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앤드류 맥커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츠버그 파이리츠 1라운드 지명선수)] ---- ||
'''앤드류 맥커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파일:2011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4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파일:2015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1년|{{{#ffffff 201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2년|{{{#ffffff 2012}}}]]'''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3년|{{{#ffffff 2013}}}]]'''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4년|{{{#ffffff 2014}}}]]'''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5년|{{{#ffffff 2015}}}]]''' || ---- ||
[[파일: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height=70]][br]'''월드 베이스볼 클래식[br]우승반지''' || ||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ffffff 2017}}}]]''' || ---- [include(틀:2012 골드 글러브)]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MVP}}}''' || || [[버스터 포지]][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클레이튼 커쇼]][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중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맷 켐프]][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카를로스 고메즈]][br]([[밀워키 브루어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맷 켐프]][br]([[로스앤젤레스 다저스]]) [br] [[저스틴 업튼]][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br][[라이언 브론]][br]([[밀워키 브루어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제이 브루스]][br]([[신시내티 레즈]])[br][[라이언 브론]][br]([[밀워키 브루어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제이 브루스]][br]([[신시내티 레즈]])[br][[마이클 커다이어]][br]([[콜로라도 로키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제이 브루스]][br]([[신시내티 레즈]])[br][[라이언 브론]][br]([[밀워키 브루어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제이 브루스]][br]([[신시내티 레즈]])[br][[마이클 커다이어]][br]([[콜로라도 로키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br][[저스틴 업튼]][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제이 브루스]][br]([[신시내티 레즈]])[br][[마이클 커다이어]][br] ([[콜로라도 로키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br][[저스틴 업튼]][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브라이스 하퍼]][br]([[워싱턴 내셔널스]])[br][[카를로스 곤잘레스]][br]([[콜로라도 로키스]])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5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실버 슬러거}}}'''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지안카를로 스탠튼]][br]([[마이애미 말린스]])[br][[저스틴 업튼]][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br][[브라이스 하퍼]][br]([[워싱턴 내셔널스]])[br][[카를로스 곤잘레스]][br]([[콜로라도 로키스]]) || → || [[찰리 블랙몬]][br]([[콜로라도 로키스]])[br][[요에니스 세스페데스]][br]([[뉴욕 메츠]])[br][[크리스티안 옐리치]][br]([[마이애미 말린스]])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1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안타왕}}}''' || || [[스탈린 카스트로]][br]([[시카고 컵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맷 카펜터]][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85, #ED174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2015년 메이저 리그 로베르토 클레멘테 상}}}'''}}} || || [[폴 코너코]][br]([[시카고 화이트삭스]])[br][[지미 롤린스]][br]([[필라델피아 필리스]]) || → || '''앤드류 맥커친[br]([[피츠버그 파이리츠]])''' || → || [[커티스 그랜더슨]][br]([[뉴욕 메츠]]) || ---- ||<-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22번}}}''' || || [[자비에르 네이디]][br](2006~2008) || {{{+1 →}}} || '''{{{#000000 앤드류 맥커친[br](2009~2017)}}}''' || {{{+1 →}}} || 결번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22번}}}''' || || [[크리스티안 아로요]][br](2017) || {{{+1 →}}} || '''앤드류 맥커친[br](2018)''' || {{{+1 →}}} || [[윌 클락]][br]('''[[영구결번/스포츠|영구결번]]''')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26번}}}''' || || [[타일러 오스틴]][br](2018) || {{{+1 →}}} || '''{{{#132448 앤드류 맥커친[br](2018)}}}''' || {{{+1 →}}} || [[DJ 르메이휴]][br](2019~)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2번}}}''' || || [[게이브 캐플러]][br](2018) || {{{+1 →}}} || '''앤드류 맥커친[br](2019~2021)''' || {{{+1 →}}} || [[마크 어펠]][br](2022) || ||<-5> '''{{{#fff [[밀워키 브루어스|{{{#fff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24번}}}''' || || [[아비사일 가르시아]][br](2020~2021) || {{{+1 →}}} || '''{{{#12284b 앤드류 맥커친[br](2022)}}}''' || {{{+1 →}}} || [[윌리엄 콘트레라스]][br](2023~) || ||<-5> '''{{{#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22번}}}''' || || 결번 || {{{+1 →}}} || '''{{{#000000 앤드류 맥커친[br](2023)}}}'''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이리츠맥커친.jpg|width=100%]]}}} || ||<-2> '''{{{+2 앤드류 맥커친}}}[br]Andrew McCutchen''' || || '''본명''' ||앤드류 스테판 맥커친[br]Andrew Stefan McCutchen || ||<|2> '''출생''' ||[[1986년]] [[10월 10일]] ([age(1986-10-10)]세) || ||[[플로리다|플로리다 주]] 포트미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포트미드 고등학교 || || '''신체''' ||180cm / 88kg || || '''포지션''' ||[[좌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5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1번, [[피츠버그 파이리츠|PIT]]) || ||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2009~2017)''' [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8) [br][[뉴욕 양키스]] (2018) [br][[필라델피아 필리스]] (2019~2021)[br][[밀워키 브루어스]] (2022) [br]'''[[피츠버그 파이리츠]] (2023)''' || || '''종교''' ||[[개신교]] || || '''가족''' ||아버지 로렌조 맥커친, 어머니 페트리나 스완 [br] 여동생 로렌 맥커친 || || '''SNS''' ||[[https://www.facebook.com/thecutch2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cutchtwenty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eCUTCH22,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외야수]].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6> '''앤드류 맥커친의 선수 경력''' || ||<-6> '''통합 선수 경력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 || ||<-6>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1|'''{{{#fdb827 2009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2|'''{{{#fdb827 2010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3|'''{{{#fdb827 2011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4|'''{{{#fdb827 2012년}}}''']] ||<-2>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5|'''{{{#fdb827 2013년}}}''']] ||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6|'''{{{#fdb827 2014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7|'''{{{#fdb827 2015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8|'''{{{#fdb827 2016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3.9|'''{{{#fdb827 2017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4|'''{{{#fd5a1e {{{-2 18 SF}}}}}}''']]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5|'''{{{#FFFFFF {{{-2 18 NYY}}}}}}''']] ||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6|'''{{{#FFFFFF 2019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6.2|'''{{{#FFFFFF 2020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6.3|'''{{{#FFFFFF 2021년}}}''']] ||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7|'''{{{#FFFFFF 2022년}}}''']] ||<-2>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8.1|'''{{{#fdb827 2023년}}}''']] || ||<-6> [[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_화이트 레드.svg|width=45]] || ||<-6> [[앤드류 맥커친/선수 경력#s-9.1|'''{{{#ffffff 2017년 WBC}}}''']] || == 플레이 스타일 == 전성기 기준 리그에서 손꼽히는 5툴 플레이어로, 크지 않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운동능력이 전방위로 매우 출중하다. 