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분류: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3년]]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애캐토 로고.png |width=500]]}}} || || '''투표 기간''' || [[2023년]] 11월 27일 ~ [[2023년]] 12월 26일 || || '''참가 작품 및 캐릭터''' || 2023년 1~4분기 [[애니플러스]] 방영작[br]+ [[애니플러스]] 개봉 극장판 총 '''129작품 1577명''' || || '''무료 개방 VOD''' || - || ||<-2> [[https://www.aniplustv.com/event/324|애캐토 2023 공식 홈페이지]] || [include(틀:2023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TOP 10)] [목차] == 개요 == 2023년에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한 신작들과 극장판 개봉작, 특별편을 대상으로 한 제11회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전개 == === [[/예선|예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3년/예선)] === [[/본선|본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3년/본선)] === 최종 순위 === == 전망 및 경과 == 작년 말부터 시작된 경쟁형 [[인기투표]]계의 연달은 대붕괴[* 사실 [[모에 토너먼트/연표#s-7.3|이 항목]]에서 볼 수 있듯, 모토계 내외적인 사고의 규모와 그 수를 볼 때 '''22년 상반기부터''' [[하인리히의 법칙|전례없이 작살날 낌새]]가 나타났었다.]는, 과연 애캐토도 피해갈 수 있을지 의문을 자아낼 정도로 크게 번지고 있다. 그래서 이미 작년에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2년#s-5|크나큰 홍역]]을 치렀던 애캐토에게 이번 대회의 원활한 진행은 향후 대회의 존폐를 결정지을 만큼 중요하다고 여겨졌다. 한편, 운영진은 작년의 폐해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실시간 순위 및 댓글창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그 배경에는 작품당 3표를 주는 1차 예선에서 '''1000표를 넘게 득표한 작품이 고작 넷 뿐'''이라는 처참한 민낯이 반영된 것으로[* 당연하게도 1600표 이상의 득표는 나오지 않았다. 참고로 이 투표는 2일간 진행되어 인당 2번 투표가 가능하다. 즉, 실제 애캐토 2023에 참여하는 투표자 수가 보수적으로 봐도 '''꼴랑 300명대''' 언저리일 가능성이 높단 얘기이다.], 이미 어떤 부작용을 감수하더라도 투표자를 더 모아야 하는 현실을 애캐토가 마주했기 때문. 2차 예선 역시 매우 낮은 득표율을 보여주며, 역대 최악의 흥행을 보여줄 것은 거의 확정적. === 1분기 === 숫적으로는 부족하지만 한명 한명의 경쟁력은 그럭저럭 있어서 소수정예 분기로 통한다. 특히 '''[[시이나 마히루]]'''는 최근 [[코노라노]] 여성부 3연패를 기록하는 등 그 밸류로는 어지간한 우승후보와의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오빠는 끝!/애니메이션|오빠는 끝!]] - [[오야마 마히로]], [[오야마 미하리]] * [[옆집 천사님 때문에 어느샌가 인간적으로 타락한 사연(애니메이션 1기)|옆집 천사님 때문에 어느샌가 인간적으로 타락한 사연]] - '''[[시이나 마히루]]''' *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Ⅳ]] - [[헤스티아(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헤스티아]] * [[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애니메이션|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 - [[유필리아 마젠타]] === 2분기 === 최강의 에이스 '''[[호시노 아이]]'''를 필두로 한 [[【최애의 아이】(애니메이션 1기)|【최애의 아이】]], 그리고 [[야마다 안나(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야마다 안나]], [[유자키 츠카사]]까지 있어 이번 애캐토 최강의 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최애의 아이】(애니메이션 1기)|【최애의 아이】]] - '''[[호시노 아이]]''', [[호시노 루비]], [[아리마 카나]] * [[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애니메이션 1기)|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 [[야마다 안나(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야마다 안나]] * [[어쨌든 귀여워(애니메이션 2기)|어쨌든 귀여워 시즌 2]] - [[유자키 츠카사]] === 3분기 === 적은 편은 아니지만 이렇다 할 우승후보가 없어 작년 4분기보다 더 불리한 이번 애캐토 최약체 분기로 분류되고 있다. 