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명이 양태영인 유튜버, rd1=두클립)] ||<-2> '''{{{+2 양태영}}}[br]梁泰榮 | Yang Taeyo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태영(체조).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출생''' ||[[1980년]] [[7월 8일]]([age(1980-07-08)]세)|| ||[[서울특별시]] [[마포구]]|| || '''신체''' ||167cm, 62kg|| || '''학력''' ||창천초등학교 {{{-2 (졸업)}}}[br][[성산중학교(서울)|성산중학교]] {{{-2 (졸업)}}}[br][[서울체육고등학교]] {{{-2 (졸업)}}}[br][[한국체육대학교]] {{{-2 (체육학과 / 학사)}}}[br][[한국체육대학교]] {{{-2 (체육학과 / 석사)}}}|| || '''종목''' ||[[체조|기계체조]]||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체조|기계체조]] 선수이다. == 생애 == 서울 창천초등학교와 성산중학교를 나오고 서울 체고와 한국 체대를 나왔다. 기계체조에 집중하여 국가대표로 발탁됐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땄다. 현재는 국가대표팀 코치 역할을 맡고 있다. === [[2004 아테네 올림픽]] 편파판정 논란 === [[2004 아테네 올림픽]] 개인종합 결선에서 만점 경기를 펼치고도 심판 오심으로 인해 동메달에 머물렀다. 평행봉 경기에서 스타트 점수 10점짜리 연기를 9.9점짜리로 편파판정을 당했고, 도마 경기에서 미국의 '폴 햄'이 착지하다 심판석까지 굴러 떨어졌는데도 9점대라는 상당히 후한 점수[* 이 정도 실수라면 잘 봐 줘야 8점대가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같은 대회에서 도마 연기 후 착지하다 앞으로 무릎을 꿇었던 어느 북한 여자 선수는 8점대 점수를 받았는데, 폴 햄은 '''넘어지고 손도 짚고 옆줄 밖으로 벗어나고 심판석까지 굴러 떨어졌는데도''' 9점대를 받은 것이다.]를 받는 등 심판진이 노골적으로 폴 햄을 밀어줬고, 결국 폴 햄이 김대은과 양태영을 밀어내고 금메달을 강탈했다.[* 당시 [[SBS]] [[박종훈(기계체조)|박종훈]] 해설위원도 이럴 수는 없는 일이며, 다시는 후배들이 이런 설움을 받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울먹이며 얘기했다. [[최영주(아나운서)|최영주]] 아나운서도 속상한 일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국제체조연맹은 대한민국이 오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과 관련해 “오심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포츠 중재 재판소]]는 한국 시간으로 2004년 10월 21일 오후 10시 스위스 로잔 재판소 본부에서 심리를 열고 오심으로 잘못된 올림픽 남자 기계체조 개인종합 경기결과를 바로 잡아달라며 국제체조연맹에 제기한 소청사건에 대해 기각 결정을 내렸다. 스포츠 중재 재판소는 대한올림픽위원회에 보낸 결정문에서 "양태영 측이 제 시간 안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선수단이 제기한 소청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기각을 결정한 이유를 밝혔다.[* 안타깝게도 양태영의 대학교 후배들인 [[신아람]]과 [[황대헌]], [[이준서(쇼트트랙)|이준서]]도 심판의 편파판정을 당한 피해자가 되었는데, 세 명 모두 국제스포츠연맹에게 제소하다가 '심판의 판정을 인정해야 한다'는 이유로 기각을 당했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양태영과 동갑내기 선수인 [[김동성]]도 [[제임스 휴이시|심판의 편파판정]]으로 실격당한 과거가 있었다. 심지어 두 사람의 금메달을 빼앗아간 [[아폴로 안톤 오노]]와 폴 햄 모두 미국 출신인데다가 1982년생이었다.][* 10년 후 [[2014 소치 동계올림픽|러시아에서 개최한 동계올림픽]]에서 [[2014 소치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판정 논란|비슷한 사건]]을 겪은 [[김연아]]도 피해자였다. 두 사람 모두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인해, 메달을 따긴 했지만 금메달리스트였던 가해 선수에게 망언을 듣고 피해 받았다.] 이후 국제체조연맹은 오랜 시간 고수해 온 10점 만점제를 2006년부터 폐지하고 종목별 상한선이 없는 현 점수 체제로 바꿨다. 다만, 양태영 건 하나만으로 바뀐 건 아니고 알렉세이 네모프 건을 비릇해 기계체조 부분에서 판정 시비가 유독 많았던 점이 제일 컸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동메달 || [[2004 아테네 올림픽|2004 아테네]] || 개인종합 || ||<-3> {{{#white 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2006 도하 아시안 게임|2006 도하]] || 단체전 || ||<-3>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단체전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도마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링 || || 금메달 ||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3 대구]] || 평행봉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기계체조 선수]][[분류:마포구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기계체조 메달리스트]][[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기계체조 메달리스트]][[분류:2008 베이징 올림픽 기계체조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6 도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한국체육대학교 출신]][[분류: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