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앤틱 기어)] [목차] == 설명 == [[파일:古代の機械巨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앤틱 기어 골렘, 일어판 명칭=古代の機械巨人(アンティーク・ギアゴーレム), 영어판 명칭=Ancient Gear Golem, 레벨=8,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3000, 수비력=3000, 효과외1=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공격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소환 제한, 공격시 상대의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을 봉인하는 [[지속효과]], [[관통(유희왕)|관통]] 데미지를 주는 [[지속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유희왕 GX]] [[잃어버린 천년|첫 번째 부스터]]를 장식한 앤틱 기어 덱의 에이스 몬스터로, [[크로노스 데 메디치]]를 상징하는 몬스터와도 같은 존재이다. == 원작 == [[유희왕 GX]]에서 [[크로노스 데 메디치]]가 사용. 작중에서는 '''[[붉은 눈의 흑룡|환상의 레어 카드]]'''라고 불리고 있었으며, 크로노스 교수의 카드답게 [[황금의 사신상]]-[[태풍(유희왕)|태풍]], [[트로이 목마(유희왕)|트로이 목마]]의 효과, [[앤틱 기어|매직 기어]]등 매번 다양한 방법으로 소환되어 괜히 엘리트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듀얼리스트 학원의 교사가 아님을 증명함과 동시에 굵직한 싸움에서 활약한 크로노스의 에이스 역할을 했다.[* 크로노스의 전적은 총 6전인데 특수 소환 불가라는 까다로운 조건을 가진 최상급 몬스터를 '''매번''' 소환에 성공했다.] 쥬다이와의 졸업 듀얼에서는 아예 매직 기어의 효과로 3장 전부가 소환되어 쥬다이가 소환한 몬스터들을 자비심없이 개박살내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주며 최종병기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을 소환하는데 3장 전부 소재로 사용되었다. 그 후 얼티미트 골렘이 파괴되자 소환 조건 무시로 인해 묘지에서 부활하여 마찬가지로 미완의 타임 박스가 파괴되어 되돌아온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과 대치, 뒤이어 발동된 마천루-스카이 스크레이퍼에 의해 '''1화의 입학 듀얼 때를 그대로 재현'''하며 크로노스의 에이스 몬스터다운 마무리를 맺는다. 공격명은 '''얼티미트 파운드(Ultimate Pound)''', 영미권은 Mechanized Melee.[* 아래의 [[필살기 카드]]인 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는 그대로 Ultimate Pound로 출시했지만,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크로노스 영미권 더빙 대사에선 본래 명칭인 Mechanized Melee로 번역되었다.] 크로노스 외에는 어디서 난 건지 [[카구라자카(유희왕)|카구라자카]] 또한 [[마루후지 쇼]]와의 듀얼에서 크로노스의 덱을 카피한 것을 사용했는데, 크로노스의 방식을 그대로 따라하여 [[황금의 사신상]]을 제물로 소환하고 쇼의 [[비크로이드|제트로이드]]를 공격했지만 제트로이드의 효과로 패에서 발동된 [[매직 실린더]]에 역관광당해 패배해버린다.[* 본 화 방영 당시 효과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서 가능했던 연출로, OCG의 실제 효과를 적용했다면 함정의 발동 자체가 막히므로 매직 실린더가 봉쇄되었을 것이다.] 이후 [[유희왕 5D's]]에서도 [[루돌프 하이트만]]의 에이스로 등장했다. 이때는 [[앤틱 기어|앤틱 기어 스태추]]라는 '''패의 앤틱 기어 골렘을 이 카드를 릴리스해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다. [[유희왕 ZEXAL]]에서는 등장하지 않다가 [[유희왕 ARC-V]]에서 등장. 다만 소환 장면이 그려지진 않고 짤막하게 등장했다. [[유리(유희왕)|유리]]가 [[사이버 엔젤|사이버 엔젤-나사테이야-]]의 효과로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을 빼앗기자 함정 카드 '언피니시드 앤틱 기어'의 효과로 공격력 / 수비력이 절반이 된 상태로 특수 소환되었고[* 그리고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이 턴,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그 후 [[초융합]]의 효과로 빼앗긴 리액터 드래곤, 자신 필드의 앤틱 기어 와이반과 함께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레벨이 8이고, 공격력이 3000이며,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3체가 융합하여 얼티미트 융합 몬스터]]가 되는 점, [[유우키 쥬다이|주인공]]이 작품 내에서 처음으로 전력을 다해 겨룬 [[크로노스 데 메디치|상대]]의 에이스 몬스터라는 점을 보면, [[푸른 눈의 백룡]]의 오마주라고 볼 수 있다. == OCG == [include(틀:유희왕/OCG/4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강력한 공격력과 수비력, 그를 뒷받침해주는 강력한 [[관통(유희왕)|관통]] 및 마함 면역 효과, 거기에 앤틱 기어 특유의 [[스팀펑크]] 풍의 간지나는 일러스트까지 가미되어 그야말로 [[남자의 로망]]을 집약시킨 듯한 카드. 다만 에이스라는 이미지와 인기에 비하면 실전에서 사용하기는 까다로운 편인데,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제약이 발목을 잡기 때문이다. 앤틱 기어 카드군은 앤틱 기어 캐슬이 있긴 하지만, 전개력이 높거나 어드밴스 소환이 쉬운 카드군도 아니다보니 특수 소환 불가의 패널티가 뼈아프다. 필드 위의 앤틱 기어 3장을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튀어나오게 만드는 매직 기어라는 카드가 있긴 하지만, 골렘 이외의 자신필드의 몬스터가 모조리 날아가 버리는데다가 2턴 동안 일반 소환도 못 하게 되는 뼈아픈 희생을 감수해야 해서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가 잡히지 않는 이상 신중히 써야 한다. 후에 [[기어 타운]]이라는 강력한 서포트가 등장했지만, 하필이면 기어 타운으로 불러낼 수 있는 다른 몬스터에는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이 있다는게 문제. 게다가 이 카드는 특수 소환도 불가능[* 그나마 얼티미트 골렘 / 캐터펄트 / 데블의 효과로 특수 소환은 가능.]하기 때문에 기어 타운의 파괴시 효과로 나올 수도 없다. 그래도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의 소환 용도로는 이 카드가 거의 빠지지 않는다. 우선 얼티미트 골렘 자체가 원작에서 골렘 3장을 융합해서 소환되었으며, OCG화되면서 앤틱 기어 골렘 + 앤틱 기어 2장으로 융합 소재가 바뀌었지만 어쨌든 이 카드를 1장 이상은 요구하는데다가 파괴되었을 경우 앤틱 기어 골렘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의 효과로 카피할 수 있기에 앤틱 기어 퓨전을 쓰면 바로 덱 융합이 가능하다. 