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hangman-adam-page-1.jpg|width=100%]] || || '''{{{+5 {{{#ffc71c "HANGMAN"}}} {{{#white ADAM}}} {{{#ffc71c PAGE}}}}}}''' || ||<-2> [[파일:Ddd75tq-3fb16232-ca5a-46b8-b7a0-aba1ba1e4c50.png|width=250]] || ||<-2> [[올 엘리트 레슬링|{{{#fff '''A'''}}}{{{#9e862d '''E'''}}}{{{#fff '''W'''}}}]] || || '''본명''' || Stephen Blake Woltz[br](스티븐 블레이크 월츠) || || '''링네임''' || '''Adam Page'''[* '애덤'은 자신의 어린 시절 친구에게서, '페이지'는 [[레드 제플린]]의 멤버 [[지미 페이지]]에게서 따왔다고 한다.][br]Hangman Page/ハングマン・ペイジ[*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쓰던 링네임. 활동 초창기 똑같이 [[ROH]] 출신인 [[불릿 클럽]]의 멤버 [[애덤 콜]]과의 구분을 위한 것도 한몫한다.] || || '''별칭''' || '''[[카우보이|Cowboy]]'''[br] '''Anxious Millennial Cowboy'''[* [[https://encrypted-tbn0.gstatic.com/images?q=tbn:ANd9GcSs51WIZd4JEDXJ-ZHrc4RqiAOPJxBWm-1xJg&usqp=CAU|2020년 초 [[AEW 다이너마이트]] 에피소드의 한 자막]]에서 탄생한 별칭으로 그의 [[가면 증후군]] 캐릭터를 한줄 요약해주는 듯한 절묘함 덕에 닉네임으로 정착됐다.][br]'''Hangman'''[* [[교수형]] 집행인. 그를 상징하는 살벌한 별칭으로써, ROH 시절 이름만 붙여졌던 것이 불렛 클럽 가입 이후에는 올가미를 목에 걸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점차 기믹으로 발전했다. 다만 [[AEW]] 이적 후 올가미는 더 이상 착용하지 않고 카우보이 속성을 제외하면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부여한 행맨 기믹과도 멀어졌다.][br]The Hungman[br][[해결사|The Problem Solver]] of the [[불릿 클럽|Bullet Club]] || || '''생년월일''' || [[1991년]] [[7월 27일]] ([age(1991-07-27)]세) || || '''신장''' || 183cm (6' 0") || || '''체중''' || 97kg (213lbs) || || '''출생지''' || [[미국]] [[버지니아 주]] 핼리팩스 || || '''시그니처 무브'''[* 매 경기마다 1회 이상씩 중요한 순간이면 거의 반드시 나오는 주요 기술들이다.] || 디스커스 포어암 [br] 브릿징 데드리프트 펌프핸들 하프넬슨 [[수플렉스]] [br] [[파일드라이버|크래커 배럴]][* 크레이들 툼스톤 파일드라이버.] [br] 암 트랩 [[크로스페이스]] [br] [[문설트]] || || '''[[피니시 무브|{{{#9e862d 피니시 무브}}}]]''' || '''[[래리어트|벅샷 래리어트]]'''[* 에이프런에서 탑로프 위를 한바퀴 돌면서 뛰어넘어 링 안의 상대에게 시전하는 슬링샷 래리어트. 과거에는 '아담의 사과'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한동안 시그니처 무브 정도로 쓰이다가 [[AEW]] 이적 후 피니시 무브로 정착했다.][br]턴 더 페이지[* 암 트랩 리버스 STO, 즉 암트랩 [[플랫라이너]].][br]'''[[파일 드라이버(프로레슬링)#s-2.6|데드 아이]]'''[* 라이트 오브 패서지로도 불렸던 닐링 백 투 벨리 툼스톤 파일드라이버. 지금은 시그니처 무브로 더 자주 쓰인다.] || || '''경기 스타일'''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브롤러|브롤러]] 기반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라운더|올라운더]][* 애덤 페이지는 문설트를 기반으로한 하이 플라잉 무브들, 벅샷 래리어트등 브롤러의 이미지와 맞는 다양한 기술들, 경기 스타일상 많이 볼수는 없지만 힘이 필요한 기술들 또한 소화 가능한 모든 면이 평균점 이상인 육각형 레슬러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점으로 인해 행맨의 경기 스타일은 브롤링 기반 올라운더라고 할 수 있다.][* 경기에 따라서는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드코어|하드코어]] 스타일을 보이기도 한다.] || || '''주요 경력''' || AIWF 노스 아메리칸 태그 팀 챔피언 1회 [br] CWF 미드-아틀란틱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CWF 미드-아틀란틱 태그팀 챔피언 1회 [br] PWX 태그팀 챔피언 2회 [br] 레슬포스 태그팀 챔피언 1회 [br] [[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십|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 2회 [br] PWI 500인 선정 2015년 올해의 레슬러 190위 [br] PWI 500인 선정 2018년 올해의 레슬러 63위 [br] PWI 500인 선정 2022년 올해의 레슬러 4위 [br] [[올 엘리트 레슬링|AEW]] [[더블 오어 나씽 2019]] 카지노 [[배틀로얄]] 우승 [br] '''[[AEW 월드 챔피언십|AEW 월드 챔피언]] 1회''' [br] [[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 || '''테마곡''' || [[https://youtu.be/G5D_KKKFtug|EmoFarm]][* [[ROH]]에서 스테이블 '디케이드'로 활동하던 당시의 테마곡.][br][[https://youtu.be/7m8yEoFHGJw|Psychotic]][br][[https://youtu.be/LYMdDQWhRGE|Hangman]][*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의 첫 테마곡.][br][[https://youtu.be/_pxSTwfp6g4|Shot'Em]][* [[불릿 클럽]] 활동 당시의 테마곡. [[디 엘리트]]가 분가하면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2016~2018)[br]'''[[https://youtu.be/OM0ilkux9_M|Ghost Town Triumph]]'''[* 현재 사용중인 테마곡. [[올 엘리트 레슬링]]에서도 똑같이 사용하고 있다.](2018~)[br][[https://youtu.be/JZhjhSv3CnM|Hangman's Tale]][* Ghost Town Triumph를 어레인지한 곡. [[파이트 포 더 폴른 2021]]에서 [[https://youtu.be/MsfEiZ_IY2U|일회성으로 쓰였다.]]](2021)[br][[https://youtu.be/2a7VEFsIMSM|Ghost Riders In The Sky]][* [[레볼루션 2023]]에서 일회성으로 사용하였다.](2023) || || '''SNS''' || [[https://www.instagram.com/hangmanadampag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2> '''{{{#9e862d Ghost Town Triumph}}}''' || || [youtube(OM0ilkux9_M, width=100%, height=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page-900x480.jpg|width=100%]] >"Cowboy Shit!" >"I feel like you all still believe in me. And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I do too." [[미국]]의 [[올 엘리트 레슬링|AEW]] 소속 [[프로레슬러]]. 2008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해 2011년 [[ROH]]와 계약하였고 2016년에 [[불릿 클럽]]에 가입해 제휴단체인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출전하며 ROH를 이끌어갈 차세대 프랜차이즈 스타로 성장하며 큰 관심을 받았으나 2019년, 코디 로즈, 영 벅스와 함께 ROH와 결별하며 신생단체 [[올 엘리트 레슬링|AEW]]으로 이적하며 AEW의 탑페이스로 자리매김하였다.[* 초반엔 [[로만 레인즈]]처럼 팬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는 선역으로 전락할뻔 했으나 과거 엘리트 시절의 동료들과 갈등을 빚다가 다른 길을 가면서 좋은 경기력과 함께 팬들의 호응을 얻어 팬 페이보릿 스타로 자리매김에 성공했다.] == [[애덤 페이지/경력|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덤 페이지/경력)] == 사용 기술 == [[파일:데드아이.gif|width=400]] 시그니쳐 무브인 데드아이, 피폭자의 다리를 잡고, 상체를 등 뒤로 보낸뒤 무릎을 꿇어 [[파일 드라이버(프로레슬링)|파일 드라이버]]처럼 사용하는 [[수직낙하기]]이다. 시전자가 피폭자의 모습을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위험하게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파일:벅샷래리어트.gif|width=400]] 에이프런에서 스프링보드 형식으로 사용하는 벅샷 래리어트. 사용할수 있는 상황이 한정되어있지만 기습적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좋은 피니쉬 무브로 정착하게 되었다. == 기타 == * '교수형 집행인'에, 불릿 클럽의 해결사라는 Badass스러운 별칭을 가지고 있지만, 그의 커리어 전반적인 모습은 그늘에 가려진 2인자, 혹은 호쾌한 카우보이 캐릭터 이미지를 구축해온 경향이 더 짙다.