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양동시장역'''}}} || ||<-3>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30]] || || [[녹동역|{{{#!html
녹동 방면}}}]][[금남로5가역|금남로5가]][br]← 1.0 km || [[광주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07)
}}}]] || [[평동역|{{{#!html
평동 방면}}}]][[돌고개역|돌고개]][br]0.6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양동시장역 지하철,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영어]] ||<-2> Yangdong Market || || [[한자]] ||<-2> 良洞市場 || || [[간체자]] ||<-2> 良洞市场 || || [[가나(문자)|가나]] ||<-2> [ruby(良洞市場, ruby=ヤンドンシジャン)] || ||<-3> '''주소''' || ||<-3>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경열로]] 지하152 (양동) || ||<-3> '''운영 기관'''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광주교통공사]] || ||<-3> '''개업일'''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2004년 4월 2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1 良洞市場驛 / Yangdong Market Sta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양동시장역.jpg|width=500]] || || 양동시장역 대합실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07번.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경열로]] 지하152 (양동)[* 양동 304-3번지] 소재. == 역 정보 == 역 이름은 인근에 [[광주광역시]] 최대의 [[재래시장]]인 [[양동시장]]이 있어서 붙여졌다. 그래서 그런지 이 역에 도착하면 특유의 시장 냄새가 나며 이 특성 덕분에 광주 도시철도 역들 중에서 노인들의 이용 비중이 매우 높은 역사다. 이 역과 [[금남로5가역]] 사이에는 90도의 드리프트가 있어서 [[녹동역]]만큼은 아니지만 서행운전한다. [[종각역]]과 맞먹는 드리프트로 광주 지하철 운행구간 중 커브가 심한 구간이다. 1, 2번 출구(시장, 복개상가 방면 출구)는 마치 서울에 있는 어떤 역들이 계단 위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해 둔 것처럼 계단을 타고 조금 내려간 뒤에 에스컬레이터를 타게 되어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도 한 줄로만 설 수 있게 좁게 만들었으며, 계단이 없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야만 출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어르신들의 에스컬레이터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에스컬레이터 속도가 매우 느리며, 손잡이를 꼭 잡으라는 안내방송이 나온다. (현재는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걸음이 불편한 어르신들에 의한 병목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2번 출구에 있는 시내버스와 환승할 예정이거나 1, 2번 출구를 통해 지하철을 이용할 예정이라면 평소보다 여유있게 움직일 것을 추천한다. 광주 도시철도에서 노인들의 비중이 가장 높은 역이지만 출구 쪽에는 광주에서 어르신 비중이 제일 많은 역에 맞지 않게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대합실-승강장 간 엘리베이터는 있어서 문제는 되지 않지만 시장과 붙어있는 1, 2번출구는 상술하다시피 에스컬레이터가 있지만 중간에 끊겨있고, 3번출구는 휠체어 리프트가 있지만 수레를 끌고 이동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요소며, 4번 출구는 그냥 평범한 계단이다. 3, 4번 출구는 인도 폭이 좁은 편이며 1, 2번 출구는 지붕이 설치되어 있어서 지붕을 일부 뜯어내지 않는 한 엘리베이터 설치가 어려운 편이다. === 승강장 === [[파일:external/30aae1f1f00c85858b3dbe195ee1d967e96edb24b9802545399689a9d17f8ad5.jpg|width=560]] 승강장 [[파일:attachment/양동시장역/yangdong.png|width=560]] 역안내도 ||<-4> [[금남로5가역|금남로5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돌고개역|돌고개]] || || {{{#ffffff 상}}} ||<|2>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금남로4가역|금남로4가]]·[[문화전당역|문화전당]]·[[남광주역|남광주]]·[[녹동역|녹동]] 방면|| || {{{#ffffff 하}}} ||[[농성역|농성]]·[[상무역|상무]]·[[광주송정역]]·[[평동역|평동]] 방면|| == 역 주변 정보 == 호남 최대의 전통시장인 [[양동시장]]이 위치해 있다. 