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외교부장)] ---- ||<-2>
'''{{{#ffff00 중화인민공화국 제10대 외교부장}}}[br]{{{#ffff00 {{{+1 양제츠}}}[br]杨洁篪 }}}'''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제츠_57ef02d58a23bf6_w700_h965.jpg|width=100%]]}}} || || '''{{{#ffff00 이름}}}''' ||[[간체자]]: 杨洁篪 / [[번체자]]: 楊潔篪 ([[한어병음|병음]]: Yáng Jiéchí)[br][[한국 한자음]]: 양결지 || || '''{{{#ffff00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출생}}}''' ||[[1950년]] [[5월 1일]] ([age(1950-05-01)]세)[br][[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 || '''{{{#ffff00 학력}}}''' ||[[바스 대학교]][br][[런던 정치경제대학교]][br][[난징대학교]] || || '''{{{#ffff00 종교}}}''' ||[[무종교]] ([[무신론]]) || || '''{{{#ffff00 정당}}}''' ||[include(틀:중국공산당)] || || '''{{{#ffff00 현직}}}'''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중앙외사공작위원회 주임 || || '''{{{#ffff00 주요 이력}}}''' ||주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대사[br]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부부장[br]'''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 중국공산당 중앙외사공작위원회 주임. == 생애 == [[1950년]]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상하이국제학교에서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냈고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1968년]]부터 공장 노동자로 일하다 외교부가 뽑은 국비장학생에 포함돼 [[1973년]] [[영국]]으로 유학을 가 바스대학과 런던정경대학교에서 공부해 학사를 땄다. 이 후 [[난징대학]]에서 세계사 박사를, 난카이대학교에서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1983년]]부터 중국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경력을 시작한다. [[미국]]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한 적도 있고,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주미 중국대사직을 지냈다. [[2007년]]에는 외교부장으로 발탁되며 외교관으로서 승승장구하였다. 외교부장직 이후에는 [[2013년]] 국무원 국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2017년]]에는 당 외사공작위 판공실 주임 겸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 외교관의 지위가 낮은[* 중국 외교관들은 결정권 없이 당중앙의 입장을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타국에서는 외무장관이면 영향력이 2-3위, 못해도 5위 안에 들어가는 거물이지만 중국은 외교책임자가 상무위원은커녕 정원 25명의 정치국의 일원조차도 아니었기 때문.] 중국 공산당에서 외교관이 정치국에 진출한 것은 1990년 첸지천 전 부총리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 행보 == 시진핑 시대에 들어서 중앙외사공작위원회 주임(우리나라로 치면 [[국가안보실장]]겸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에 발탁되었다. 이곳은 중국 외교의 사령탑과도 같은 곳이라, 시진핑 시대의 중국 외교의 틀이 결정되는 곳이다. 그만큼 외교 분야에서 최선두 분야에 서있는 셈이다. 시진핑 시대의 외교는 [[왕치산]]-양제츠-[[왕이(외교관)|왕이]]로 설명된다. 2020년 8월 22일에는 방한하여, [[서훈(1954)|서훈]] 국가안보실장과 부산에서 회담을 가졌다. 인상을 보면 양제츠가 왕이보다 온건하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성격과 인상이 다르다. 물론 자국의 이익의 외교정책에는 서로간에 대동소이하지만 업무처리를 보면 [[왕이(외교관)|왕이]]는 인상이 날카롭고 예민한 인상이라 외교정책을 강경하게 처리하고, 양제츠는 인상이 부드러우면서 신사적인 인상이라 온건하게 외교업무를 처리한다. 그러나 [[2021년 알래스카 미국-중국 고위급 외교회담]]때 앵커리지에서 미국측인 [[토니 블링컨]] 장관,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미중관계에서 설전을 주고 받았을 때 무섭게 돌변하여 격론을 주고받았다. 그걸 보던 기자들이나 언론들은 '저 사람이 양제츠 맞나?' 라고 놀랄 정도였다. 나이가 고령인지라 2022년 양회를 기점으로 은퇴하였으며, 후임은 [[왕이(외교관)|왕이]] 외교부장이다. == 주요 경력 == ||<-5> '''{{{#yellow 중화인민공화국 역대 외교부장}}}''' || ||<-8>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0]] || || 10대 || {{{+1 → }}} || 11대 || {{{+1 → }}} || 12대 || || [[리자오싱]][br](2001~2007) || {{{+1 → }}} || '''양제츠'''[br](2007~2013) || {{{+1 → }}} || [[왕이(외교관)|왕이]][br] (2013~) || [[분류:중국공산당 16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분류:중국공산당 17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중국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위원]][[분류:중국공산당 19기 중앙정치국 위원]][[분류: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장]][[분류:중화인민공화국 12기 국무위원]][[분류:1950년 출생]][[분류:상하이시 출신 인물]][[분류:중국의 무종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