전체 분기 중 유일하게 2명 이상 생존한 작품이 없으며, 실제로 호리, 요하네, 라이자, 세실리아 딱 4명만이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현실적으로 TOP 10은 배출하기 어려운 상황. *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애니메이션|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 - [[요하네(환일의 요하네)|요하네]] * [[라이자의 아틀리에 ~어둠의 여왕과 비밀의 은신처~/애니메이션|라이자의 아틀리에 ~어둠의 여왕과 비밀의 은신처~]] - [[라이잘린 슈타우트]] * [[백성녀와 흑목사/애니메이션|백성녀와 흑목사]] - [[세실리아(백성녀와 흑목사)|세실리아]] * [[호리미야 -piece-]] - [[호리 쿄코]] === 4분기 === 작년 애캐토 논란의 주범이었던 스파패가 돌아왔다. '''[[요르 포저]]'''가 소동의 주범이라는 오명을 얼마나 씻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인데 동분기 또 한명의 슈퍼에이스 '''[[프리렌]]'''이 있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2분기 못지 않은 다크호스 분기로 꼽힌다. *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2기)|SPY×FAMILY Season 2]] - '''[[아냐 포저]]''', '''[[요르 포저]]''', [[로이드 포저]] * [[장송의 프리렌/애니메이션|장송의 프리렌]] - '''[[프리렌]]''', [[페른]] * [[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애니메이션|너를 너무너무너무너무 좋아하는 100명의 그녀]] - [[하나조노 하카리]]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3기)|우마무스메 PRETTY DERBY 3]] -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키타산 블랙]],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 === 극장, 특별편 === 2019년 디펜딩 챔피언 [[사쿠라지마 마이]]가 4년만에 복귀하고 나카노 가 다섯 쌍둥이의 진짜 라스트 댄스가 어떻게 펼쳐질 지가 관건.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콜레우스의 꿈]] - [[리무루 템페스트]] * [[5등분의 신부 ∽]] - '''[[나카노 미쿠]]''', '''[[나카노 니노]]''', [[나카노 이츠키]] * [[청춘 돼지는 외출하는 여동생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청춘 돼지는 외출하는 여동생의 꿈을 꾸지 않는다]] - '''[[사쿠라지마 마이]]''', [[아즈사가와 카에데]] === 최종 결과 === == 반응 == === 작품별 === * [[【최애의 아이】(애니메이션 1기)|【최애의 아이】]] vs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2기)|스파이 패밀리 Season 2]] vs [[장송의 프리렌/애니메이션|장송의 프리렌]] 2023년 애캐토 빅3. 최애의 아이는 단연 이번 애캐토 최강진영으로 [[마녀의 여행/애니메이션|마녀의 여행]]의 [[일레이나]] 이후 3년만에 로열로더를 노리고 예선부터 막강화력을 뽐내고있다. 2년차를 맞은 스파팸도 2기 방영 버프를 받고 여전한 기세를 이어가고있으며, 연말 장안의 화제작 장송의 프리렌도 프리렌과 페른이 무난히 본선에 올라 경쟁을 펼치고있다. ---- * [[5등분의 신부 ∽]] 극장판 이후에 특별편이 방영되면서 1번 더 출장의 기회를 잡게되었다. 우승은 어려울 지라도 극장판 이상의 유종의 미를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희망의 힘 ~어른 프리큐어'23~]] 2013년 애캐토가 처음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프리큐어 시리즈]]가 참전하게 되었다. [[프리큐어 시리즈]]는 그 동안 [[대원방송]]에서 한국 방영을 해왔고,이 중 작품의 전작이라 할 수 있는 [[프리큐어 Splash Star]]와 [[Yes! 프리큐어 5]] 및 [[Yes! 프리큐어 5 GoGo!]]는 각각 2008년과 2009년, 2010년에 모두 [[대원방송]]에서 한국어 더빙으로 방영하였다. 대원에서 판권을 가지고 있어서 작년까지 애캐토에는 참가할 수 없었으나, 이번 어른 프리큐어가 애니플러스에서 방영이 되면서 처음으로 애캐토에 나오게 되었다. 비록 세월의 흐름에 밀려 캐릭터 전원이 본선에 밟지못했으나, 참전 자체에는 시사점이 있다. ----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애니메이션|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애니메이션|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니지욘 애니메이션]],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NEXT SKY]], [[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애니메이션|환일의 요하네 -SUNSHINE in the MIRROR-]] 애캐토 최전성기였던 15년에 결승까지 @럽 대전을 일으켰던 아이돌물 양대 산맥이었으나 역시 세월의 흐름을 이기지못하고 2차 예선에서 대다수 몰살되었다. [[신데렐라 걸즈 극장]] 이후 아이마스는 4년만에 애캐토에 참가했으며 U149, 밀리애니가 모두 수작으로 호평받았음에도 애캐토에서 힘을 쓰지못하고 모두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러브 라이브는 니지동이 니지욘과 OVA로 중복 출전했음에도 전년도보다 더욱 약해지면서 2년 연속 2차 예선에서 전멸, 그나마 선샤인의 스핀오프로 사실상 [[러브 라이브! 