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군단장)] [include(틀:육군훈련소장)] ||<-2> '''{{{+2 양국진}}}[br]楊國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양국진.png]]}}} || || '''창씨명''' ||[[나카하라]] 코쿠친(中原國鎭) || || '''본관''' ||[[양(성씨)|청주 양씨]](淸州 楊氏) || ||<|2> '''출생''' ||[[1916년]] [[9월 20일]] || ||[[평안남도]] [[평양부(일제강점기)|평양부]] || || '''사망''' ||[[1981년]] [[2월 28일]] (향년 64세) || || '''학력''' ||신경법정대학 {{{-2 ([[법학]] / [[학사]])}}} || || '''임관''' ||[[봉천군관학교]] {{{-2 (6기)}}}[br]육군군수학교 {{{-2 (2기)}}}[br][[군사영어학교]] {{{-2 (1기)}}} || || '''약력'''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군수국장[br][[제3군단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만주국 및 대한민국의 군인. == 상세 == 1916년 9월 20일 [[평안남도]] [[평양부(일제강점기)|평양부]]에서 태어났다. 1939년 [[만주국]] 신경법정대학(新京法政大學)[* 1934년 만주국 사법부 법학교로서 신경에 설립, 1939년에 신경법정대학으로 승격하였다. 1946년 국립장춘대학에 합병되었다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하면서 폐교되었다.] [[법학과]]를 졸업했다. 1938년 [[봉천군관학교]]를 제6기로 졸업하고, 이어 신경의 육군군수학교를 제2기로 졸업 후, [[만주군]]에서 군수 및 경리 장교로 복무하였다. 1945년 8월 17일 간노 히로시(菅野弘)[* [[2.26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만주로 밀려온 일본인 교관으로 [[만주국육군군관학교]] 2기생 중대장을 맡았었다.]의 도움으로 [[박승환(군인)|박승환]], [[최창륜]], [[방원철]] 등 조선인 장교 7명이 함께 비행기로 귀국했다. 귀국 후 잠시 [[경찰공무원]]으로 있었으나, 1946년 [[군사영어학교]]에 입교하여 [[국방경비대]] 부위(중위)로 임관한 뒤 조선경비대총사령부 군수조달과장과 [[미군정청]] 통위부 감찰총감을 거쳐 [[대한민국 육군본부]] 군수국장을 역임했다. 1949년 [[백범 김구 암살 사건]]이 일어나자 [[안두희]]에 대한 [[군사법원|군법회의]]에서 배심심판관으로 참여했다. 1960년 제3군단장 재임 중 부정축재 혐의로 구속되면서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 후 다시 부정축재 혐의로 체포됐다. 이후 대한종합식품회사[* 월남 파병된 한국군의 전투식량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짐.] 사장을 지냈고, 1981년 2월 28일 사망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군 부문에 등재되었다. [[분류:평양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양씨]][[분류:1916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실향민]][[분류:만주군/조선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전신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