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앤드루사르쿠스}}}[* 국내에 소개될 때는 십중팔구 앤드류사르쿠스 또는 앤드류사쿠스라고 소개되지만, Andrew는 앤드'''류'''가 아니라 앤드'''루'''가 맞다. 따라서 영어식 발음 역시 '앤드루자커스'. 자세한 건 [[앤드루]] 참고. 또한 라틴어 발음대로 하면 안드레우사르쿠스다.][br]Andrewsarchus}}}'''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drewsarchus_mongoliensis.jpg|width=100%]] || ||<#F93> '''학명''' || ''' ''Andrewsarchus mongoliensis'' '''[br]Osborn, 1924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류|경우제목]]^^Cet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범경요치류^^Cetancodontamorpha^^||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앤드루사르쿠스속^^''Andrewsarch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앤드루사르쿠스 몽골리엔시스(''A. mongoliensis'')^^{{{-1 [[모식종]]}}}^^|| || [[파일:Andrewsarchus-mongoliensis-738x591.jpg|width=500]] || || 하마를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그려진 복원도 || || [[파일:Andrewsarchus3-738x591.jpg|width=500]] || || 엔텔로돈류를 참고한 듯한 복원도[* 상세한 분류가 불명이 돼버려 현재는 무엇이 진짜 모습인지 알 수 없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신생대]] [[에오세]] 중기에 오늘날의 [[내몽골]]에 서식한 최대의 육식성 [[우제목]] [[포유류]]. 속명의 뜻은 '앤드루스의 지배자'라는 뜻. [[인디아나 존스]]의 모델이 된 미국의 고생물학자 [[로이 채프먼 앤드루스]]가 발견했다. == 특징 == || [[파일:external/www.think.co.th/Giantpredatorsscale1.png|width=100%]] || || 다른 고생물들과의 크기 비교[* 초록색-[[스피노사우루스]], 노란색-[[기가노토사우루스]], 빨간색-[[티라노사우루스]], 보라색-[[알로사우루스]], 남색-[[토르보사우루스]], 하늘색-[[북극곰]], 주황색-앤드류사르쿠스. 그런데 북극곰이 지나치게 크게 나와있는데 해당 이미지의 북극곰의 크기는 평균적인 북극곰의 크기보다 훨씬 큰 크기로 저 그림은 최대로 측정된 개체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스피노사우루스]]의 크기가 지나치게 큰데다가 외형이 2014년 이전의 모습인 걸로 보아 2014년 이전에 나온 비교표로 보인다. [[토르보사우루스]]보다 훨씬 작은 [[알로사우루스]] 또한 지나치게 거대하게 나오는데, 표에 나와있듯이 일반적인 개체보다 더 거대한 개체의 것으로 여겨졌던 단편적인 표본들을 바탕으로 한 추정치다.] || 처음 이 동물의 화석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거대한 돼지로 생각되었으나 이후 옛 발굽 포유류 메소닉스목(과절목)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메소닉스목이 우제목의 아목으로 합병되면서 우제목이 되었고 우제목은 경우제목이 되었고, 추가적인 연구 결과 다른 메소닉스류 포유류와는 다르고 오히려 엔텔로돈류나 [[고래]], [[하마]] 등과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져 지금은 완전히 메소닉스아목에서 퇴출되어 현재는 상세한 분류가 불명인 경우제목 내 범경요치류[* [[엔텔로돈]] 등의 엔텔로돈과와 하마, 고래 및 그 친척 고생물들을 포함하는 분류군.] 동물인 상태다. [[파일:ldt0r0j6tey41.png|width=500]] 치악력은 역대 육상 포유류 중 최강급으로 추정되며[* 안드류사르쿠스의 가까운 친척 중 하나인 [[하마]]의 치악력이 현대 육상 포유류 중 최강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니다. 하마의 치악력은 무려 턱 힘의 대명사인 [[하이에나]]조차도 능가한다!!! 그 위력이 얼마정도인지 궁금하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VxP1cp8KS1o|이 동영상]]을 직접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앞발, 뒷발에는 [[발톱]] 대신 발굽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 복원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drewsarchus_DB.jpg|width=500]] 앤드류사르쿠스가 식육목이 아니라 경우제목에 속한다는 건 상당히 오래전부터 알려져있던 사실이나 대부분의 대중매체나 팔레오아트에서는 늑대나 하이에나와 비슷한 모습으로 줄곧 복원되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하마나 엔텔로돈과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앤드류사르쿠스의 구 복원도는 이전 앤드류사르쿠스가 속한 목으로 여겨젔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2/Mesonyx.jpg|메소닉스의 복원도]]를 앤드류사르쿠스의 크기에 대입시켜서 뻥튀기한 형태였고 같은 경반추류에 속하는 [[사슴]]의 경우 저 복원도처럼 검정색 코와 강아지입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앤드루사르쿠스가 메소니키드뿐 아니라 고래의 조상 격의 근연쯤 되는 동물이기도 해서 아마 [[파키케투스]]와 [[암불로케투스]]같은 근연종들도 참고했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 [[파일:Andrewsarchus-mongoliensis-(WB)-738x591.jpg|width=500]] || 2010년대 중순에 그려진 복원도 == 매체에서의 등장 == * [[다큐멘터리]]에서는 [[BBC]]의 [[고대 야생 동물 대탐험]] 2부에 등장한다. 여기서도 역시 메소닉스목 동물에 가까운 외형으로 나온다. * 만화 [[에덴의 우리]]에도 등장했다. * [[쥬라기 공원 빌더]]와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전시가능한 고생물로 등장한다. * [[최강 동물왕: 멸종동물편]]에서 [[도에디쿠루스]]를 역전승을 했으나 14톤이나 나간 [[데이노테리움]]에게 희생되었다. *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에서 이 동물을 쏙 빼닮은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50305&no=205&weekday=sat|'망가스 형제'와 망가스 형제의 부하들이 등장했다.]] 물론 모티브만 따온거지 망가스 자체는 몽골 설화에 나오는 가상의 동물이다. * [[ARK: Survival Evolved]]의 DLC [[ARK: Fjordur|피오르두르]]에서 추가되었다. [[앤드루사르쿠스(ARK: Survival Evolved)]] 참고. [[분류:범경요치류]][[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