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www.ckt21.com/3_5.jpg]] || || '''이름''' || 양필승 (梁必承, Yang, Phil Seung) || || '''본관''' || [[제주 양씨]][* 유격공파.] || ||<|2> '''출생''' || [[1957년]] [[8월 25일]] ([age(1957-08-25)]세) || || [[전라남도]] [[광주시]] || || '''학력''' || [[경기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2 ([[중어중문학]] / [[학사]])}}}[br][[UCLA|UCLA 대학원]] {{{-2 ([[역사학]][* [[중국사]] 전공] / [[박사]])}}} || || '''종교''' || [[기독교]] || || '''가족''' || [[배우자]] 장연진[br]슬하 1녀 양동하(梁東霞, Dongha Donna Yang) || || '''현직''' || 로컴 [[CEO]], 씨케이티 그룹 [[회장]] || || '''약력''' ||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br] 국가비상기획위원회 [[위원]][br]서울차이나타운개발주식회사 [[대표이사]] [br] 대통령자문 동북아경제추진중심위원회 전문위원 || || '''링크''' || [[http://twitter.com/psyang21|트위터]], [[https://www.facebook.com/pskorea2017/|페이스북]], [[https://www.youtube.com/channel/UCwiFCpTyMiN9YEpY-pawNow|유투브]], [[http://blog.naver.com/psyang2017|블로그]], [[https://www.instagram.com/psyang21|인스타그램]]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기업인]]. [[전라남도]] [[광주시]] 출신. == 생애 == 1957년 8월 25일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태어났다. 1975년 [[경기고등학교]]에 입학, 고교시절 유신반대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77년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진학한 뒤 노동야학을 만들어 노동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때 [[미성년자]] 여성 근로자의 [[피임|피임법]]을 교육하기 위해 [[의과대학]]에 재학하는 여학생을 찾다가 [[울산대학교병원]] 교수로 있던 부인 장연진을 만났다. 당시 장교수는 보건교사로 야학에 참여하였다. 양필승의 고교시절 정치적 활동 때문에, 양씨의 부모가 이민을 결정하여 1980년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소식을 접하고 백여명의 교민을 이끌고 미국 적십자사를 닷새 동안 점거하고 [[단식투쟁]]하였다. 미국 대통령에게 공수부대의 광주진입을 막아달라는 청원운동을 점거 중에 전개하였다. 20여년이 경과한 후에 미국 현지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등 점거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공개하였다. 1988년 [[UCLA]]에서 [[중국사]] 전공으로 [[역사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313651|The Peasants of Suzhou, 1863-1945 : Family Farms in Agrarian China]].]를 받고, 귀국하여 건국대학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1989년 교보문고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경제사> 등이 출판된 후 , 한국에서 중국에 관한 저술활동을 하였다.1997년말 외환위기가 발생하자 정부외자유치단 고문과 현대그룹의 고문으로 활동하였고, 국가비상기획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90년 말 직접 기업을 창업하여 대중관련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20여년 사업가로서 생활하였다. 현재는 중국과 한국에 여러 기업을 소유한 홀딩컴퍼니인 CKT집단의 회장으로 있다. 대통령직속 인천경제특구위원과 대통령직속 동북아위원회 전문위원 및 세계화상대회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건국대학교 부설 중국기업연구소 세미나의 명예소장으로 참여하였다, 중국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에 본인이 발기한 중국위안부를 위한 기금 <22인의 친구>에 대한 특집이 방영되어, 인터뷰가 실렸고 국내에서도 <22인의 친구>의 발족에 대해서 보도되었다. 2002년 한국 화교들을 위해 영주권 제도를 만들고, 2007년부터 연례적인 행사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정착에 기여하였으며, 2016년 중국 태자당 등 유력인사들과 함께 중국 위안부기금을 만들었다. 2016년 12월말 국민의당에 입당하고, 2017년 3월 제19대 대통령 선거출마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으나 결국 1차 컷오프되었다. == 비판 == 노동운동과 관련해서는 활동은 인정하지만, 그게 결과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이끌었는지는 불명확하며, 화교 영주권 제도도 실질적으로 국익 차원의 판단이 모호하다. 건국대 교수나 저술 활동은 돈을 받고 한 영리 활동이므로 사회 공헌이라고 하기 힘들고, 20년간 회사를 운영하였음에도 기부금 내역이 없는 걸로 봐서는 사회적 사업가 범주가 아닌, 영리적 사업가로 보여진다. == 저서 == * <<필승!코리안>> (2008) * <<和而不同>> (2008) * <<에세이 동양문화사>> (2008) * <<중국사회사>> (2008) * <<인물 中國史>> (2008) * <<차이나타운 없는 나라>> (2004) * <<중국학>> (1998) (공저) * <<위기의 중국, 어디로: 사회사적 이해와 전망>> (1992) [[분류:한국의 역사학자]] [[분류:중국사학자]] [[분류:인문과학 교수]]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제주 양씨]][[분류:1957년 출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건국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