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양산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푸른835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푸른8307.jpg |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2100, 23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1002300dark.png|width=100%]]}}} || ||<-2> 기점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울산시외버스터미널]]) ||<-2>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노포역|노포동역환승센터]])[* 2300번의 인가상으로 범어사입구가 종점이나, 실질적으로는 노포동역까지만 운행한다.]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5:20 || || 막차 || 23:32 || 막차 || 22:32 || ||<-2> 평일배차 || 10~15분[br](1일 84회) ||<-2> 주말배차 || 15~18분[br](1일 66회) || ||<-2> 운수사명 || [[푸른교통]] ||<-2> 인가대수 || 2100번: 11대[* 주말, 공휴일엔 9대로 운행한다.] [br]2300번: 3대 || ||<-2> 노선 ||<-4> ~~범어사입구~~[* 2300번의 인가상 종점으로, 실질적으로는 노포동역까지만 운행한다.] - '''[[노포역|노포동(환승센터)]]''' - {{{#aaa 여락고가차도}}} - 창기마을 - 월평교차로[*2300번]/{{{#aaa 월평고가차도[*2100번]}}} - 덕계상설시장 - 덕계사거리 - 양산롯데캐슬(웅상출장소입구) - 웅상중앙병원 - [[양산개운중학교|개운중]], [[효암고]] - 농협은행웅상지점 - 서창동행정복지센터 - 용당마을([[웅상공영차고지]]) - 웅촌 - 대복입구·울산예고 - 울주군청 - 문수경기장(컨벤션웨딩홀) - 법원 - 공업탑 - 목화예식장 - 현대백화점 → '''[[울산시외버스터미널]]'''[*하차만가능 시외버스 진출입로 입구에 정차한다] → 시외고속터미널(신세계안과의원) → 현대백화점 (이후역순) || == 개요 == [[양산시 시내버스]] 중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울산시외버스터미널]]과 [[웅상]],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이다. 왕복 84.1km. == 역사 == * 초기에는 부산명륜동(동부터미널)~울산시외버스터미널 시외직행노선이었다.[* 경남버스(현 [[경남고속]]), [[경원고속]], 신일여객의 공동배차 운행했었지만 공동배차 철수로 지금은 푸른교통 단독운행한다.] 그러던 중 2001년에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노포동]]으로 이전하면서 현재에 이르며 부산-울산간 시외버스 운행대수 중 일부를 2003년 10월에 2100번 양산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시외버스 부산-울산]] 참고. * [[2003년]] [[10월 21일]]에 2100번이 3대 인가로 신설되었다. * [[2004년]] [[12월 14일]]에 2300번이 2대 인가로 신설되었다. * 2007년에 2100번은 4대, 2300번은 3대로 증차되었다. 하지만 울산의 6개 버스업체가 시내버스운송사업계획변경 신고수리처분 무효 확인 청구소송을 진행했으나 패소하였다. 이후 매년 1대씩 증차하여 운행하였다. * [[2009년]] [[7월 31일]]부터 2100번과 2300번이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0년]] [[5월 1일]]부터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054|울산시 버스조합 공지사항]] * [[2017년]] [[2월 15일]]부터 양산롯데캐슬에도 정차한다. * [[2017년]] [[3월 15일]]부터 주진마을에 정차하지 않는다. [[http://bus.yangsan.go.kr/yangsan_2016/board/notice_view.php?num=93&idx=47|양산시 공지사항]] * [[2017년]] [[6월 17일]]부터 웅상도서관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http://bus.yangsan.go.kr/yangsan_2016/board/notice_view.php?num=110&idx=61|양산시 공지사항]] * [[2017년]] [[7월 1일]]에 2300번 노선 인가 1대가 증차되어 6대로 운행한다. * [[2018년]] [[4월 23일]]에 2300번 차량 1대가 2100번으로 넘어가 2100번은 9대, 2300번은 5대로 운행한다. * [[2018년]] [[11월 16일]]부터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았던 울산광역시 구간에도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이 적용되었다. * [[2019년]] [[7월 22일]]에 2300번 차량 1대가 2100번으로 넘어가 2100번은 10대, 2300번은 4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0년]] [[8월 1일]]에 2300번 차량 1대가 2100번으로 넘어가 2100번은 11대, 2300번은 3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22년 5월 20일부터 금요일, 토요일에 한해 2100번은 11대로 운행하게 된다. * 2022년 11월 7일부터 2100번이 매일마다 9대로 운행한다. * 2023년 4월 3일부터 2100번이 평일 한정 11대로 운행한다. 