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앙골라군)] ||<-2> '''{{{+2 {{{#ffcd00 앙골라군}}}}}}[br]Forças Armadas Angolanas[br]FAA''' || ||<-2> [[파일:faa.png |width=45%]]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앙골라)] || || '''소속''' ||앙골라 국방부 || || '''[[통수권자|{{{#fff 통수권자}}}]]''' ||[[주앙 마누엘 곤살베스 로렌수 ]] {{{-2 ([[앙골라 대통령]])}}} || || '''국방부 장관''' ||주앙 에르네스토 두스산투스 {{{-2 ([[앙골라]] [[국방장관]])}}} || || '''참모총장''' ||[[미합중국 육군|육군]] [[대장(계급)|대장]] 안토니우 에지디우 지 수자 산투스 {{{-2 ([[앙골라]] [[국방참모총장]])}}} || || '''상비군''' ||107,000명 {{{-2 (2021년 기준)}}}[* "The Military Balance 2021. London: Routledge."] || || '''병역제도''' ||[[징병제]]^^(24개월 의무복무)^^ || ||<-2> '''육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전차|{{{#fff 전차}}}]] ||300+대 || || [[장갑차|{{{#fff 장갑차}}}]][br]{{{-2 (APCs/IFVs)}}} ||1200+대 || || [[견인포|{{{#fff 견인포}}}]] ||550+문 || || [[자주포|{{{#fff 자주포}}}]] ||38문[* 자주대공포 10대] || || [[다연장로켓|{{{#fff 다연장로켓}}}]] ||115대 || || [[대공미사일|{{{#fff 대공미사일}}}]] ||122문 || || 수송 차량 ||2785+[* 폴란드제 Star 266 제외 보유수량 추정불가]대 ||}}}}}}}}} || ||<-2> '''해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fff '''해군 전투함 총합'''}}} ||60척 || ||<-2> '''전투함''' || || 초계함 ||(+3척)[* BR71 MKII 915톤 (총 3척 건조중)] || || 미사일 고속정 ||6척[* [[오사급|오사급 II]] 만재 235톤] || || 어뢰정 ||6척[* [[셰르셴급 어뢰정|셰르셴급]] 만재 172톤] || || 경비정 ||27척[* [[쥬크급 고속정|쥬크급]] 표준 39톤 2척, 아르고스급 3척, PVC-170 5척, 베야트릭스급 5척, 만두메급 4척,나마쿠라급 2척, ] || || 기뢰함 ||2척[* [[예브게냐급 소해함 |예브게급]] 만재 96톤] || ||<-2> '''다목적함''' || || 상륙함 ||16척[* [[폴로치니급 상륙|폴로치니급]] 만재 834톤 4척, LCT 1척, LDM-400 9~10척, 알팡게급 1] ||}}}}}}}}} || ||<-2> '''공군력'''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4세대 / 4.5세대 전투기|{{{#fff 4세대 / 4.5세대 전투기}}}]] ||13기 || || [[3세대 전투기|{{{#fff 3세대 전투기}}}]] ||22기 || || [[2세대 전투기|{{{#fff 2세대 전투기}}}]] ||37기 || || [[공격기|{{{#fff 공격기}}}]] ||18기 || || [[수송기|{{{#fff 수송기}}}]] ||35기 || || [[헬리콥터|{{{#fff 헬리콥터}}}]] ||117기 || || [[훈련기|{{{#fff 훈련기}}}]] ||43기 ||}}}}}}}}} || ||<-2> '''예산''' || || '''[[국방비|{{{#fff 국방비}}}]]''' ||70억 달러 {{{-2 (2021년 기준)}}} || ||<-2><#CC092F> [[https://faa.a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앙골라군 (포르투갈어:Forças Armadas Angolanas), 또는 FAA는 기니만 일대에 위치한 [[중앙아프리카]]의 국가 [[앙골라]]의 정부군이다. [[육군]], [[공군]], [[해군]] 3개의 군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고 통수권자는 [[국가원수]]인 [[앙골라 대통령]]이며 참모총장이 직접적인 통제권을 지니며 참모총장이 국방장관에게 보고하는 방식이다. == 상세 == 총병력 107,000명[* 육군 100,000명, 해군 1,000명, 공군 6,000명]으로 구성된 아프리카 6위의 규모를 지닌 군대이며 인구가 4천만명도 되지 않는 점, 1-5위를 차지하는 국가들의 인구가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인종분리로 인한 인력 부족으로 국산 군사장비 개발에 골몰했고 잘 발달시킨 나라다. 