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AmuletDragon-JP-Anime-DM-NC.png]] || 한글판 명칭 ||<-4>'''애뮬릿 드래곤'''|| || 일어판 명칭 ||<-4>'''[ruby(呪符竜, ruby=アミュレット・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4>'''Amulet Dragon'''||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어둠 || 드래곤족 || 2900 || 2500 || ||<-5>"블랙 매지션" + "티마이오스의 눈"[br]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마법 카드를 전부 제외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제외한 수 × 300 포인트 올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 175화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라펠]]과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티마이오스의 눈]]을 발동해서 [[블랙 매지션]]을 지정해 소환되었으며 공격력을 5300으로 폭등시켜 [[가디언 에아토스]]를 파괴했다. 하지만 그 다음 턴에 공격력 5500인 [[가디언 데스사이스]]에 의해 파괴된다.[* 사실 이때 가디언 에아토스뿐 아니라 가디언 그랄도 공격 표시여서 그랄부터 파괴했으면 가디언 데스사이스가 나올 일 없이 라펠은 아무 것도 못했을 것이다.] 자신보다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라도 패 1장만 버리면 쓸어버리는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에 비해 이 카드는 압도적인 공격력으로 밀어버린다. 공격명은 '매직 디스토션(マジック・デストーション / Magic Distortion)'.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1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애뮤릿 드래곤, 일어판 명칭=呪符竜(アミュレット・ドラゴン), 영어판 명칭=Amulet Dragon,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900, 수비력=2500, 소재="블랙 매지션" + 드래곤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상기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한 융합 소환 또는 "티마이오스의 눈"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 상대 묘지의 마법 카드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카드를 제외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그 제외한 카드의 수 × 1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마법사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나와라 애뮤릿 드래곤!'' >---- >유희왕 듀얼링크스, 어둠의 유희 전용 소환 대사 >"애뮤릿 드래곤으로 공격! 매직 디스토션!'' >---- >유희왕 듀얼링크스, 어둠의 유희 전용 공격 대사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과 마찬가지로 지정된 소재를 사용한 정규 융합 또는 티마이오스의 눈으로만 소환할 수 있다. 원작과 달리 상승 수치가 100으로 줄었지만, 그 대신에 상대 묘지의 마법 카드도 제외할 수 있게 된 것은 장점. [[마도(유희왕)|마도]]나 [[섀도르]], [[젬나이트]], [[리추어]]처럼 특정 마법을 [[샐비지]]해서 사용하는 테마와 맞붙을 경우 운이 좋으면 기본 전략을 깨부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묘지의 마법을 깡그리 제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묘지의 마법 수를 참고하는 추가효과로 화력을 뿜는 [[섬도]]에게는 최악의 천적. 소환시 앵커를 맞지 않는 이상 그 판은 이긴거나 다름없다. 화력이 부족한 블랙 매지션 덱에겐 공격력 상승도 도움이 되는데 마법사족 덱은 기본적으로 마법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중반쯤에 소환하면 4000은 보장된다. 초반에 소환해도 이 카드를 뽑기 위해 사용된 융합이나 티마이오스의 눈 둘 중 하나는 있기 때문에 최소 3000이다. 마법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인지라 마법 재생 관련 카드가 존재하는 마법사족 덱으로서는 조금 우려되지만 공격력이 부족한 마법사족 덱에 있어서는 희망적인 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파괴되었을 경우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소생시키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일반 몬스터 마법사족 한정이 아니라서 [[블랙 매지션]]과 융합(혹은 [[티마이오스의 눈]])을 넣어도 굴러가는 마법사족 덱이라면 어떻게든 활용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암흑룡 코라프서펜트|흑]][[휘백룡 와이버스터|백]] [[섀도르]] 덱에서 패말림을 감수하고 블랙 매지션과 융합을 넣어 이 카드를 뽑는 끔찍한 짓도 가능하다. 물론 다들 알다시피 [[섀도르]]와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의 궁합은 별로라는걸 알아두자. 아니면 [[마술사(유희왕)|마술사]]와 연계 가능하다. [[오드아이즈]] 몬스터도 사용하면 [[티마이오스의 눈]] 대신 [[융합(마법 카드)|융합]]이나 [[오드아이즈 퓨전]]과 연계 가능하다. [[용기사 블랙 매지션]]의 등장으로 입지가 줄었다. 그러나 그것보다 장악력과 특수 소환력[* 용기사 블랙 매지션은 필드 /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되고 소환 제약이 없어서 정규 소환 후 묘지로 가도 매 턴 영원의 혼으로 부활하면서 흑의 마도진으로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제외할 수 있다.]은 떨어질지언정 순간화력이 더 높고 파괴되면 묘지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남겨줄 수 있다. 고로 장기전으로 가면 용기사 블랙 매지션을 띄워서 점층적 압박을 가하고 단기전으로 큰 한방이 필요할 때 이 카드를 사용하면 된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를 잘 보면 몸에 있는 문자는 [[오리컬코스의 결계]]의 테두리 문자와 똑같다. 일러스트의 모티브는 원작 애니 175화에서 애뮬릿 드래곤이 에아토스를 공격하는 씬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원래의 단어를 따지면 "애뮬릿 드래곤"으로 읽는 것이 맞으나, 국내에서는 [[뎁스 애뮤릿]]이라는 전례를 따라 애'''뮤'''릿 드래곤이 되었다. 원문의 呪符(주부)는 부적으로, 한자를 직역하자면 부적룡이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Dragons of Legend]] || DRLG-EN003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Dragons of Legend|Dragons of Legend: Unleashed]] || DRL3-EN043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Dragon Decks || LEDD-ENA35 || [[노멀]] || 미국 || || || [[Dragons of Legend|Dragons of Legend: The Complete Series]] || DRLC-EN00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컬렉터즈 팩|コレクターズパック-伝説の決闘者編- ]] || CPL1-JP003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컬렉터즈 팩|컬렉터즈 팩 -전설의 듀얼리스트편-]] || CPL1-KR003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블랙 매지션]] ==== 티마이오스의 힘을 받게 된 융합 소재. === 기타 관련 카드 === ==== [[티마이오스의 눈]] ==== 블랙 매지션이 올라타고 있는 드래곤. ==== [[용기사 블랙 매지션]] ==== 같은 소환 조건을 요구하는 융합 몬스터. 애뮤릿과 달리 정규 소환 후 소생이 가능하며 필드 묘지에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