주말, 공휴일에는 그대로 9대로 운행한다. * 2023년 7월 17일부터 주말, 공휴일에 2100번이 10대로 운행한다. == 특징 == * 울산과 부산을 잇는 버스 5형제[* [[울산 버스 1127|1127]], [[울산 버스 1137|1137]], [[울산 버스 1147|1147]]과 2100, 2300]하나로 명색이 [[양산시 시내버스]]인데도 불구하고 [[울산광역시|타지]][[부산광역시|자체]] 구간이 상당히 긴 노선이다. * 부산~울산간 직행좌석들 중에서는 배차가 가장 짧다. 과거에는 1127번이 제일 짧았으나 이후 1147번으로 노선이 분리되어 둘다 배차가 길어졌다. 1147번의 경우 약 15~25분 배차간격으로 과거 1127번은 물론이고 이 노선보다도 배차간격이 다소 긴 편이다. * 양산시 버스지만 [[울산광역시]] 시가지 중심가를 관통한다.[* 단 울산 차적인 [[울산 버스 1127|1127번]], [[울산 버스 1137|1137번]]과 [[울산 버스 1147|1147번]]과는 달리 [[울산대학교]]나 [[태화강역]]까지는 가지 않고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종착한다.] 총 길이는 편도 기준 약 42~42.1km로 네 노선 중 가장 짧다. 운행소요시간은 50분~1시간 정도. * 양산 차적 노선이라 [[동면(양산)|동면]] 구간을 모두 무정차 통과하는 [[울산 버스 1127|1127번]], [[울산 버스 1137|1137번]]과 [[울산 버스 1147|1147번]]과는 달리 창기마을에 정차하며 양산시 소속 지역인 웅상 구간에는 저 세 노선보다 정차정류장 수가 조금 더 많다. 대신 울산시 소속 지역인 [[웅촌면]] 구간은 저 세 노선보다 정차정류장 수가 적다. * 2300번은 2100번의 증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변칙적으로 신설한 노선이다. 옛날에는 2300번이 [[노포역]]을 지나 범어사입구까지 운행했다. 현재는 둘 다 노포동에서 종착하며, 별로 중요하지 않은 정류장인 월평고가교 통과와 월평교차로 정차 여부 하나를 제외하고는[* [[부산 버스 37|부산 37번]]을 이용하여 [[정관신도시]]로 가려는 환승 수요로 연명하고 있다. [[부산 버스 302|부산 302번]]은 배차 간격이 40~50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울산이나 웅상에서 이 노선을 타고 내려와서 [[법기터널]]을 통과하는 [[양산 버스 52]], [[양산 버스 57]]로 환승하여 [[양산신도시]]로 넘어가려는 환승 수요도 적게나마 존재한다. 다만 노포동에서 출발할 경우 월평까지 올라가 법기터널을 통과해서 가느니 노포삼거리까지 걸어내려가 12번이나 16번을 이용해서 가는 편이 더욱 낫다. --아니면 시간표를 맞춰서 2시간에 1대 꼴로 오는 17번을 이용해서 여락송정로를 거쳐가거나..--] '''2100번과 완벽히 겹치는 즉 승객 입장에선 사실상 완전히 같은 노선이다.''' 어차피 둘다 노포동 종착. * 주로 2100번 3대 당 2300번 1대가 번갈아가며 배차된다. 참고로 2300번의 수요가 별로 없었던지 비중이 점차 줄고있다. 월평 환승승객은 주로 정관쪽 주민들인데 울산을 갈때 대부분이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게 아니더라도 시간 맞춰서 302번을 이용해 웅상쪽으로 넘어오면 울산가는 노선이 차고 넘치게 있기 때문이다.[* 2300번만 놓고 봤을때는 그렇지 않아도 배차가 긴데 간격마저도 불규칙한 상황이다.] 게다가 2021년 말부터 동해선 전철이 개통했기에, 울산가려고 굳이 배차도 불규칙한 2300번을 탈 이유가 없다. * 노선운행을 담당하는 곳이 [[노포동터미널]]에 있는 [[푸른교통]] 노포영업소이다. 따라서 양산면허임에도 대표 전화번호는 부산이다. 노포동터미널에는 가스충전시설이 없기 때문에 가스충전은 인근에 금정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신도색이 적용되었는데 측면 행선판이 부산시 신도색 버스의 것과 비슷하다. * 과거 시외버스였던 흔적인지 울산터미널 일대에서 승하차 지점이 다르다. 하차는 시외터미널 버스 진출입로 앞에서 하며 승차는 삼산로 상의 시외고속터미널 정류장에서 한다. 