[* 사실 그의 '행맨'이라는 별명은 교수형 집행저라기보다는 카우보이가 밧줄을 들고 다니다가 상대방의 목에 걸고 말에 타서 끌고 가는 것에 가깝다.] 2인자 컨셉은 불릿 클럽 내전과 [[https://youtu.be/19CKMaElXsk|G1 클라이맥스 28 PV]]에서 써먹기도 했으며, 이 컨셉은 [[AEW]]에서 더욱 발전해 [[디 엘리트]]와의 갈등과 자신의 불안감을 술로 달래는 캐릭터를 구축하였고, 해당 기믹은 관객들의 큰 공감을 자아내 현재 [[올 엘리트 레슬링]]의 탑 페이스에 가까운 지지를 얻고 있다.[* 일례로 행맨이 [[케니 오메가]]와 태그팀을 맺었던 당시 경기들을 보면 거의 항상 그가 핀폴을 따내며 승리를 견인했지만, 정작 [[디 엘리트]] 내에선 [[영 벅스]]와의 갈등과 알콜중독 증세로 인해 골칫거리 취급을 받았으며 본인조차도 자기 능력을 끊임없이 의심하는 증세를 보였다.] * 신일본 스토리라인과는 별도로 북미 무대, 특히 [[Being The Elite]]에서는 약을 빤 스토리라인의 주인공으로 여러 차례 활약했다. 2017년 하반기에는 [[WWE|수수께끼의 단체]]의 앞잡이에게 납치되어 [[시계태엽 오렌지|의자에 묶여 눈꺼풀이 ~~어린이용 반창고로~~고정된 상태에서 강제로 WWE를 시청하는]] [[https://youtu.be/Wpwu7MkHqzE?t=605|고초를 겪었다]]. * 흔히 말하는 인디씬 스타들간의 대립에 참여하는 경우가 잦다. "The Dick Wrestler" [[조이 라이언]]과 함께 이루어진 [[음경|그곳]]의 크기를 두고 이루어진 대립이나[* 이 대립은 [[ALL IN]]에서 조이 라이언과 이름이 같은 [[조이 자넬라]]를 상대하며 그 대단원을 맞았다.], 드래곤 게이트의 [[PAC]]을 상대로 진행했던 대립 등이 있다. 이 과정에서 다소 모자라거나 다른 멤버들에게 까이는 역할을 맡곤 했다. * [[올 엘리트 레슬링]]의 PPV 중 하나인 [[풀 기어]]의 명칭은 AEW 출범 즈음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03961&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pos=-2090677&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D%92%80+%EA%B8%B0%EC%96%B4&page=1|그와 PAC 간의 대립]]에서 유래된 것이다.[* 내용은 즉슨, 행맨이 디 엘리트 멤버들과의 저녁약속에서 [[풀 기어|링 기어를 전부 입은 레슬링복 차림]]으로 등장한 것이었다. [[PAC]]이 레슬링복 차림으로 기자회견장에 등장했을 때를 놓고 반문하는 행맨에게 근육질인 PAC과 다르게 행맨은 살이 쪘다고 디스를 당하는 것이 볼거리.] * [[https://www.amazon.com/Adam-Golden-Horseshoe-Elite-Team/dp/0999388622|동화책]]을 쓴 적이 있다. '애덤과 황금 편자'[* 원제는 'The Elite Team: Adam & Golden Horseshoe'.] 자신이 주인공으로, 디 엘리트 멤버들을 형상화한 동물들이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는 동화책. [[https://youtu.be/WGc_Je59fzc|행맨 본인이 직접 낭독을 하기도 했다]]. * 그를 상징하는 동물은 [[말(동물)|말]]. 타이탄트론에서도 말들이 달리는 애니메이션을 넣었고, [[https://twitter.com/theadampage/status/1073720353170644992|그의 디 엘리트 타셔츠]]에서도 말 얼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2019년 [[올 아웃 2019|올 아웃]]에서는 진짜로 말을 타고 등장했다. 이 말한테 '''Hunter Horse Hemsley'''[* 프로레슬러 트리플 H의 링네임 헌터 허스트 헴즐리의 패러디다.]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https://youtu.be/JzMV7FqH-bI|리허설을 하고 다니는 등]] 애착을 가지는 모습을 보여 넷상에서도 화제가 되었지만, 10월 28일 즈음 [[https://gall.dcinside.com/wwe/1766063|그 말이 세상을 떠났다고]]. * [[https://gall.dcinside.com/wwe/1761570|다소 곤란한 질문]]도 재치있게 대응하는가 하면, [[https://gall.dcinside.com/wwe/1722003|구글 맵스 로드뷰에 찍혔다]]고 이야기 푸는 등 트위터의 질의응답과 팬서비스, 유머감각이 매우 좋다. * [[프로레슬링 갤러리]]에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097174|행맨 페이지 일대기]]란 제목의 그의 AEW 커리어를 다루는 연재물이 올라오는 중이다. [[파일:올해 한경기도 못이김.jpg|width=500]] [* 이름 위에 있는 문구가 소개문이다. 번역하자면 올해 한경기도 못이김][* 참고로 저 소개문은 2022년 1월 6일에 적힌 글이다 (...)] * [[https://mobile.twitter.com/adampages|등장할때마다 소개문이 바뀐다.]] 그런데 그 소개문들의 상태가 대부분 행맨을 놀려먹는 글들이기 때문에 (...) 등장시 나오는 소개문들을 보는 재미가 있다. == 둘러보기 == ||<-5>
