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대만의 프로게이머]][[분류:1987년 출생]]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2> [[파일:attachment/양지아정/398px-Gama_sen.jpg|width=250]] || || 성명 || 楊嘉程[* [[리퀴피디아]]에서는 楊家正으로 표기하고 있다. 어느 쪽이 맞는지 확인이 필요한 부분.][br]Yáng Jiā Chéng[br]양지아청[* 楊嘉程이 아니라 楊家正이라면 '양지아정(Yáng Jiā Zhèng)'이 맞다. 그런데 리퀴피디아에서는 로마자 표기를 'Yang Chia Cheng'으로 쓰고 있으니 알다가도 모를 노릇] || || 생년월일 || 1987년 1월 15일 || || 국적 || [[대만]] || || 종족 || [[저그]] || || 소속 || DuskBin E-sports[br]→ [[Fnatic]][* 2010년 9월 1일 입단][br]→ GaMa Bears[* 2011년 8월 14일~2013년 11월 16일] → Hong Kong Attitude[* 현재 본인외의 소속선수가 없음. 개인스폰서인지 팀 창단멤버 1호의 성격인지 현 시점에서 불명. 알려진 바로는 LOL, 카스, 하스스톤의 선수단도 운영한다고 함. ] || || ID || Sen[* 勝(Shèng)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 || 2013 WCS 순위 || 78위(425점) || || SNS || [[https://twitter.com/GamaniaSen|트위터]] [[https://www.facebook.com/YangChiaCheng|페이스북]] || [목차] [clearfix] == 경력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 * 2004년 [[WCG]] 2004 대만 대표 선발전 1위 * 2005년 WCG 2005 대만 대표 선발전 1위 * 2006년 PGL China 3위 * 2007년 GosuGamers Star League Season 1 준우승 * 2009년 WCG 2009 대만 대표 선발전 1위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2010년 * [[MLG]] Pro Circuit Dallas 17-24th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3]] 32강 * [[블리즈컨]] 스타크래프트2 부문 5-6th * 2011년 * [[NASL]] Season 1 3위 *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쉽 서울]] 16강 * [[DreamHack]] Summer 2011 8강 * NASL Season 2 3위 * WCG [[스타크래프트2]] 부문 그랜드파이널 56강 * [[블리즈컨]] 스타크래프트 2 부문 3위 * 2012년 * NASL Season 3 16강 * [[2012 HOT6 GSL Season 1]] [[코드 S]] 32강 →~~코드 A 32강~~[* 32강에서 기권] * NASL Season 4 16강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아시아 컨티넨탈]] 12강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그랜드파이널 상하이]] 4위 * 기타 * 2011년 WCG 2009 대만대표선발전 1위 * 2012년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대만 대표 선발전 1위→ 그랜드 파이널 진출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2013년 *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16강 * [[2013 WCS America Season 1]] 프리미어 리그 16강 챌린저 리그: 브라켓 스테이지 3라운드 탈락→ 그룹 스테이지 조 3위 * [[2013 WCS America Season 2]] 챌린저 리그 브라켓 스테이지 통과 * [[2013 WCS America Season 3]] 프리미어 리그 출전(예정) * WCG 2013 대만 국가대표 * 2014년 * TeSL 2013-2014 Season 1 우승 (vs 킴 함마르) * TeSL 2013-2014 Season 2 준우승 (vs 강초원) * TeSL 2013-2014 Season 3 준우승 (vs 강초원) * TeSL 2013-2014 Season 4 준우승 (vs 이종혁) * [[2014 WCS America Season 1]] 32강 * [[2014 WCS America Season 2]] 32강 * TeSL 2014 Taiwan Open 우승 (vs 고석현) == 상세 == [[스타크래프트 1]] 시절 [[대만]]의 [[WCG]] 국가대표에 항상 뽑힐 정도로 대만 내 손꼽히는 선수로 통했다. [스타크래프트 2]]로 전향한 이후엔 클로즈 베타 시절 세계 최강의 저그에 손꼽히기도 한 견제의 달인이였고, 뮤탈리스크 위주의 운영 플레이를 상당히 좋아한다. 2016년 5월 9일, Hong Kong Attitude와의 계약 종료와 동시에 은퇴를 선언했다. 2018년 4월 13일, 현역 마지막 팀이었던 Hong Kong Attitude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 감독으로 복귀했다. == 성적 ==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3 === GSL 데뷔 무대인 64강에서 oGsVines [[이상헌]]을 손쉽게 잡으며 당시 퍼져있던 ~~아직도 확실하게 없어진건 아니지만~~ 우승자 광탈 징크스에 따라 뼈그마왕 [[임재덕]]마저 잡아낼 것 같은 기세를 뿜어냈다. 