이때문에 1장은 꼭 넣는다. 최근 지원으로 소환 조건을 무시하는 앤틱 기어 캐터펄트, 앤틱 기어 데블이 등장하면서 과거에 비하면 상당히 쉽게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필드에 소환하면 앤틱 기어 퓨전으로 덱융합하여 바로 [[앤틱 기어 카오스 자이언트]]나 [[앤틱 기어 메가톤 골렘]]을 소환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 카드가 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시리즈 || ||<(>2006-08-2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TLM-KR006 | '''[[잃어버린 천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2008-04-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10-KR012 | [[기계의 반란(유희왕)|스트럭처 덱 - 기계의 반란 - 스페셜 에디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08-07-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3-KR186 | [[하이 그레이드 팩]]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12-04-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SP4-KR041 | [[익스팬션 팩#s-2.4|익스팬션 팩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17-02-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R03-KR005 | [[기계룡반란|스트럭처 덱 R - 기계룡반란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2-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9-KR034 | [[듀얼리스트 팩#s-8.2|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2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05-02-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LM-JP006 | '''[[잃어버린 천년|ザ・ロスト・ミレニア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2005-03-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C1-JP004 | MASTER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2005-12-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3-JP186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06-09-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0-JP012 | [[기계의 반란(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機械の叛乱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6-09-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R03-JP005 | [[기계룡반란|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機械竜叛乱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7-11-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9-JP034 | [[듀얼리스트 팩#s-8.2|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2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05-06-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LM-EN006 | '''[[잃어버린 천년|THE LOST MILLENNIU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2006-11-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3-EN186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07-01-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10-EN012 | [[기계의 반란(유희왕)|STRUCTURE DECK MACHINE RE-VOL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2-05-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1-EN011 | BATTLE PACK EPIC DAW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2013-06-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2-EN035 | BATTLE PACK 2 WAR OF THE GIANT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2014-06-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18-EN004 | DUELIST LEAGUE 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2017-04-1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R03-EN005 | [[기계룡반란|MACHINE REACTOR STRUCTURE DE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2-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2-EN034 | [[듀얼리스트 팩#s-8.2|LEGENDARY DUELISTS: ANCIENT MILLENNIU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20-07-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1-EN080 | LEGENDARY DUELISTS: SEAS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22-03-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GX1-END01 | SPEED DUEL GX: DUEL ACADEM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관련 카드 == *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 - 앤틱 기어 골렘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앤틱 기어 메가톤 골렘]] * [[앤틱 기어#앤틱 기어 프레임|앤틱 기어 프레임]] * [[앤틱 기어#앤틱 기어 퓨전|앤틱 기어 퓨전]] * [[툰#툰 앤틱 기어 골렘|툰 앤틱 기어 골렘]] * [[앤틱 기어#매직 기어|매직 기어]] * [[경투-크로스 디멘션]] === 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7년)] [[파일:古代の機械巨人-アルティメット・パウン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 일어판 명칭=古代の機械巨人(アンティーク・ギアゴーレム)-アルティメット・パウンド, 영어판 명칭=Ancient Gear Golem-Ultimate Pound, 레벨=8,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3000, 수비력=3000, 효과외1=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으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패에서 기계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계속해서 공격할 수 있다. 