통근열차 운행이 중지되면서 2005년 7월 1일 폐지되었다. 이 역의 승강장은 오랫동안 남아있었지만 구 [[포항역]] 방면 10m지점에서 침수방지시설 설치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침수방지공사가 끝나고 공원조성공사에 들어갔으며 공사진행과정에서 플랫폼이 모두 철거되었다. 하지만 최근 양학동역 플랫폼 자리에 공원 조성할때 만든 [[https://arca.live/b/photography/92232419|역사 비슷한 건물]]이 들어섰고, 안에는 포항의 발달사를 사진으로 남겨두었다. == 기타 == 어떤 철도동호인이 양학동역 [[폐역]] 후에 이 역에 종이 역명판과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만들어 비치하였다. [[파일:양학동_종이역명판.jpg]] 종이 역명판 [[파일:양학동역 스탬프.jpg]] 스탬프. 현재 분실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동해선의 역 목록)] [[분류:경상북도의 폐지된 철도역]][[분류:동해남부선(폐지된 구간)]][[분류:197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05년 폐지된 철도역]][[분류:동해선(폐지된 구간)]][[분류:포항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