예로부터 양동시장 인근은 광주와 주변지역의 각종 시내/시외버스들이 모이던 환승집결지 역할을 하는 곳으로, 지금도 비교적 많은 노선들이 이곳에서 교차하거나 기종점지로 삼고 있다.[* 사실, 2006년 개편 당시 양동시장을 지나가는 버스노선을 많이 없앴으나 거주지와 양동시장을 잇지 않는다고 민원이 하도 많이 들어와서, 지하철과 중복된다고 사라진 노선이 부활한 경우(금호36번)나 개편 노선에 무리하게 옛 노선을 이어붙여 선형이나 주행거리가 터무니없어진 경우(송암72번), 여기를 지나겠다고 10분 걸릴 거리를 40분이 걸리도록 노선을 꼬아버린 경우(문흥48번)이 있다.] 실제로 광주 어디든 30~40분 정도면 닿을 수 있다. 1호선이 [[도산역]]부터 따라오던 [[상무대로]]를 놔두고 커브를 틀어 [[경열로]]로 오는 것도 오직 이곳을 지나기 위해서라는 소문이 있다. 양동시장을 확장하기 위해 [[광주천]]을 복개하여 그 위에 시장을 지은 복개시장이 볼거리다. 여기에 그 유명한 [[양동통닭]]이 있다. 오랫동안 장사를 했고 명물이며 맛도 좋다고 한다. 전 [[해태 타이거즈]] 외국인 투수였던 [[루이스 안두하]]가 한국음식에 적응하지 못해 [[파파이스]] 치킨을 요구했을 때 용병 길들이기라는 명목으로 달라는 파파이스 대신 이 통닭을 갖다준 일화로도 유명하다.[* 양동통닭이 평이 좋다고 알려져있지만, [[삼계탕]]과 [[백숙]]이 다른 음식인 것처럼 파파이스와 양동통닭도 엄연히 개성이 다르다. 구단이 얼마나 무성의하게 굴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 양동통닭은 [[백종원의 3대 천왕]]에 출연하면서 더 유명해졌다고 한다. 시내버스 정류장이 4곳으로 분산돼 있다. 자신이 탈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을 잘 알아둬야 환승에 실패하는 참사를 피할 수 있으니 환승 전 미리 알아본 후 이용하는 게 여러모로 좋다. 시장 이용 편의를 위해 케노피가 설치되어 있는데 1, 2번 출구와 시내버스 정류장을 따라 길게 설치돼 있어서 눈, 비가 와도 우산없이 시장과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하다. [[광주역]]에서 [[금남로5가역]] 다음으로 가깝다. 350m 앞에 4,000세대가 넘는 [[금남로 중흥S-클래스&두산위브더제니스]] 아파트 개발이 2024년 2월에 완공되면 이용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4년[br]~[br]2015년 || 자료없음 || || || 2016년 || {{{#009088 4,985명}}} || || || 2017년 || 4,805명 || || || 2018년 || 4,789명 || || || 2019년 || 4,949명 || || || 2020년 || 3,666명 || || || 2021년 || 3,663명 || || || 2022년 || 3,889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citystapassList.jsp?q_org_cd=A010010026&q_fdate=2020|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 * 역명 이름 그대로 [[양동시장]]을 찾는 승객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노인무임을 이용한 노인승객의 비중이 높은 편. == 사건 사고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서 개통 후 처음으로 자살사고가 났다. 2005년 6월 7일 오후 11시 40분 최모씨가 상무행 열차에 몸을 던져 숨졌으며, 현재까지도 광주 지하철에서 자살로 인한 사망사고가 일어난 기록은 이 외에 없다.[* 이 외에도 열차에 투신하거나 선로에 추락한 사고 등이 있었지만, 경미한 부상으로 수습됐다.] 그래서 그런지 1구간 중 스크린도어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설치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은 [[남광주역]]과 [[상무역]]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1021574|#]] * 2017년 9월 29일 이 역 내부 통로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요 [[제6보병사단 총기 사망 사건|철원 총기 저격]]을 폭로할려는 김철주 동무를 제거하시오 조선로동당'이라는 내용의 쪽지와 콜트 M1911A1 [[에어소프트건]], 수십개의 CO2 가스 카트리지가 담긴 박스가 발견되었다. 당연한 말이지만 해당 사건 자체가 북한과 관계가 없을 뿐더러 문화어 문법도 틀린걸 보니 북한의 소행일 확률은 전혀 없다. 그런데 당사자가 에어소프트건에 관해 잘 몰랐던 모양인지 CO2 가스는 잔뜩 넣어뒀지만 박스의 총은 정작 CO2 가스 사용이 불가능한 총기이다.[* CO2 가스를 사용하는 총은 가스 카트리지를 끼울 수 있도록 탄창 중앙이 비어있거나 탄만 들어갈 수 있는 얇은 탄창을 사용하는데 사진의 탄창은 그냥 일반 가스건 내지 에어코킹건 탄창이다.] 해당 박스와 내용물은 경찰에 의해 회수되었으며 현재 경찰 수사중이라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9581518|관련 기사]])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광주 도시철도 1호선]][[분류:광주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