따라서 다른 울산 시내버스로 환승할 예정이라면 터미널 이전 정류장인 현대백화점에서 하는것이 좋다. === 운임 === ||<#33cc99> {{{#ffffff [[노포역|부산 노포동]]}}} || || || || 1,900[br](1,850) ||<#33cc99> {{{#ffffff [[웅상]]}}} || || || 3,100[br](2,900) || 1,900[br](1,850) ||<#33cc99> {{{#ffffff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삼산동]]}}} || '''2018년 11월 16일부터 울산 구간 이용시에도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부산-김해-양산 환승]]이 적용된다.''' 만약 성인기준으로 노포역에서 도시철도를 타고와서 이 노선으로 환승해 울산을 가는경우 도시철도요금 1,300원[* 2구간 이용 시 200원 별도 지불]+ 요금차액 1,400원+ 환승요금 500원 이렇게 해서 총 3,200원 정도가 든다. 하지만 울산 내 목적지가 2100번이 바로 들어가지 않는 곳이라 울산 버스로 환승해야 한다면 차라리 [[울산 버스 1127|1127번]]이나 [[울산 버스 1137|1137번]], [[울산 버스 1147|1147번]]을 타자. 이 노선은 울산을 가지만 소속은 양산 버스이므로 울산의 다른 버스들과는 환승이 되지 않아서 요금이 더 나간다.[* 그냥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종착하는데 정차하는 구간이 무진장 많은 완행 [[시외버스]]라고 생각하자.] 예를 들어 웅상병원에서 검단,신암마을로 가는 마을버스인 [[울산 버스 61|61번]], [[울산 버스 62|62번]]과 2100번 노선은 환승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울산 버스 1127|1127번]]이나 [[울산 버스 1137|1137번]]을 타고 서창에서 61번과 62번을 이용한다면 환승이 가능하다. 이래저래 후술할 울산 1137번과 비슷한 루트를 달리긴 하지만 적용되는 게 다른 부분이 많다. 환승 할인은 가능하지만 [[직행좌석버스]]라 [[시계외요금]]을 내야하는데 구간삥을 더 내기 싫다면 부산↔울산 구간 이용시 [[웅상]]에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 울산에서 출발하는 경우 [[노포역]] 이남으로 내려갈 때 덕계에서 [[부산 버스 50|50번]]이나 [[부산 버스 1002|1002번]]으로 환승하면 기본운임에 환승요금만 징수하여 보다 저렴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1,850원에 환승 요금 500원만 더내면 된다.] 만약 금정세무서 이북이 목적지라면 덕계에 내려 [[양산 버스 58|58]], [[양산 버스 59|59]], [[양산 버스 61|61번]]으로 환승하면 단돈 1,850원만 내고 울산-부산을 오갈 수 있다. 또한 [[양산신도시]]로 가는 것이 목적이라면 웅상에서 52번, 56번, 57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반대의 경우에도 [[노포역]]에서 이 노선을 타고 논스톱으로 가기보다는 부산 50, 1002번이나 양산 58, 59, 61번을 이용해 덕계로 와서 이 노선으로 환승하면 요금이 절약된다. 물론 대부분의 승객들은 이와 같은 사실을 잘 모르거나 알면서도 귀찮아서 그냥 노포역까지 한번에 가는 경우가 많다. 그도 그럴것이 최종 목적지가 금정구 이남이라면 웅상에서 부산 차적 노선으로 환승해서 갈 바에야 노포역까지 가서 편하게 도시철도로 가는 편이 훨씬 낫기 때문이다. 50, 1002번이 금정구 이남까지 내려가긴 하지만 배차도 은근 긴데다가 수요가 많아 항시 입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버스의 특성상 멀리가면 갈수록 도시철도와 시간차이가 많이 벌어진다 무엇보다 구간 요금 등을 감안해도 부산-울산을 오갈 때 1127, 1137, 1147번을 이용하는 것보다 당연히 요금이 더 저렴하다. 그리고 웅상쪽에서 58, 59, 61번으로 환승하지 않는이상 어차피 환승요금은 지불해야 돼서 노포역으로 바로가는것과 비교해도 요금차이가 크지 않다. 2023년 하반기경 부산-김해-양산간 광역환승시 부과되던 환승요금이 폐지되고 무료환승으로 전환될 계획인데[* 부산시내버스의 김해철수로 인한 일종의 타협안이다.] 이러면 경쟁력이 다시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최대 3300원[* 이 노선의 요금 3100원+부산도시철도 2구간 요금 200원.]이면 부산 어지간 한 곳들뿐만 아니라 김해와 용원까지도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단 급행버스를 이용하면 추가로 250원을 별도로 내야한다. 환승요금을 계산할때는 시계외요금은 빼고 계산하기 때문이다.] . 참고로 울산에서 버스를 타고 역으로 이동한 다음 동해선을 타고 부산으로 가면 최대 4600원[* 울산버스 요금 1500원+동해선 최대요금 2500원+부산도시철도 2구간 요금 200원+부산급행버스 환승요금 400원. 울산버스가 광역환승제에 참여할 경우 요금은 2100, 2300번과 동일한 3300원이 나온다.]