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e61e2b> '''제5-6대 대구광역시의회 의원[br]{{{+1 양명모}}}[br]梁明模 | Myungmo Ya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명모.jpg|width=100%]]}}} || || '''성명''' ||양명모(梁明模) || ||<|2> '''출생''' ||[[1959년]] [[5월 19일]]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 || '''사망''' ||[[2022년]] [[7월 30일]] (향년 63세) || || '''배우자''' ||김은숙 || || '''자녀''' ||양준선, 양준수 || || '''학력''' ||[[오성고등학교]] {{{-1 ([[졸업]])}}}[br][[영남대학교]] {{{-1 ([[약학]]/ [[학사]])}}}[br][[성균관대학교/대학원|성균관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1 ([[약학|보건·사회약학]]/ [[석사]])}}}|| || '''최종 당적''' ||[include(틀:국민의힘)] || || '''경력''' ||제5, 6대 대구광역시의회 의원[br]대한약사회 총회의장[br]대구광역시약사회 총회의장[br]대구광역시약사회 회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약사]], 보건의료인, [[정치인]]이다. == 생애 == 1959년 5월 19일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에서 태어났다. 고성대성초등학교, 고성동중학교를 졸업하고 대구로 이사하여 [[오성고등학교]], [[영남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했다. 이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성균관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약학|보건·사회약학과]]에서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어릴 때 [[소아마비]]를 앓은 [[장애인]] 당사자로, 영남대 약대 졸업 후 [[약사]]로서 건강백세약국을 경영하며 대구광역시북구약사회 [[회장]], 대구 마약퇴치운동본부 [[이사(직위)|이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대한약사회 정책기획단 약국분과위원장 등을 지냈다. 2013~2016년에는 대구광역시약사회 회장, 2017~2019년에는 대구광역시약사회 총회의장을 지냈다. 2017~2019년에는 대한약사회 부의장, 2019년 대한약사회 총회의장에 올랐다. === 정치활동 ===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대구광역시당 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시의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대구시의회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특별위원장, 대구시의회 공사·공단 및 출자,출연기관 운영실태조사 특별위원장 등을 지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때 대구광역시의회에서 건설환경위원장을 지냈다. 대구시의원 재임 기간 대구시의회 첨단의료복합단지 대구 유치에 큰 공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2008년 같은해 9월 대구시의회의 선진지 견학 때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와 강원 원주의 의료기기단지를 다녀온 뒤 의료가 IT산업을 이을 차세대 유망 산업이라고 판단한 그는 같은 10월 대구시의원 7명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후 2009년 5월 보건의료산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만드는 등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권은희(1959)|권은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의 예비후보로 활동하였으나 [[정태옥]]에 밀렸다. 이후 대구광역시 북구 을 선거구에 전략공천되었다. 그러나 본선에서 결국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무소속]] [[홍의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홍의락 의원은 2017년 5월에 다시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했다.] 그것도 득표율 13.3%p, 표차로 무려 14,050표 차이로 대패했다. 결국 수성 갑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김부겸]]에게 3만 표 차 이상으로 대패한 [[김문수]]와 더불어 '''[[새누리당]]의 텃밭 중 텃밭인 대구광역시'''에서 야권 인사에게 작살 난 불명예를 뒤집어 쓴 셈이라 사실상 이후의 정치 생명을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한때 새누리당 출신이면 [[개]]가 나와도 당선된다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있던 대구광역시에서 '''새누리당 출신'''의 김문수와 양명모가 각각 민주당계 후보에게 대패했다는 것은 대구광역시도 서서히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신호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누리당이 [[자유한국당]]으로 개칭되자 계속 자유한국당 대구광역시 북구 을 당협위원장에 역임하였다가 2017년 11월에 건강상의 이유로 당협위원장직을 사퇴하였다. 이후 해당 지역 당협위원장은 2018년 1월 [[홍준표]]가 맡았다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 참패 직후 당대표직과 동시에 사퇴했다. === 사망 === [[2022년]] [[7월 30일]] 별세하였다. 장지는 경상남도 고성군에 위치한 선영이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20730010003829|#]]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대구 북 2 ||<|2> [include(틀:한나라당)] || '''19,205 (67.43%)''' ||<|2> '''당선 (1위)''' || '''초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4,901 (59.63%)''' || '''재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대구 [[북구 갑(대구)|북 갑]] || [include(틀:무소속)] || 11,772 (19.03%) ||<|2> 낙선 (2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대구 [[북구 을(대구)|북 을]]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1,275 (39.04%) || ||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 [[장애인/목록]] [[분류:1959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약사]][[분류:고성군(경상남도)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의료인 출신 정치인]][[분류:오성고등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구광역시의회의원]][[분류:한나라당 광역의회의원]][[분류:새누리당 광역의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