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장쑤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000,#ddd 장쑤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扬州, ruby=Yángzhōu)][ruby(市, ruby=Shì)]}}}'''[br]양저우시 | Yangzhou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扬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장쑤성]] 양저우시 한장구 원창시루8호[br]江苏省扬州市邗江区文昌西路8号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6,67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2현급시 1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4,559,797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683명/km² || ||<-2> '''{{{#ffff00 HDI}}}''' || 0.798 ^^(2016)^^ || ||<-2> '''{{{#ffff00 서기}}}''' || 장바오좐(张宝娟) || ||<-2> '''{{{#ffff00 시장}}}''' || 왕진젠(王进健)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049억 982만 ^^(2021)^^ || || '''{{{#ffff00 1인당}}}''' || $23,008 ^^(2021)^^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경화, [[작약]] || || '''{{{#ffff00 시목}}}''' || [[은행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苏K'''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扬'''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2'''1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514''' || ||<-2> '''{{{#ffff00 우편번호}}}''' || '''22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JS-10''' ||}}}}}}}}} || ||<-3> [[http://www.yangzhou.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오봉교.jpg|width=450]] 대표적인 관광지인 서우시후 호(瘦西湖)의 오정교(五亭桥)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동부 [[장쑤성]]의 [[지급시]]. [[난징]]에서 동북쪽으로 50km 떨어진 도시로, 시가지는 [[양쯔강]] 북안에 위치해 있는데, 강 건너에는 [[전장]](镇江)이 위치해 있다. [[대운하]]의 건설과 함께 발달하였으며, 복잡하게 얽힌 운하들 사이의 옛 거리와 정원들로 안정적이고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쑤저우]]와 함께 중국 강남 지방의 '물의 도시'로 유명하다. == 역사 == [[파일:중국 양저우 둥관.jpg|width=800]] 도심 서부의 구도심인 둥관 역사 거리 [[후한]] 대에 광릉현이라 불리었으며 동명의 군([[서주]] 광릉군)의 치소도 당연히 이곳에 있었다. 그러나 한나라가 쪼개지고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가 되어 이 지역이 [[위나라]]와 [[오나라]] 사이의 최전방이 되자 위나라는 광릉군의 치소를 [[화이안시]] 일대로 옮겨버렸다. [[수나라]] 대에 [[양주(중국)|양주]]를 재설치하고 치소를 이곳에 두었는데 지금의 양저우라는 이름이 여기서 비롯되었다. 후에 [[대운하]]가 양주 옆에 건설되자 '''[[양쯔강]]과 [[대운하]]가 교차하는 환상적인 위치 조건'''이 갖추어져 엄청난 번영을 이루었다. [[강도]](江都)로 불리며 남쪽의 부수도가 되었고 [[수양제]]가 수서호를 세워 즐겨 찾았으며, 마지막에는 결국 이곳으로 피신했다가 암살되었다. [[당나라]] 대에는 아시아 각지에서 온 상인들이 [[광저우]]나 [[하노이]] 등에 내려서 올려보낸 제품, [[사천]]에서 보내온 비단 등이 대운하를 통해 화북으로 보내지기 전에 마지막으로 집결하는 물류의 허브가 되었다. 그렇기에 환전업, 금융업도 번영하고, 큰 [[신라방]]과 [[페르시아]], [[아랍]] 상인의 무역거점인 번방(蕃坊)이 존재하던 국제적인 상업도시였다. 당나라 대에는 사람들 사이에서 양주에서 죽는 것이 소원이라는 말이 돌았을 정도. 양저우에서 시안으로 보내던 물품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소금과 곡물이었는데, [[황하]] 유역의 지력이 다해 늘어나는 화북의 인구를 먹여살릴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양저우는 당나라의 식량 안보를 책임지는 최중요지가 되었다. 