선샤인!! 더 스쿨 아이돌 무비 오버 더 레인보우|물장판]] 이후 4년만에 돌아온 선샤인에서 환일의 요하네의 주인공 요하네가 본선에 진출해 러브 라이브의 최소 1명 본선 진출 징크스는 이어나갔다. ---- * [[BanG Dream! It's MyGO!!!!!]] 뱅드림 역시 전성기였던 19~21년 대비 인기가 시들어지면서 2년 연속 2차 예선에서 전멸했다.[* 2021년 우승자 [[미나토 유키나]]조차도 2022년에는 2차 예선 광탈했고, 신규 밴드에 대한 팬들의 시선도 아직은 그렇게 좋다고 볼 수가 없는 상황이며, 결정적으로 [[한도리]]도 2024년 1월 31일에 서비스 종료한다. 2021년 대회 때의 홍역 때문에 대다수 뱅드림 팬들은 애캐토에 학을 떼어버려서 한도리 섭종 고별표+MyGO의 작품성 호평 보정를 받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3기)|우마무스메 PRETTY DERBY 3]] 재작년 2기에서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이 본선 진출한 데 이어 이번 3기에서도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키타산 블랙]],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가 진출해 저력을 이어나가고있다. ---- *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 작품 자체는 최고의 피날레로 끝났음에도 애캐토와 끝까지 인연이 없었기에 2차 예선 전멸로 마지막 무대에서 쓸쓸히 퇴장했다. === 캐릭터별 === * [[호시노 아이]]([[【최애의 아이】(애니메이션 1기)|【최애의 아이】]]) 이번 애캐토의 핫 캐릭터이자 강력한 우승후보. 예선전에서 득표 1위를 차지하며 무난히 본선에 진출했다. 우승한다면 여러 기록들을 달성하기에[*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14년|2014년]] [[사쿠라 치요]]([[월간 순정 노자키군/애니메이션|월간 순정 노자키군]]) 이후 9년만에 [[동화공방]] 작품 V2, 애캐토 최초 2분기 애니메이션 방영작 우승, [[타카하시 리에]] 성우 최초 애캐토 우승,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0년|2020년]] [[일레이나]]([[마녀의 여행/애니메이션|마녀의 여행]]) 이후 3년만에 나온 8번째 [[로열로더]].] 여러모로 향방이 주목된다. * [[요르 포저]]([[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2기)|스파이 패밀리 Season 2]]) 요르는 전년도에 [[캬루]]에게 불의의 일격을 받고 8강에서 탈락했던 아픔을 씻고 이번 2기는 자신이 주인공이라는 것을 증명하듯[* 실제로 2기 크루즈편은 요르가 주인공으로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 아냐를 밀어내고 진영 내 득표 1위를 달리고 전체 캐릭터 득표 2위로 전술한 호시노 아이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 부상했다. * [[프리렌]]([[장송의 프리렌/애니메이션|장송의 프리렌]]) 4분기의 여성이자 그녀 역시 호시노 아이 못지않은 다크호스로 꼽힌다. == 기타 == * 2023년에 분할 시즌작들이 많다보니 중복 출연하는 작품 및 캐릭터들이 적지않다. 1분기와 3분기 분할 2쿨로 방영된 [[모노노가타리/애니메이션|모노노가타리]], 2분기에 [[어쨌든 귀여워(애니메이션 2기)|2기]]와 3분기 [[어쨌든 귀여워 여고편|여고편]]이 방영된 어쨌든 귀여워, [[니지욘 애니메이션]]과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NEXT SKY|OVA]]가 따로 나오는 럽라 니지동, [[극장판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홍련의 인연편|극장판 홍련의 인연편]]과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콜레우스의 꿈|특별편 콜레우스의 꿈]]이 나온 전슬라가 대표적. 그나마 [[문호 스트레이독스/애니메이션|문스독]]은 [[문호 스트레이독스(애니메이션 4기)|4기]]와 [[문호 스트레이독스(애니메이션 5기)|5기]]가 분할 방영되었지만 5기로 통합했다. * [[애니플러스]]가 [[애니맥스 코리아]]를 인수한 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애캐토지만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 작품 및 캐릭터는 참가하지 않는다.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 등이 참가하지 않는 게 아쉬운 편. * 주술회전은 [[주술회전(애니메이션 1기)|1기]]가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했기에 애캐토에 참가했지만 2023년 3분기에 나온 [[주술회전(애니메이션 2기)|2기]]는 [[대원방송]]이 판권을 가져가고 방영하게 되었기에 이번 애캐토에서는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반대로 원래 [[대원방송]]에서 방영했던 [[프리큐어 시리즈]]인 어른 프리큐어가 참가하면서 [[등가교환]]으로 간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