[[카지노 배틀로얄|[[파일:Casino Battle Royal 2019.jpg|width=300]]]] || ||<-5> '''2019년 AEW [[더블 오어 나씽 2019|더블 오어 나씽]] [[카지노 배틀로얄]] 우승자''' || || 창설 || → || '''"행맨" 애덤 페이지''' || → || [[나일라 로즈]] || ||<-5>
[[파일:FAf0DvFWYAEdnPR.jpg|width=300]] || ||<-5> '''2021년 AEW 다이너마이트 카지노 래더 매치 우승자''' || || 창설 || → || '''"행맨" 애덤 페이지''' || → || [[MJF]] || ||<-2>
[[올 아웃|[[파일:aewalloutlogo.jpg|width=300]]]] || ||<-2> '''{{{#white 역대 올 아웃 메인 이벤트}}}'''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19년'''[br]8월 31일 || [[AEW 월드 챔피언십]][br]__[[크리스 제리코]]__ vs '''"행맨" 애덤 페이지''' || ||<-4>
[[더블 오어 나씽|[[파일:aewboubleornothinglogo.jpg|width=300]]]] || ||<-4> '''{{{#white 역대 더블 오어 나씽 메인 이벤트}}}''' [*★] || ||<|2> '''2020년'''[br]5월 23일 ||<-3> 스타디움 스탬피드 매치 || || [[이너 서클(프로레슬링)|이너 서클]][* 피핀폴자는 [[새미 게바라]]] || vs || '''__[[디 엘리트]]__'''[* 핀폴자는 [[케니 오메가]]] & __[[맷 하디]]__ || || '''2022년'''[br]5월 29일 ||<-3> [[AEW 월드 챔피언십]][br]'''"행맨" 애덤 페이지'''(C) vs __[[CM 펑크]]__ || || '''2023년'''[br]5월 28일 ||<-3> 아나키 인 더 아레나 매치[br]___[[블랙풀 컴뱃 클럽]]___[* 핀폴자는 [[휠러 유타]]] vs '''디 엘리트[* 피핀폴자는 [[케니 오메가]]]''' || ||<-2>
[[풀 기어|[[파일:aew_fullgear_logo.png|width=300]]]] || ||<-2> '''{{{#white 역대 풀 기어 메인 이벤트}}}''' [*★] || || '''2021년'''[br]11월 13일 || [[AEW 월드 챔피언십]][br][[케니 오메가]](C) vs '''__"행맨" 애덤 페이지__''' || ||<-2>
[[AEW 레볼루션|[[파일:aew_revolution_logo.png|width=300]]]] || ||<-2> '''{{{#white 역대 레볼루션 메인 이벤트}}}'''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2년'''[br]3월 6일 || [[AEW 월드 챔피언십]][br]__'''"행맨" 애덤 페이지'''__(C) vs [[애덤 콜]] || [include(틀:불릿 클럽)] [include(틀:THE ELITE)] [include(틀:다크 오더)] ||<-5>
[[파일:01-roh-logo-2020_0.jpg|width=70]] {{{#ffffff '''ROH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신인'''}}} || || 창설 || {{{+1 → }}} || '''{{{#000000 애덤 페이지[br](2017)}}}''' || {{{+1 → }}} || [[플립 고든]][br](2018) || ||<-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가장 기량이 발전한 선수'''}}} || || [[브론 스트로우먼]][br](2017) || {{{+1 → }}} || '''{{{#000000 애덤 페이지[br](2018)}}}''' || {{{+1 → }}} || [[랜스 아처]][br](2019) || ||<-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대립'''}}} || || [[존 목슬리]] vs [[에디 킹스턴]][br](2020) || {{{+1 → }}} ||<#ffffa1><:> '''{{{#000000 [[케니 오메가|{{{#000000 케니 오메가}}}]] vs 애덤 페이지[br](2021)}}}''' || {{{+1 → }}} ||<:> [[FTR(프로레슬링)|FTR]] vs [[더 브리스코즈]][br](2022) || ||<-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최고의 레슬링 피니셔'''}}} || || [[케니 오메가]][br]외날개의 천사[br](2020) || {{{+1 → }}} || '''{{{#000000 애덤 페이지[br]벅샷 래리어트[br](2021)}}}''' || {{{+1 → }}} || [[윌 오스프레이]][br]히든 블레이드[br](2022) || ||||||||||
