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초구의 법정동]] [include(틀:서초구의 법정동)] ||<-2> '''[[서초구|{{{#000000,#dddddd 서초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양재동}}}'''[br]良才洞 | Yangjae-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초구 양재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서초구 || || '''행정표준코드''' || 1165010200 || || '''관할 행정동''' || 양재1동, 양재2동 || || '''면적''' || 4.07㎢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양재동전경.jpg|width=100%]]}}} || || {{{#FFFFFF 양재동 전경 }}} || [clearfix] == 개요 == [[서울/강남]] 권역에 속하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중앙부에 위치한 법정동.동쪽으로는 [[강남구]] [[개포동]], 서쪽으로는 [[우면동]]과 [[경기도]] [[과천시]], 남쪽으로는 [[염곡동]]과 [[경기도]] [[성남시]], 북쪽으로는 [[서초동]]과 [[강남구]] [[도곡동]]에 접해 있다. 법정동 양재동의 현 구역 중 대략적으로 [[강남대로]], 강남 신분당선 이동 지역은 법정동 포이동[* 서울 편입전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포이리]이었다가, 1989년에 강남구와 관할구역을 조정하면서 강남구 포이동 일부 염곡동 동산말를 양재동에 편입했다.[* 남은 강남구 포이동은 2008년 [[개포동]]에 병합되어 폐지되었다.] 여담으로 지금의 강남구 도곡동은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양재리였다. 양재리가 구 과천군(시흥군)과 구 광주군 두 쪽에 다 있었던 것. == 관할 행정동 == === 양재1동 === ||<-2> '''[[서초구|{{{#000000,#dddddd 서초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양재1동}}}'''[br]良才一洞 | Yangjae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초구 양재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서초구 || || '''행정표준코드''' || 3210055 || || '''관할 법정동''' || 양재동, 우면동 || || '''하위 행정구역''' || 54통 274반 || || '''면적''' || 5.76㎢ || || '''인구''' || 42,236명[*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7,332.6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초구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성중]] ,,(재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호정(정치인)|최호정]] ,,(3선),, || ||<-2> '''서초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안종숙]] ,,(4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형준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바우뫼로 41 (우면동 68-2) || || [[https://www.seocho.go.kr/site/seocho/DongMain.do?dongCode=vf|양재1동 주민센터]] || [[파일:양재1동.jpg|width=500]] 법정동 양재동과 [[우면동]]을 관할한다. [[양재천]] 이북에 해당된다. [[양재역]]이 양재1동 관할이다. 양재동 지역은 양재파출소와 양재우체국일원이 양재동이다. 양재시장 중심으로 번화가다. 양재역 주변 보다도 동네 한가운데인 양재시장 주변이 더 번화하다. 이 지역은 옛 시흥군 신동면사무소와 옛 광주군 언주면사무소 지역과 함께 1970년대 강남 개발 이전부터 촌락 수준의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래서인지 강남구와 서초구가 분구했던 [[1988년]] 당시에 도곡동은 서초구에 편입돼있었으나 1년여만에 강남구로 다시 넘어왔다. [[우면동]] 지역은 개발이 덜 된 편으로 이전에는 비닐하우스 꽃집들이 있었으나, 서초보금자리주택지구 및 우면2지구가 개발돼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됐다. 서울시 R&D 개발 지구 지정으로 대기업 R&D 관련 부서들이 몰려있다. [[KT]]연구개발센터, [[LG전자]] [[R&D]] 센터와 [[삼성전자]] [[R&D]] 센터, 카이스트 AI 기술원이 모여 있다. 또한 [[호반건설]]본사도 2020년 우면산 자락으로 이전했다. 삼성전자 및 호반건설이 들어온 곳은 새로 개발된 우면동 지역들이다. [[일동제약]] 본사에서 위쪽 언덕으로 올라가면 신동아건설, [[현대건설]]에서 지은 '''고급 [[빌라]][* 통상적으로 빌라라고 하지 실제로는 마당이 딸린 단독주택식의 연립주택이다. 