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러시아의 정당]][[분류:사회자유주의 정당]][[분류:진보주의 정당]][[분류:성소수자 인권운동]][[분류:평화주의 정당]][[분류:페미니즘 정당]][[분류:1993년 정당]][[분류:자유주의 인터내셔널 소속]] ||<-2> [[파일:야블로코 로고.svg|width=200]] || ||<-2> {{{#ffffff '''Российская объединённая[br]демокра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Яблоко»'''}}} || ||<-2> {{{#ffffff '''Свобода. Уважение.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br]'''자유, 존중, 책임'''}}} || || '''영문 명칭''' ||Russian United[br]Democratic Party «Yabloko» || || '''한글 명칭''' ||러시아 통합민주당 «야블로코» || || '''창당일''' ||[[1993년]] [[10월 16일]] || || '''대표''' ||[[니콜라이 리바코프]] || || '''이념''' ||[[사회자유주의]][br][[성소수자]] 권익[br][[페미니즘]][br][[진보주의]][br][[평화주의]][* 러시아 내에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하는 몇 안되는 정당이다.]|| || '''스펙트럼''' ||[[중도좌파]][* 합법정당이지만 [[반체제]] 성향이 있어 러시아 내에서는 급진적인 좌파로 여겨진다. 오히려 사민주의 지향이지만 연성 반푸틴/친체제 정당인 [[공정 러시아]]가 중도로 여겨진다.] || ||<|2>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a23d; border: 1px #00a23d;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fff 초록색 {{{-2 (#00A23D)}}}}}}}}}||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a0a49; border: 1px #fa0a49;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fff 빨간색 {{{-2 (#FA0A49)}}}}}}}}}|| || '''[[연방평의회|{{{#00a23d 연방평의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100%, #ddd 100%)" '''0석 / 170석 ,,{{{-2 (공식적으로 전원 무소속)}}},,'''}}} || || '''[[국가두마|{{{#00a23d 국가두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100%, #ddd 100%)" '''0석 / 450석'''}}} || || '''시장 및 주지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100%, #ddd 1000%)" '''0석 / 85석'''}}} || || '''지방의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23d 1%, #ddd 1%)" '''11석 / 3,994석'''}}} || || '''국제조직''' ||[include(틀: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 '''홈페이지''' ||[[https://www.yabloko.ru/| [[파일:야블로코 로고.svg|width=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친유럽주의]], [[사회자유주의|좌파 자유주의]](left-liberal) 정당이다. 정책적으로는 [[민주주의]]와 [[인권]] 중시 등 서방과의 관계 강화를 지향하는 [[정당]]이다. "야블로코"는 러시아어로 [[사과]]라는 뜻으로, 창립자인 그리고리 야블린스키[* 공산당의 [[겐나디 주가노프]], 자유민주당의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외 함께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 부터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해 [[2020년대]]에도 정치계에서 활동하는 러시아 야권의 원로급 인사다.](야), 유리 볼디예프(블)(현재 탈당), 블라디미르 리킨(로)(하원 의원, 전(前) 주미 러시아 대사)의 머리 글자에 "코"를 붙였다. 2005년 모스크바 시의원 선거에서 [[신자유주의]] 성향의 우파 연합(우파 세력 동맹)과 연합했다. 이 두 정당의 차이점으로는 사회 보장을 중시하며, 옐친 정권과 푸틴 정권을 비판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이 둘의 사이는 나쁘지 않았었다.[* 옐친 시대당시 반옐친 정치세력의 중심에는 원내에서는 [[러시아 연방 공산당|극좌]]들이, 원외에서는 [[민족 볼셰비키당|극우]]들이 있었다. 하지만 야블로코는 몇 안되는 중도주의적 성향의 반 옐친 야권이였다.] 또한 야블로코당은 러시아의 주요 정당 중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과 미국과의 분쟁에 반대해 온 몇 안되는 정당이다. 하지만 이후에는 창당에 [[올리가르히]]가 관여했다는 것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지지율이 급락해 2007년 총선에서 모든 의석을 잃었다. 지방의회 11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스크바|모스크바 연방시]](4석), [[상트페테르부르크]](2석), [[카렐리야 공화국]](2석), [[프스코프 주]](1석), [[코스트로마 주]](1석), [[하바롭스크 지방]](1석)의회에 진출해 있다. == 역사 == 1993년에 공공 단체로 설립된 이 당은 2001년에 정당이 되었다. [[1993년]], [[1995년]], [[1999년]] 및 [[2003년]]의 [[국가두마]] 총선거 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2005년 12월 4일, 모스크바 시의회 선거 [[러시아 연방 공산당]] 등의 타 정당과 함께해서 11%의 표를 얻었고, 새로운 모스크바 시 의회에 들어갔다. 이 선거 승리는 야블로코 지도자들이 2007년 [[국가두마]] 총선거의 희망적인 신호로 보았고 2007년 야블로코와 우파 연합이 2007년 주 의회에서 연합되고 선출되어야한다는 견해를 강화했다. 하지만 오히려 의석을 다 잃는 굴욕을 당했다. 2002년부터 [[자유주의 인터내셔널]]의 옵저버였으며, 2006년 10월 이후 정식회원이 되었다. 2022년 이후부터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몇 안되는 러시아의 정당이다. 때문에 2022년 9월 모스크바 구의회 선거에서 선거 이전에 가지고 있던 176석 중 단 4석만 당선된 대참패를 당했다. == 지지기반 == [[모스크바|모스크바 연방시]](4석), [[카렐리야 공화국]](3석), [[상트페테르부르크]](2석), [[프스코프 주]](2석), [[코스트로마 주]](1석), [[하바롭스크 지방]](1석) 지방의회에 진출해 있다. 반 [[블라디미르 푸틴|푸틴]] 성향과 [[반공주의]][* 야블로코는 공산당과 꽤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반서방 외교를 진행한 소련에 대한 반대 하의 반공주의적 성향을 띈다.]적 좌익 성향의 중년층 유권자들에게 일정 수준의 득표율을 얻고 있다. 이때문에 [[2012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그리고리 야블린스키의 출마가 러시아 선관위에 의해 무산되기도 했으며 러시아 정보당국의 감시대상이라는 소문이 있다. 러시아의 여성단체들과 [[성소수자]] 단체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정당은 러시아 정당들 중에 가장 친성소수자 성향으로 알려져 있다. == 같이 보기 == * [[러시아의 자유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