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include(틀:조선의 행정구역)] ||<-4>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출력= )]일제강점기 [[경기도|{{{#000000,#dddddd 경기도}}}]]의 폐지된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고시치노키리.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양천군}}}'''[br]陽川郡[br]{{{-1 Yangcheon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13년의 양천군.png|width=100%]]}}} || ||<-4> {{{-1 1913년의 양천군 관할 구역}}} || || '''상위 행정구역''' ||<-3>[[경기도]] || || '''폐지 이후''' ||[[김포시|금포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김포시/역사|금포군(후에 김포군으로 독음이 변경됨)]]으로 통폐합된 [[경기도]] 소속 행정구역으로, 1962년 이후 오늘날의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오곡동, 오쇠동 제외)와 [[양천구]], [[영등포구]] 양화동 및 양평동 일부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당시에는 이 지역이 [[수도(행정구역)|수도]]([[한성부|한성]], [[경성부#s-1|경성]])와 별개의 독립된 행정구역이었던 것이다. 상단 지도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성과물로써 학술 연구를 통해 비정된 것이다. == 역사 ==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다. [[757년]]에 [[남북국 시대]] [[신라]] [[경덕왕]]이 공암현(孔岩縣)으로 개칭했다. [[고려]] 초기인 1018년에 과주(果州, 동시기에 율진군(栗津郡)에서 개칭, 현 [[과천시]] 등)에 속한 공암현에서 수주(樹州, 옛 부평군)에 속한 공암현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이후 주군(主郡)이 수주에서 안남도호부, [[계양구|계양도호부]], 길주목(13), 부평부(1310)로 읍호와 읍격이 몇 차례 변경되었다. 1310년에 양천현으로 하였다. 1920년대에 안양천 제방이, 1980~1990년대에 한강변 제방이 축조될 때까지 [[한강]]이 범람할 때마다 물난리를 겪었다. [[한양]]으로 천도한 뒤인 조선시대에 조정의 지원을 받는 근거가 되어 [[사또]], 즉 양천현감(또는 양천현령)의 치부 수단이 되었다. 그래서 겉은 형편 없어보이나 실상은 알[[부자]]인 사람을 양천현감 같다고 했다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양천구, version=1223, paragraph=2)] == 구한말 행정구역 == * 군내면(郡內面): 현 [[강서구(서울)|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마곡동 일대로 행정구역 단위가 [[현(행정구역)|현]]이었을 때에는 현내면(縣內面)이었다. * 삼정면(三井面): 현 [[강서구(서울)|서울시 강서구]] 개화동, 방화동 일대 * 가곡면(加谷面) / 가배곡면: 현 [[강서구(서울)|서울시 강서구]] 공항동, 과해동, 내발산동, 외발산동 일대로 1896년에 가배곡면에서 가곡면으로 개칭되었다. * 남산면(南山面): 현 [[강서구(서울)|서울시 강서구]] 등촌동,·염창동·화곡동, [[양천구]] 목동, [[영등포구]] 양화동 및 양평동 일부 일대 * 장군소면(將軍所面): 현 [[서울시]] [[양천구]] 신월동, [[신정동(양천구)|신정동]] 일대 1914년에 [[부군면 통폐합]]으로 군내면, 남산면, 장군소면이 [[양동면(김포)]]으로, 삼정면, 가곡면이 [[양서면(김포)|양서면]]으로 통폐합되었다. == 기타 == 오늘날 [[김포시]] 지역과 잠시 같이 묶이게 되었다. 오늘날 존재하는 양천은 1988년 양천군 전체가 속한 강서구의 일부가 분리되어 [[양천구|신설된 구]]에 붙여졌다. 이를 반영한 것으로 [[양천로]], [[양천향교역]] 등이 있다. 이 지역이 김포가 되었다가 다시 서울이 되면서 서울 땅에 김포라는 지명이 붙은 [[김포국제공항]]이 있게 되었다. [[양천 허씨]]의 양천이 이 곳이며, [[허준]]의 관향([[본관]])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양천향교역, version=18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양천, version=15)] == [[고전]] 내용 == * 세종실록 지리지: [[https://sillok.history.go.kr/id/kda\_40004005\_005;jsessionid=5FC02E91C244FB96DA52819FD112DE36|양천현]] == 관련 항목 == * [[대한민국/지명]] * [[일제강점기/행정구역]] [[분류:1914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강서구(서울)]][[분류:경기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김포시의 역사]][[분류:서울특별시의 역사]][[분류:양천구]][[분류:조선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