전국 연립주택 공시가격 중 이 동네 가격이 가장 비싸다.]촌'''이 자리잡고 있다. 물론 평지로 깎아 새로 개발한 곳인데 방아다리마을이라 불리는 이 곳에는 한 세대당 100평은 넘는 단독주택형 빌라들이 밀집해있는데 [[1980년대]] 중반에 개발을 끝내고 당시 대통령에서 물러난, 퇴임한 [[전두환]]이 이사오려다가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로 무산된 적이 있다.[* 지관까지 동원해 [[풍수지리]]까지 알아보고 이 곳으로 이사오려다가 주민들 반발에 밀려서 결국 파토났다.]가격도 30억이 넘는 곳인데다가 입주 초기에 이사온 사람들이 아직도 살고 있어 새로 이사오기는 힘든 곳이다. [clearfix] === 양재2동 === ||<-2> '''[[서초구|{{{#000000,#dddddd 서초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양재2동}}}'''[br]良才二洞 | Yangjae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초구 양재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서초구 || || '''행정표준코드''' || 3210056 || || '''관할 법정동''' || 양재동, 원지동 || || '''하위 행정구역''' || 23통 135반 || || '''면적''' || 7.58㎢ || || '''인구''' || 21,441명[*A] || || '''인구밀도''' || 2,828.6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초구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성중]] ,,(재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호정 ,,(3선),, || ||<-2> '''서초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안종숙 ,,(4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형준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강남대로12길 44[* 양재동 323-1] || || [[https://www.seocho.go.kr/site/seocho/DongMain.do?dongCode=vg|양재2동 주민센터]] || [[파일:양재2동.jpg|width=500]] 법정동 양재동과 [[원지동]]을 관할한다. 양재천 이남에 해당된다. 원래 옛 광주군 언주면 포이동과 염곡동동산말이었던 지역으로[* 하지만 포이동의 흔적은 [[서초구]] 편입과 동시에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면서 대부분 희석된 상태다.] 이 지역 역시 강남대로와 논현로 사이 블록에 서초우체국, 매헌초등학교, 언남중학교, [[언남고등학교]]가 있다. [[서울특별시]] [[서울/강남|강남 지역]]과 [[경기도]]와의 길목으로써, 서울 화물트럭 [[터미널]]과 [[경부고속도로]] [[양재IC]]까지 있어 수많은 종류의 버스와 자동차로 얽혀 하루종일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대표적인 동네다.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이 있는데다 [[광역버스]]들이 늘 오가는 관계로 버스정류장 건너편에 술집, 고깃집 등 상권이 형성되어 퇴근하려는 직장인들이 회식하거나 술 한잔 기울일 수 있는 곳이라 사람이 북적이기도 한다. [[매헌시민의 숲]]과 [[코믹월드]]의 기운이 넘치는 [[aT센터]]가 있다. 바로 옆 서울의 대표적인 [[화훼]]상가도 이 곳에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본사가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삼성동(강남구)|삼성동]]에 [[글로벌비즈니스센터]]가 완공되면 삼성동으로 이전될 예정이다. --[[티스푼 공사|완공이 될 지 의문이다.]]-- [[염곡공영차고지]] 건너편에는 지방세연구원이 있다. 게다가 서울특별시에서 창고 형식의 초대형 [[할인점]]이 무려 3개나 모여 있다. 넓은 대지에 지리적 이점까지 갖추고 있어 늘--특히 주말-- 차 끌고 나오는 유동인구가 많다. 염곡동 염곡사거리 양재IC 주변에는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농협 하나로마트]] 본점인 [[하나로마트 양재점]], [[이마트 양재점]], [[코스트코 양재점]]이 대로를 사이에 두고 사실상 맞대고 있다. 더케이서울호텔(구 서울교육문화회관)이 있다. 원지동은 청계산자락 [[서울추모공원]]이 있으며, 마을버스 [[서울 버스 서초08|서초08번]]만 이 곳을 들른다. 청계산로(달래내고개)를 통해 [[경기도]] [[성남시]]로 나갈 수 있다. 언남고등학교 주변 주택가들에 [[강남역]] 인근이나 동 관내 및 옆 동네의 회사들(현대기아차, 코트라, LG 등) 등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 신혼부부들이 정말 많이 산다. 그 덕에 월세가 나날이 늘어가는 중. 