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쓰촨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쓰촨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000,#ddd 쓰촨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雅安, ruby=Yǎān)][ruby(市, ruby=Shì)] | གཡག་རྔ་}}}'''[br]야안시 | Ya'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雅安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쓰촨성]] 야안시 위청구 정화루1호[br]四川省雅安市雨城区正和路1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15,213.28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6현 || ||<-2> '''{{{#ffff00 시간대}}}''' || UTC+8(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434,603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94명/km² || ||<-2> '''{{{#ffff00 서기}}}''' || 리줘(李酌) || ||<-2> '''{{{#ffff00 시장}}}''' || 펑잉메이(彭映梅)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97억 6,400만 ^^(2018)^^ || || '''{{{#ffff00 1인당}}}''' || $6,344 ^^(2018)^^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꽃]] || || '''{{{#ffff00 시목}}}''' || 황갈수 || ||<-2> '''{{{#ffff00 차량번호}}}''' || '''川T'''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雅'''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118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35''' || ||<-2> '''{{{#ffff00 우편번호}}}''' || '''62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C-18''' ||}}}}}}}}} || ||<-3> [[http://www.yaan.gov.cn/|홈페이지]] || [[파일:야안 중국.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쓰촨성]] 서부의 지급시. [[청두시]]에서 서남쪽으로 100km, [[러산시]]에서 서북쪽으로 70km 떨어진 협곡 분지에 위치한다. 쓰촨 분지가 [[칭짱고원]]과 만나는 관문 도시로, 중화 문명과 티베트 문명이 교차하는 다문화 도시이다. 실제로 동쪽을 제외하고 서쪽, 북쪽, 남쪽 방면에 각각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량산 이족 자치주]]와 접하고 있다. 시가지는 민장강의 지류인 칭이강(靑衣江) 양안에 형성되어 있고, 관할 인구 14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35만명이 거주한다. 고도가 높다보니 다른 쓰촨의 도시들과 달리 서늘한 편이다. 여름에도 30도가 넘지 않고, 겨울에는 간혹 영하권으로 떨어진다. 지명은 인근 야안산(雅安山)에서 유래되었다. 쓰촨 분지에서 서쪽의 티베트 뿐만 아니라 남쪽의 운남을 향하는 주요 교통로가 교차하는 곳이다 보니([[차마고도]]의 일부이기도 하다) 과거부터 전략적 가치가 높았다. 1950년대에 일시 존재했던 시캉성(西康省)의 성도였고, [[자이언트 팬더]]가 처음으로 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곡물과 차, 약재 등을 재배하는 농업과 철과 석탄 등의 광산을 기반으로 한 광공업이 발달하였고, 그외에 기계, 전력, 화학, 가죽 공업이 활발하다. 또한 [[러바오]]와 [[아이바오]]의 고향이기도 하다. 고적으로 백마천(白马泉), 금봉사(金凤寺) 등이 있고, 특산물로 쓰촨 서부가 원산지인 차가 있으며, 특히 멍딩산에서 재배되는 몽정차(蒙頂茶)가 유명하다. 시내 서남부에 쓰촨 농업 대학교가 위치한다. == 역사 == || [[파일:중국 규.jpg|width=100%]] || || 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한 [[후한]] 시대 무덤인 고이묘궐 및 석각(高颐墓阙及石刻) || || [[파일:아주 중국.jpg|width=100%]] || || 시가지 북쪽의 금봉사(金凤寺) || 고대에는 [[강족]]의 청의강국(青衣羌国)에 속했고, [[진나라]]가 촉을 정벌한 후 현재 시가지의 서남쪽 20km 지점 잉징현에 '''엄도현(嚴道縣)'''을 설치하고 촉군(蜀郡)에 편성하였다. 한대에는 현 시가지 동북쪽 밍산구에 청의현(靑衣縣)이 설치되었다. 122년 청의현은 촉군의 치소가 되었고, 133년 한가현(漢嘉縣)으로 개칭되었다. [[서진]] 시기에 한가현을 중심으로 한 '''한가군(漢嘉郡)'''이 설치되었고, 엄도현은 [[영가의 난]] 이후 폐지되었다. 553년 촉을 정복한 [[서위]]는 현 시가지 서쪽에 시양현(始陽縣)을 두었고, '''몽산군(蒙山郡)''' 하에 두었다. [[수문제]] 시기에 몽산군은 폐지되어 명산현(名山縣)으로 격하되었다. [[수양제]] 대인 604년, 현 지명의 유래인 '''아주(雅州)'''가 설치되었고, 현 도심에 위치한 명산현이 그 치소였다. 607년 아주는 임공군(临邛郡), 명산현은 엄도현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대인 618년 임공군은 다시 아주가 되었다. [[원나라]] 대에는 조문안무사(碉門安抚司)와 육번초토사(六番招讨司)가 설치되었다. [[명나라]] 대인 1378년에는 이주안무사(黎州安抚司)가 설치되었다. [[청나라]] 대인 1729년 아주는 '''아주부(雅州府)'''로 승격되었고 현 도심에 그 치소인 아안현(雅安縣)이 설치되었다. [[중화민국]]기인 1913년 부가 폐지되며 다시 야안현이 되었고, 1935년 제17 행정독찰구에 이어 1939년 시캉성(西康省)에 편성되었다, 1950년 [[인민해방군]]이 점령한 후 야안현은 시로 승격되어 시캉성의 성도가 되었으나, 1955년 성이 폐지되며 야안전구로 재편되었다. 1959년 야안시는 현으로 격하되었고, 1968년 야안전구는 야안지구로 개판되었다. 1983년 야안현은 재차 현급시가 되었고, 마침내 2000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2020년 남중국 홍수 당시 3명의 사망자를 내었다. == 교통 == 공항은 없으며, 차로 1시간 40여분정도 걸리는 거리에 [[청두 솽류 국제공항]]이 있어 해당 공항을 이용한다. 주요 철도역으로는 [[야안역]](雅安站)이 존재하며, 청야철도(成雅铁路)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