이 효과는 1턴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고\, 자신의 묘지에서 이 카드 이외의 "앤틱 기어" 몬스터 1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앤틱 기어 골렘의 [[필살기 카드]]이자 리메이크 버전.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와 같은 작명법을 사용했다. 원본과 같은 강력한 관통 어태커. 앤틱 기어 특유의 마함 봉인 효과가 없어진 대신 최대 3회 공격이라는 무시무시한 비트 효과를 갖고 있다.[* 효과의 발동 조건이 이 카드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이므로 공격 횟수를 늘리기 위해선 몬스터를 파괴할 필요가 있지만, 그 이후 추가되는 공격 기회는 몬스터만을 공격할 수 있는 기회가 아니기에 몬스터 2회 공격 후 필드가 비어있다면 직접 공격 또한 가능하다.] 여기에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얹어주면 게임 끝. 마함 봉인을 없앤건 아무래도 트리플 어택이 워낙 강력한 효과이다보니 밸런스상 없앤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파괴되었을 때도 융합 서치 및 앤틱 기어 샐비지가 가능해 내성 없는 최상급 몬스터치고는 파괴됐을 때 손해도 적다. 원본과 마찬가지로 특수 소환은 불가능하지만 앤틱 기어 캐터펄트를 포함해 이 카드를 불러올 수단은 충분하다. 리메이크 카드지만 앤틱 기어 골렘으로 취급하지는 않기 때문에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의 지정 융합 소재는 만족시켜주지 않지만, [[앤틱 기어 카오스 자이언트]]라는 얼티미트 골렘의 대체품 혹은 상위 몬스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큰 손해는 아니다. 또한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2에서 아무 앤틱 기어나 3장 융합하면 나오는 [[앤틱 기어 메가톤 골렘]]도 나왔으며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쓰면 메가톤 골렘의 연속 공격 능력을 쓸 수가 있다. 이제는 다른 앤틱 기어 어태커들도 충분하니 얼티미트 골렘을 꼭 소환하고 싶지 않으면 원본 골렘을 집어넣을 이유가 거의 없어진 셈. ③번 효과를 포함해서, 어찌 보면 앤틱 기어가 골렘 하나만 믿고 살던 초창기와는 운용이 한참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리메이크 카드라 할 수 있겠다. 마함 봉쇄 효과가 없는 것 때문에 앤틱 기어 유저들에겐 박한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저 무시무시한 삼단공격에 마함 봉쇄까지 달려있으면 3연타+관통 데미지+마함 봉쇄라는 카드한장에 사기적인 조합이 다 들어가는 것이다. 밸런스상 어쩔수 없는 조치. 일단 봉쇄 효과는 앤틱 기어 가제트, 히드라로 커버하면 된다. 일러스트는 큰 변화는 없으나 자세가 마치 지금 당장이라도 주먹으로 찍어 버릴 것 같은 역동적인 자세로 바뀌었는데, 대부분은 호평이지만 스팀펑크의 둔중한 이미지를 좋아하는 사람은 가벼워 보인다고 불평하기도 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스트럭처 덱 ANCIENT GEAR AWAKENING의 메인 카드로 수록되었다. 앤틱 기어 골렘의 리메이크답게 3D 연출은 없지만 컷인과 함께 전용대사가 나오며, 효과 발동 및 공격 시에도 대사가 나온다. 여기서 나온 공격명은 '''얼티미트 파운드 파운드.''' 본인도 말하고선 귀찮게 한다고 한다.(...) || 수록 시리즈 || ||<(>2018-02-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19-KR035 | '''[[듀얼리스트 팩#s-8.2|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2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7-0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JMP-JP126 | '''[[V점프|Vジャンプ]] 2017年 3月号 付録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17-11-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19-JP035 | [[듀얼리스트 팩#s-8.2|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2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7-08-0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OTD-EN099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CODE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2-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D2-EN035 | [[듀얼리스트 팩#s-8.2|LEGENDARY DUELISTS: ANCIENT MILLENNIU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8-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8-EN103 | 2018 MEGA-TIN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9-04-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PO-EN054 | DUEL POWE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2020-07-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DS1-EN085 | LEGENDARY DUELISTS: SEAS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타 == 이 카드를 합성한 사랑스런 앤틱기어 [[박근혜]]라는 짤방이 있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40596012|#]]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