하지만 32강의 센 vs 네스티는 역시 저저전의 최강자는 역시 네스티라는 것이 드러난 경기였고 셧아웃을 당하고만다. ===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쉽 서울 === Fnatic이라는 팀에 소속되어 아시아 & 오세아니아 대표로 [[앤드류 펜더]]와 같이 다시 GSL에 등장했다. 친선 팀매치에서[[이정환(하스스톤)|이정환]]과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을 잡아내며 첫날의 월드 올스타즈의 승리에 큰 몫을 했다. 본선 토너먼트에선 [[이정훈(프로게이머)|Marine~~Kong~~King]]에게 복수당하며 광탈했다. 그뿐만이 아니라 '스타 2 보이는 라디오'에서도 이정훈과 스페셜 매치를 가졌는데 팽팽한 접전을 벌였지만 역시 패배. TSL에서도 황제 [[임요환]]과 팽팽한 접전 끝에 2:3으로 패배했다. [* 임요환이 저막이라지만 양지아정과의 경기에서는 일신된 경기력을 선보였다. 특히 5경기의 운영과 드랍은 그야말로 환상적.] === NASL Season 1 === 2011년 4월부터 시작된 북미 스타 리그(NASL) 조별 풀 리그, [[그렉 필즈]], 임요환, [[최정민(프로게이머)|최정민]] 등의 고수가 있는 5조에서 6월 2주차 마지막 경기까지 결과로 7승 2패로 조 2위로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1위인 임요환과 승점은 11점으로 같으나 임요환은 8승 1패라 1위 등극.[* 5월 3주차까지만 해도 그렉이 줄곧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5월 4주차 경기부터 순위가 대폭 역전되었다. 이 때는 2위가 임요환, 공동 3위가 최정민과 그렉. 6월 1주차에는 1위 양지아정, 2위 임요환, 3위 최정민, 4위 그렉었는데 점수 차이도 1·2위와 3·4위가 1점밖에 차이가 안 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5조는 그야말로 죽음의 조였던 상황에서 이뤄낸 본선 진출 확정이었다.] 16강에서 최정민 선수를 다시 잡아내나, 4강에서 [[장민철]] 선수에게 아쉽게 2:3으로 분패하고 만다. 하지만 3·4위 결정전에서는 [[박성준]] 선수를 잡아내며 다행히 대회 3위는 얻어냈다. === 2012 HOT6 GSL Season 1 === 2011년 12월 4일,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984791&board=&category=13438&subcategory=&page=1&best=&searchmode=&search=&orderby=&token=|2012년 GSL 코드 S 첫 시즌의 '''후원사 시드''' 2장 중 한 장을 받았다]](나머지 하나는 그렉 필즈). 지난 시즌 우승자인 [[정지훈(프로게이머)|정지훈]]의 권한으로 개막전에 편성되게 되어 벌써부터 2012년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코드 S 32강에서는 아무런 활약도 보이지 못하고 코드 A로 떨어졌다. 여느 해외 시드를 받고 한국에 온 선수들처럼 코드 A로 떨어짐과 동시에 코드 B로 또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과는 달리 코드 A 48강에서 스타테일의 유기성을 잡고 일단 다음 시즌 코드 A 시드를 확보하였다. 그러나 코드 A 32강에서는 건강 상의 문제와 해외대회 일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기권을 선언하며 불참하게 된다.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그랜드파이널 상하이 === 2012년 11월 벌어진 그랜드 파이널에서는,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아시아 컨티넨탈 때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대만 1위의 위용을 몸소 보여주게 되는데[* 대한민국 대표 [[이원표]]와 [[송현덕]]을 직접 꺾음], 이것 때문에 국내에서도 꽤나 반응이 뜨겁다. 하지만 TPA급의 돌풍을 기대했던 팬들에게는 조금 아쉽게, 한국의 프로토스 [[원이삭]]을 만나 3연속 멸자뽕에 무력하게 밀리며 3:0으로 3·4위전으로 내려갔다. 패자조에서도 [[정윤종]]을 상대로 패배, 4위 상금 8천 달러를 획득하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 TeSL 2014 Taiwan Open === 자국에서 열린 2티어 대회 TeSL 타이완 오픈에서 [[최지성(프로게이머)|최지성]], [[고석현]] 등 한국 선수 등을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프리미어 이벤트로 분류 되는 2티어 이상 대회에서 비 한국인이 우승한 건 자유의 날개 말기였던 2012년의 마지막 대회였던 홈스터리컵 이후 처음(…)이자, 이후로도 2015년도 1분기가 지나간 시점까지 유일하다(…). ~~통합 진영에서마저 한국인이 우승하면 꿈도 희망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