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양동역'''}}}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8.401151 125.749582,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Yangdong || || [[한자]] ||<-2> 養洞 || || [[간체자]] ||<-2> 养洞 || || [[가나(문자)|가나]] ||<-2> [ruby(養洞, ruby=ヤンドン)] || ||<-3> '''주소''' || ||<-3> [[황해북도]] [[은파군]] 류정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평양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은률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70px]]]] || ||<-3> '''개업일''' || || [[은률선|황해본선]] ||<-2> 1920년 12월 21일 || ||<-3> '''철도거리표''' || || [[은파역|{{{#585858 {{{#!html
은파 방면
}}}}}}]][[은파역|은 파]][br]← 5.2 ㎞ || '''[[은률선]]'''[br]양 동 || [[철광역|{{{#585858 {{{#!html
철광 방면
}}}}}}]][[금산역|금 산]][br] 6.1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은률선]]의 철도역. [[황해북도]] [[은파군]] 류정리(柳亭里) 소재. 양동리와의 경계이 있다. == 역 정보 == 처음에 은률선 대신 사리원에서 장연까지 철도가 놓일때는 없던 역이다. 표준궤 계획에 따라 해주로 가는 새 철도가 놓인 하성선쪽이 먼저 완전히 [[개궤]]가 되자 은파역에서 분기하는 노선으로 변경, 이역이 생겼다. 양동은 양마동(養馬洞)에서 나온 지명이다. 양마동은 봉산에 속했는데 군에서 쓸 말을 기른다 하여 양마동이라 칭했다가 줄어든 말이다. 이설로는 두 말을 뜻하는 량마에서 줄어든 말이라는 설도 있다. 양동리, 류정리 모두 1952년 은파군이 생길때 재령쪽의 리와 봉산쪽의 리를 병합해서 생겼기 때문에 남한의 명목상 행정구역인 해방당시를 기준으로 정확한 행정구역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이 역은 봉산쪽에 있었다. [[황해북도]]의 마지막 역이다. 금산역부터는 황해남도 소속.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으로 북쪽으로 선로를 건너 역사와 연결된다. [[은파역]] 기점 5.1km. [[분류:은률선]][[분류:192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