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a747> '''{{{+1 애시드 록}}}[br]Acid rock''' || ||<|2> '''기원''' ||^^'''장르'''^^ [[록 음악]], [[개러지 펑크]], [[블루스]], [[포크 록]], [[사이키델릭 록]] || ||^^'''지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등장 시기''' ||[[1960년대]] 중기 || || '''파생 장르'''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헤비 메탈]] || || '''퓨전 장르''' ||[[스토너 메탈]] || || '''관련 장르''' ||[[애시드 펑크]], [[:분류:프로토 메탈|프로토 메탈]] || || '''중심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 || '''대표 음악가'''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그레이트풀 데드]], [[아이언 버터플라이]], [[핑크 플로이드]] || [목차][clearfix] == 개요 == 애시드 록은 [[록 음악]]의 하위 장르로 1960년대 중기 [[개러지 펑크]] 운동에서 발달해 형성되었고, 사이키델릭 문화 형성에 큰 도움을 주었던 음악장르이다. == 상세 ==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에서 장르명이 따와 지어졌으며, 주로 무겁고 왜곡된 기타 사운드, [[마약]]과 관련된 가사, 즉흥적인 [[잼(동음이의어)#밴드의 즉흥합주를 뜻하는 말|잼]]들이 이 음악의 스타일로 설명된다. 주로 미국 서해안을 중심으로 발달이 되었는데, 영국의 사이키델릭 밴드들과는 달리 색다른 효과나 방식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사이키델릭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한 더 강렬하고 무거운 특성을 강조했다. 그렇기에 [[개러지 록|개러지 펑크]], [[:분류:프로토 메탈|프로토 메탈]], 초기 [[블루스]]를 기반으로 한 [[하드 록]]과 많은 요소들이 겹친다. 1960대와 1970년대를 걸쳐 계속 발달되면서 애시드 록의 요소들은 [[프로그레시브 록]]과 [[하드 록]]/[[헤비 메탈]] 두 방향으로 갈라졌다. 1990년대에는 애시드 록과 [[그런지]]와 같은 하드 록들이 결합해 [[스토너 메탈]]이 형성되기도 했다. 대표적인 애시드 록 음악으로 [[비틀즈]]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가 있다. == 정의 == 처음에는 애시드 록의 정의는 제대로 정립이 되지 않았었다. 애시드 록이 아직 완전히 형성되기 전인 1969년, 저널리스트 "닉 콘 (Nik Cohn)"은 이 용어를 "어떤 스타일에 상관없이 아무 그룹에게나 붙이던 상당히 쓸모없는 문구"라 불렀다. 원래 애시드 록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당시 지하 파티에서 애시드 트립(acid trips)을 하기 위해 쓰이는 배경 음악과 [[샌프란시스코]] 하이트-애쉬베리 지역의 보다 다양한 밴드들을 가리켰다. 초기에는 [[사이키델릭 록]]과 함께 사용되기도했지만,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사이키델릭 록과 다르게 하위 장르로서의 더 단단하고 더 시끄럽고 더 강렬하고 날것의 사이키델릭 록 형식의 음악을 지칭할 때 사용되었다. == 기원 == 1960년대 초에 시작된 [[개러지 펑크]]는 [[R&B]]에서 영향을 받아 [[일렉트릭 기타]]와 [[오르간]]을 사용하는 개러지 밴드들의 미국내 주된 운동이었다. 이들은 주로 아마추어 십대들이었고, wah-wah와 fuzz tone과 같은 sonic effects에 집착하고 기타 리프에 크게 의존했다. 이후 이들의 음악은 점차 사이키델릭 음악으로 변화하면서, 사이키델릭 록을 연주하기 시작했고, [[개러지 록]]만의 거친 왜곡, 피드백, layered sonic effects를 그들만의 사이키델릭 음악에 접목시키며, 애시드 록을 탄생시켰다 == 참고 문서 == * [[https://en.m.wikipedia.org/wiki/Acid_rock|애시드 록 영문위키]] * [[https://www.masterclass.com/articles/acid-rock-music-guide#what-is-acid-rock|애시드 록 뮤직 가이드]] [[분류:애시드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