<:><#000000> [[파일:All_Elite_Wrestling_Logo.jpg|width=70]] {{{#FFFFFF '''[[AEW 어워즈/2021|{{{#FFFFFF 어워즈}}}]] 최고의 린치'''}}}|| ||<:><#fff>{{{#000000 [[제리코 어프리시에이션 소사이어티|이너 서클]] [br] (2020)}}}|| {{{+1 → }}} ||<#FFFFA1><:>'''{{{#000000 애덤 페이지 [br] [[브라이언 대니얼슨|{{{#000000 브라이언 대니얼슨}}}]][br](2021)}}}'''|| {{{+1 → }}} ||<:><#fff>{{{#000000 -[br](2022)}}}|| ||<-4>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0년'''[br]2월 29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레볼루션 2020|레볼루션]] || [[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영 벅스]] (닉 잭슨 & 맷 잭슨(X)) vs ___[[케니 오메가]]___(C) & '''___"행맨" 애덤 페이지___'''(C)(O) || {{{#ffd700 ******}}}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1년'''[br]12월 15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EW 다이너마이트]] [[윈터 이즈 커밍 2021|윈터 이즈 커밍]] || [[AEW 월드 챔피언십]][* 시간 초과 무승부][br] [[브라이언 대니얼슨]] vs '''"행맨" 애덤 페이지'''(C) || || '''2023년'''[br]3월 5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EW 레볼루션 2023|레볼루션]] || 텍사스 데스 매치[br][[존 목슬리]] vs ___'''"행맨" 애덤 페이지'''___ || || '''2023년''' [br] 5월 28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EW 더블 오어 나씽 2023|더블 오어 나씽]] || 아나키 인 더 아레나 매치[br] ___[[블랙풀 컴뱃 클럽]]___ (___[[존 목슬리]]___ & ___[[브라이언 대니얼슨]]___ & ___[[휠러 유타]]___(O) & ___[[클라우디오 카스타뇰리]]___) [br] vs [br] [[디 엘리트|THE ELITE]] ([[케니 오메가]](X) & [[영 벅스]] (닉 잭슨 & 맷 잭슨) & '''"행맨" 애덤 페이지''') || || '''2023년''' [br] 11월 18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EW 풀 기어 2023|풀 기어]] || 텍사스 데스 매치[br] ___[[스워브 스트릭랜드]]___ vs '''"행맨" 애덤 페이지'''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5성 경기''' [*★]}}} || || '''2021년'''[br]11월 13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풀 기어 2021|풀 기어]] || [[AEW 월드 챔피언십]][br] [[케니 오메가]](C) vs '''__"행맨" 애덤 페이지__'''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6성 경기''' [*★]}}} || || '''2020년'''[br]2월 29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레볼루션 2020|레볼루션]] || [[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영 벅스]] (닉 잭슨 & 맷 잭슨(X)) vs __[[케니 오메가]]__(C) & '''__"행맨" 애덤 페이지__'''(C)(O) || ||<-3>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0년'''[br]2월 29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레볼루션 2020|레볼루션]] || [[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영 벅스]] (닉 잭슨 & 맷 잭슨(X)) vs __[[케니 오메가]]__(C) & '''__"행맨" 애덤 페이지__'''(C)(O) || ||<-5>
{{{#ffffff '''보이세스 오브 레슬링.com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0년'''[br]2월 29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레볼루션 2020|레볼루션]] || [[AE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영 벅스]] (닉 잭슨 & 맷 잭슨(X)) vs __[[케니 오메가]]__(C) & '''__"행맨" 애덤 페이지__'''(C)(O)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핼리팩스 카운티(버지니아) 출신 인물]][[분류:2008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