우선 파워와 컨택을 보면, 타격-출루-장타력 세가지 덕을 다 가진 3-4-5에서 한포지션을 보장하는 강타자다. 체구가 크지 않아서 모르는 사람이 보면 교타자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매우 정교하고 유연한 타격폼으로 장타를 생산해내는 능력이 뛰어나다. 몸의 탄력을 최대한 이용해 빠른 배트 회전이 맥커친의 트레이드마크. 그리고 볼 고르는 능력도 매우 뛰어나서 4년 연속 출루율 4할을 달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완전한 거포는 아니며, 그의 빠른 발과 결합된 OPS형 타자라고 볼 수 있다. 고교시절에 풋볼과 육상에서도 스타였는데, 달리는 폼이 다른 선수들과 확실히 다르다. 풋볼 선수의 질주나 육상 선수의 단거리 질주, 혹은 매우 건강한 야생마를 보는 느낌. 하지만 언더 사이즈 야수의 한계인지 29세라는 젊은 나이에 타격에서 급격한 하락세를 겪었다. 전성기 기준 3할을 넘기던 타율이 2할대 중반으로 폭락하며 MVP 레벨의 포스를 더 이상 발휘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눈야구 능력과 갭파워를 통해 장기부상 전이었던 2019 시즌까지 여전히 타석에서 가치있는 타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수비는 전성기에도 딱히 잘 한다고 할 수는 없었고, 15시즌 이후로는 중견수로는 낙제점에 가깝다. 자이언츠 이적 이후 우익수로 포지션을 옮겼다. 주루 쪽으로는, 매년 20+ 도루를 기록할 수 있지만, 2013시즌 이후에는 부상을 염려하여 많이 시도하지 않는다. 게다가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라는, 운동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상을 입었으니 이제는 더 이상 주루 툴을 기대하기 힘들 듯 하다. 무엇보다도 장점 중 하나가 멘탈이 좋다는 것이다. 트래시 토킹에 잘 휘말리지 않으며, 슬럼프에 휩쓸려 오래가는 일 또한 없다. == 수상 내역 == * 올스타 5회 (2011~2015) * [[내셔널 리그]] [[MLB MVP|MVP]] (2013) * [[내셔널 리그]] 중견수 [[골드 글러브]] (2012) * [[내셔널 리그]] 외야수 [[실버 슬러거]] 4회 (2012~2015) * [[내셔널 리그]] 안타 1위 (2012) == 기타 == * 국내에서는 성(姓)이 맥쿠천, 맥쿠첸, 맥커천, 맥커첸, 맥커친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나 실제 발음상으로나 맥커친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강정호의 메이저리그 진출로 인해 국내 야구팬들에게 인지도가 높아진 이후에는 '맥커친'으로 표기가 굳어진 듯. * [[김형준(기자)|김형준]] 기자에 의하면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망하는 시나리오 중 하나가 맥커친이 [[이병규(1974)|라맥]]이 되는 거라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224&aid=0000002426|재미로 보는 NL 최고-최악의 시나리오]] * 커리어 내내 한 번도 보기 힘든 105마일짜리 패스트볼을 두 번이나 봤다. 아롤디스 채프먼의 12년간 깨지지 않고 있는 야구 역사상 최고 구속의 상대 타자가 바로 맥커친이었다. 그러나 그 공은 정작 맥커친 몸쪽 깊은 곳의 볼이었다. 그리고 12년 뒤 맥커친은 또다시 헌터 그린의 105마일짜리 패스트볼을 받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ndrew McCutchen MLB 13: The Show.jpg|width=100%]]}}} ||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CE]]의 야구게임인 [[MLB 더 쇼 시리즈|MLB 13: The Show]]의 커버 모델로 선정되기도 했다. * 2013년 3월 8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스프링 트레이닝 경기에서 카메라맨에 도전했다. 이날 경기는 [[MBC SPORTS+]]에서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캐스터와 [[이종률(해설자)|이종률]] 해설위원이 중계를 했는데 맥커친의 카메라 워크에 대해 혹평을 쏟아내기도 했다. * 2013 시즌이 끝나고, 엘렌 쇼에 출연해서 여자친구인 마리아에게 프러포즈를 했다. * 부모님도 포트 미드 출신이고 부모님이 고등학교 때 앤드루가 태어났다. 가족들 이야기가 재밌는데 아버지 로렌조는 테네시 주에서 대학을 다니며 미식축구 러닝백으로 뛰었고 NFL 팀의 연고지인 대도시에서 앤드루를 키우려고 했었으나 현실과 타협해서 1989년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앤드루의 어머니는 1남 1녀를 키우면서도 남자친구가 목사가 되기 전에는 결혼하지 않겠다고 선언해서 로렌조가 목사가 된 1992년에 정식으로 결혼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앤드루와 가족들은 독실한 기독교인이다. * 슈퍼스타인데도 불구하고, 거액의 자신의 월급 인증 사진을 올린거 빼고는 딱히 잡음이 없을 정도로 사생활이 깨끗하다. * 우타자들이 불리한 홈구장 [[PNC 파크]]에서 가장 많이 홈런을 친 선수이다. * 트위터로 팬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강정호가 자신의 얼굴을 새긴 문신에 대한 질문에 [[http://v.media.daum.net/v/20160218011204797|"정호의 쌍둥이 동생 '''강정노'''"]]라고 대답하여 소소한 웃음을 주었다. * 메이저리그 선수단 전체 올스타 팀이 생긴다면 주장이 가장 잘 어울리는 선수로 뽑힐 정도로 실력도 실력이지만 리더십 또한 훌륭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86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포크 카운티(플로리다 주)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미국의 개신교 신자]][[분류:MLB MVP]][[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분류: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