그러나 8세기~9세기 동안 전신공, 필사탁, 손유 같은 반란군 우두머리들이 양저우를 뻑하면 털어대고 상인들을 학살했고, 마지막으로는 10세기에 [[후주]]의 침략을 받으면서 도시가 결국 몰락하고 만다. 결국 [[송나라]] 대에는 시인들이 양주의 적막한 풍경을 노래할 정도가 되고 말았다. 수운 교통의 최중요지 역할도 인근의 [[쑤저우]], [[항저우]] 등에 넘겨주었다. 그러나 [[금나라]]의 남침으로 송 조정이 피신하였을 시에 임시 수도로 삼아질 만큼 여전히 요충지로 대접받고 있었으며(1128 ~ 1129년), [[동방견문록]]에 의하면 [[마르코 폴로]]가 양저우의 행정관이 되었다고 한다. 원명 대에 도시는 소금 유통의 중심지로 다시 번영하였다. 하지만 [[명청교체기]] ([[남명]]) 시기 병부상서, 예부상서를 지낸 사가법(史可法)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청나라]] 군대에 함락된 후 [[양주십일|수만명이 학살되는 피해]][* 80만명이 학살당했다는 주장도 있기는 하지만 이건 과장되었다는 의견도 있다.]를 입었다. 이후 강 건너 [[전장시|전장]]과 동쪽의 [[난퉁시|난퉁]]이 번영하게 된다. == 특징 == [[파일:중국 양저우 정원.jpg|width=800]] 춘하추동의 경관을 자랑하는 개원 현재 인구는 450만명이다. 시가지 동쪽에 양저우 타이저우 국제공항이 있는데, 아직도 수운 교통이 활발하다. 관광지로는 [[남조]] 시대에 지어진 대명사와 서호, 그리고 그 주변의 여러 정원들이 있다. 인근의 명나라 시대 묘역에는 이슬람의 사도 [[무함마드]]의 16대손의 무덤과 14세기 이탈리아 상인의 무덤도 있어 중근세 이슬람/기독교 공동체의 존재를 보여준다. 볶음밥만을 위해 도시를 찾는 미식가들도 있을 정도로 볶음밥이 정말 유명하고 맛있다. 얼마나 유명하냐면 양주가 아니더라도 중국 전역의 어느 중식당에서도 '양주식 볶음밥(扬州炒饭)'을 주문할 수 있을 정도이다. [[수나라]] 대에 "쇄금반"이라고 하여 [[황금 볶음밥|밥을 볶을 때 기름과 달걀노른자가 어울려 금가루처럼 보인다]]고 이름붙은 볶음밥 요리가 있었는데, [[수양제]]가 양주에 방문했을 때 이 쇄금밥을 양저우에 전파한 것이 현재의 '양주식 볶음밥'의 기원이라고 한다. 미식가들은 새우, 관자, 달걀, 해삼 등 재료가 최소 10가지는 되어야 제대로 된 양주볶음밥으로 평한다지만, 이는 표준화된 레시피이며, 양주 내에서도 서민들은 계란 파 햄 등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먹는다. 전국적으로는 '깔끔하고 맛있는 볶음밥'이라는 이미지이다. [[신라]]의 문인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빈공과 급제 후 관리생활을 할 때 근무했던 곳이 양저우였다. 그래서 양저우 웨이양구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가 자매결연을 맺기도 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1032030465&code=990503|웨이양구에는 최치원 기념관도 있는데,]] 중국에서 첫 번째로 세워진 [[외국인]] 기념관(第一外國人紀念館)이라고 입구에 써 있다. 그 외에 한중 친선 바둑시합 등 활발한 친선교류를 하고 있다고 한다. == 매체 == 드라마 [[해신(드라마)|해신]]의 전반기의 주요 무대가 되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양저우는 실제로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따르면 큰 규모의 [[신라방]]이 있었을만큼 신라 상인들이 많이 드나드는 번성한 상업도시였던만큼, [[장보고]]의 당나라 체류 시절의 배경으로 적합한 곳이라 설정된 듯 하다. 다만 드라마 상에서는 이곳이 [[당나라]] 최고의 상업도시라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위에서도 봤듯이 당나라 대에는 [[항저우]]에 밀려서 [[콩라인]]이 된지 오래였다(...).[* 그래도 [[항저우]]가 너무 발전해서 다소 입지가 낮아졌을 뿐, 이 시기에도 여전히 [[당나라]]의 주요한 대도시들 중의 하나였다.] == 기타 == 버스 업체 [[http://www.asiastarbus.com/|양저우 아시아스타]]의 본거지로, 이 회사의 차량들 중 일부의 부품이 한국으로 수입 후 국내에서 조립되어 국산차로 둔갑한 사례가 있다. [[에디슨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087/093]]의 중형 모델[* 심지어 스마트 110도 헤드라이트 부품은 양저우 아시아스타 것을 사용한다.]과 [[범한자동차 E-STAR|범한 E-STAR 8, 11]]의 원본 차량의 원산지가 바로 이곳 양저우다. == 갤러리 == [[파일:중국 양저우 하원.jpg|width=800]] 개원과 함께 양주 양대 정원인 하원 [[파일:중국 양저우 3.jpg]] [[명나라]] 대의 성벽과 옛 도시 [[파일:양저우 중국 1.jpg]] [[파일:둥관 중국 양저우.jpg|width=800]] 둥관 역사 거리 [[분류:장쑤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옛 수도]][[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중국의 도시]][[분류:대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