이 나온다. === [[울산 버스 1127|1127번]], [[울산 버스 1137|1137번]]과의 경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산-울산간 버스경쟁)] === 노선 === ||<#875cac>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2100번}}}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창기마을 ▼}}}||{{{-2 ▲ 금정체육공원입구}}}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덕계상설시장 ▼}}}||{{{-2 ▲ 창기마을}}} || ||<-2> [[덕계로(양산)|{{{#353535,#eee '''덕계로'''}}}]] || || {{{-2 혜인병원 ▼}}}||{{{-2 ▲ 덕계마을(덕계다리)}}}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웅상중앙병원 ▼}}}||{{{-2 ▲ 명동마을}}} || ||<-2> [[서창로(양산)|{{{#353535,#eee '''서창로'''}}}]] || || {{{-2 용당마을 ▼}}}||{{{-2 ▲ 북부마을}}}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대운로|{{{#353535,#eee '''대운로'''}}}]] || ||{{{-2 ▲}}}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중대마을 ▼}}}||{{{-2 ▲ 웅비공업지구}}} || ||<-2> [[웅촌로|{{{#353535,#eee '''웅촌로'''}}}]] || || {{{-2 문수경기장 앞 ▼}}}||{{{-2 ▲ 문수실버복지관}}} || ||<-2> [[문수로(울산)|{{{#353535,#eee '''문수로'''}}}]] || || {{{-2 공업탑 ▼}}}||{{{-2 ▲ 신정고등학교}}} || ||<-2> [[삼산로(울산)|{{{#353535,#eee '''삼산로'''}}}]] || || {{{-2 ▼}}}||{{{-2 ▲ 시외고속버스터미널}}} || || [[삼산중로|{{{#353535,#eee '''삼산중로'''}}}]]||[[화합로(울산)|{{{#353535,#eee '''화합로'''}}}]] || || {{{-2 울산시외버스터미널 ▼}}}||{{{-2 ▲}}} || ||<-2> [[달삼로|{{{#353535,#eee '''달삼로'''}}}]] || }}}}}}}}} || ||<#875cac> || ||<#875cac> [[파일:양산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2300번}}} || ||<^|1><#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중앙대로(부산)|{{{#353535,#eee '''중앙대로'''}}}]] || || {{{-2 창기마을 ▼}}}||{{{-2 ▲ 금정체육공원입구}}}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덕계상설시장 ▼}}}||{{{-2 ▲ 월평교차로}}} || ||<-2> [[덕계로(양산)|{{{#353535,#eee '''덕계로'''}}}]] || || {{{-2 혜인병원 ▼}}}||{{{-2 ▲ 덕계마을(덕계다리)}}}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웅상중앙병원 ▼}}}||{{{-2 ▲ 명동마을}}} || ||<-2> [[서창로(양산)|{{{#353535,#eee '''서창로'''}}}]] || || {{{-2 용당마을 ▼}}}||{{{-2 ▲ 북부마을}}}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대운로|{{{#353535,#eee '''대운로'''}}}]] || ||{{{-2 ▲}}} || ||<-2> [[웅상대로|{{{#353535,#eee '''웅상대로'''}}}]] || || {{{-2 중대마을 ▼}}}||{{{-2 ▲ 웅비공업지구}}} || ||<-2> [[웅촌로|{{{#353535,#eee '''웅촌로'''}}}]] || || {{{-2 문수경기장 앞 ▼}}}||{{{-2 ▲ 문수실버복지관}}} || ||<-2> [[문수로(울산)|{{{#353535,#eee '''문수로'''}}}]] || || {{{-2 공업탑 ▼}}}||{{{-2 ▲ 신정고등학교}}} || ||<-2> [[삼산로(울산)|{{{#353535,#eee '''삼산로'''}}}]] || || {{{-2 ▼}}}||{{{-2 ▲ 시외고속버스터미널}}} || || [[삼산중로|{{{#353535,#eee '''삼산중로'''}}}]]||[[화합로(울산)|{{{#353535,#eee '''화합로'''}}}]] || || {{{-2 울산시외버스터미널 ▼}}}||{{{-2 ▲}}} || ||<-2> [[달삼로|{{{#353535,#eee '''달삼로'''}}}]] || }}}}}}}}} || ||<#875cac> || == 연계 철도역 ==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양산~울산 버스)] [include(틀:부산종합터미널 양산 버스 및 울산 버스)] [[분류:양산시의 시내버스]][[분류:200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부산광역시를 경유하는 양산시 시내버스]][[분류:울산광역시 경유 관외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