인당 경제력 역시 19세기부터 지속된 인프라 구축 덕분에 아프리카 최상위권이다.], [[알제리]][* 전통적으로 비옥한 해안지대와 높은 자원 매장량과 이를 유럽에 공급하며 창출한 부가 큰 나라이다.]를 제외하면 1억을 훌쩍 넘긴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국가의 체급과 2002년에 내전이 끝났다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꽤나 강력한 나라이다.[* 이런 특성 덕에 냉전기에는 남아공이 앙골라군을 주적으로 설정했을 정도였다.] [[Global Firepower|GFP]] 기준[*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많지만 적어도 비대칭무기 미보유국가들의 재래식 전력을 비교하기에는 좋은 지표이다.] 세계 55위의 군사력을 가지고 있으며 북아프리카 군사강국 중 하나인 [[모로코]], 러시아의 지원으로 상당한 규모의 육/공군을 가진 [[벨라루스]], 그리고 발칸의 중견국 [[세르비아]]보다 높은 순위이다. 또한 500대가 넘는 전차를 운용중이며 기갑전력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구식 장비인 [[T-55|T-55AM]]역시 유지보수와 관리가 잘 되고 있다. 공군전력 역시 [[Su-30]]를 13대 운용중으로 접경국 중에서는 이에 필적할 전력을 지닌 국가가 전무하며 대량의 석유/지하자원에서 나온 경제력을 바탕으로 현재 1,000명의 규모밖에 되지 않는 해군 역시 스텔스 초계함인 [[바이누나급 초계함]] 3척을 [[아랍에미리트|UAE]]에 발주한 상태이다. 이 외에도 중국으로부터 신형 장갑차인 [[90/92식 장갑차|WMA301]]를 구입, 러시아로부터 개량형 [[Mi-24|Mi-24P]]를 구입하는 등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장시키는 중이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앙골라 내전 )] 현 앙골라의 집권당인 [[앙골라 해방인민운동|인민해방운동]](MPLA)의 전신인 앙골라 인민해방군(FAPLA) 이끌던 국가인 [[앙골라 인민공화국]]군의 후신으로, 내전끝에 현재 앙골라군으로 기존의 내전을 벌이던 [[MPLA|집단]][[UNITA|이]] 겨우 통합되어서 나온 조직이다. FAPLA는 포르투갈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난 지 몇 달 뒤인 1974년 8월 1일 MPLA의 앙골라의 독립 주장과 함께 전신인 EPLA를 이어 창군되었다. 인민해방군은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 이후 완전독립민족동맹(UNITA)과 앙골라 민족 해방 전선(FNLA) 연합에 맞서 내전을 겪게 되고, 1992년 대선에 앞서 MPLA와 UNITA 간의 휴전과 앙골라 공화국의 건국을 인정하는 비세 협정이 체결되면서 형식적으로 FAPLA와 UNITA의 통합이 진행되는 듯 했으나, [[UNITA]] 지도자 [[조나스 사빔비]]의 MPLA에 대한 불신으로 인한 부정선거 의혹으로 인해 UNITA는 내전을 지속하였고 내전은 결국 사빔비가 전사하는 2002년까지 지속되었다. 앙골라군 자체는 1992년 전인 1991년에 공식적으로 창군되었으며 앞서 말한 비세 협정에서 이를 공식화한다. == 구성 == === 육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앙골라 육군)] ===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앙골라 해군)] === 공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앙골라 공군)] == 관련 문서 == * 편제 * [[https://pt.wikipedia.org/wiki/Ex%C3%A9rcito_Angolano#Organiza%C3%A7%C3%A3o|육군]] * [[https://en.wikipedia.org/wiki/Angolan_Navy#Structure|해군(영어판)]], [[https://pt.wikipedia.org/wiki/Marinha_de_Guerra_Angolana#Estrutura|해군(포르투갈어판)]]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Air_Force_of_Angola#Structure|공군]] == 둘러보기 == [include(틀:앙골라 관련 문서)] [include(틀:세계의 군대)] [[분류:앙골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