그래도 주변의 [[내곡동(서울)|내곡동]] 등에 보금자리주택이 들어서면서 안정되어 가고는 있다. [[대단지 아파트]]보다는 아기자기한 [[원룸]]이 많고 청년층이 많이 살아 서초구에서 민주당세가 가장 강한 곳이다. 하지만 여기도 청년층의 보수화 및 부동산 문제로 거의 경합지가 되었다.[* 그래도 서초구 타 동네 대비 여전히 민주당세가 가장 강하다. 타 동네들도 같이 보수화가 가속화됐기 때문.] == 대중교통 == === 도시철도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3호선]] : [[양재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시내버스 === 양재역이 서울 강남의 중추도로인 [[남부순환로]]와 [[강남대로]]가 교차하여 시내버스가 엄청 많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서울 버스 140]] * [[서울 버스 141]] * [[서울 버스 341]] * [[서울 버스 400]] * [[서울 버스 402]] * [[서울 버스 405]] * [[서울 버스 406]] * [[서울 버스 421]] * [[서울 버스 440]] * [[서울 버스 441]] * [[서울 버스 452]] * [[서울 버스 463]] * [[서울 버스 470]] * [[서울 버스 541]] * [[서울 버스 542]] * [[서울 버스 641]] * [[서울 버스 741]] * [[서울 버스 0411]] * [[서울 버스 3420]] * [[서울 버스 4211]] * [[서울 버스 4312]] * [[서울 버스 4319]] * [[서울 버스 4432]] * [[서울 버스 4433]] * [[서울 버스 4435]] * [[서울 버스 9404]] * [[서울 버스 9408]] * [[서울 버스 9409]] * [[서울 버스 9711]] * [[서울 버스 N37]] * [[서울 버스 N64]] * [[서울 버스 강남02]] * [[서울 버스 강남10]] * [[서울 버스 서초08]] * [[서울 버스 서초09]] * [[서울 버스 서초18]] * [[서울 버스 서초20]] * [[서울 버스 서초21]] * [[공항버스 6009]] ====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 * [[인천 버스 9100]] * [[인천 버스 9200]] * [[인천 버스 9201]] * [[인천 버스 9300]] * [[인천 버스 9500]] * [[인천 버스 9501]] * [[인천 버스 9802]] * [[광역급행버스 M6405]] ==== [[경기도 시내버스]] ==== * [[과천 버스 6]] * [[안양 버스 11-3]] * [[시외버스 700]] * [[안양 버스 917]] * [[경기광주 버스 1005]] * [[화성 버스 1006]] * [[경기광주 버스 1101]] * [[성남 버스 1151]] * ~~[[용인 버스 1241]][* 남부순환로 경계선에만 다니므로 양재동에는 고속도로 상에서만 다닌다.]~~ * [[경기광주 버스 1311]] * [[용인 버스 1550]] * [[오산 버스 1550-1]] * [[화성 버스 1551]] * [[경기광주 버스 1560]] * [[용인 버스 1570]] * [[수원 버스 3000]] * [[수원 버스 3002]] * [[수원 버스 3003]] * [[수원 버스 3007]] * [[군포 버스 3030]] * [[안산 버스 3100]] * [[포천 버스 3100]] * [[안산 버스 3101]] * [[안산 버스 3102]] * [[경기광주 버스 3201]] * [[이천 버스 3401]] * [[의왕 버스 G3900]] * [[화성 버스 4403]] * [[용인 버스 5001]] * [[용인 버스 5001-1]] * [[용인 버스 5002]] * [[용인 버스 5003]] * [[경기광주 버스 5006]] * [[수원 버스 5100]] * [[수원 버스 G5100]] * [[오산 버스 5300]] * [[오산 버스 5300-1]] * [[화성 버스 6001]] * [[화성 버스 6002]] * [[화성 버스 6004]] * [[군포 버스 6501]] * [[파주 버스 G7426]] * [[화성 버스 8501]] * [[하남 버스 9202]] * [[성남 버스 9400, 9800|성남 버스 9400]] *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 * [[성남 버스 9400, 9800|성남 버스 9800]] * [[광역급행버스 M4403]] * [[광역급행버스 M6410]] * [[광역급행버스 M5422]] * [[광역급행버스 M5438]] == 주요 시설 == === 교육 === * 한국교총회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본부격이다. * [[한국IT직업전문학교]] === 주거 === * [[동원개발]] 양재 동원아파트 - 2001년 9월 입주. * 진흥기업 양재 진흥아파트 - 2005년 5월 입주. * [[한신공영]] 양재 한신휴플러스 - 2006년 1월 입주. * [[태영건설]] 서초 네이처힐 2011년 12월 입주. * 서희건설 서초힐스 - 2012년 12월 입주. * 울트라건설[* 호반건설] 서초 써밋 - 2013년 10월 입주. * 신동아건설 양재 신동아 파밀리에 더 퍼스트 - 2022년 11월 입주 == 관련 문서 == * [[서초구]] * [[강남구]] [[분류:서초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