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9년 개교]][[분류:공립학교]][[분류:전라남도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남도 신안군의 초등학교)] ||<-2> '''{{{#fff {{{+1 압해동초등학교}}}[br]押海東初等學校[br]Aphae Dong Elementary School}}}'''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압해동초등학교, 너비=100%)]}}}|| || '''개교''' ||1939년 05월 30일 압해공립심상소학교|| || '''유형''' ||단설 초등학교|| || '''성별''' ||남녀공학|| || '''형태''' ||공립|| || '''교장''' ||이봉선|| || '''교화''' ||동백꽃|| || '''교목''' ||향나무|| || '''교조''' ||비둘기|| || '''학생 수''' ||37명[*기준 2023년]|| || '''교직원 수''' ||13명[*기준]|| || '''관할 교육청''' ||[[전라남도신안교육지원청]]|| || '''주소'''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압해로 378-6|| || '''홈페이지''' ||[[http://aphaedong.es.jne.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 == 학교 연혁 == || 1939년 ||05월 30일 압해공립심상소학교 개교|| || 1956년 ||05월 10일 가란분교장 개교|| || 1982년 ||03월 01일 병설유치원 개원|| || 1996년 ||03월 01일 압해동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 2008년 ||09월 01일 가란분교장 폐교|| || 2014년 ||03월 01일 도지정 전남혁신학교 지정[br]동월 동일 도지정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학교 운영|| || 2020년 ||03월 01일 도지정 친환경생태학교(Eco-school) 지정|| || 2021년 ||09월 01일 28대 이봉선 교장 부임|| || 2022년 ||02월 11일 81회 3명 졸업(총 졸업생수 4,272명)[br]02월 28일 전남혁신학교 운영 종료[br]03월 01일 신안자율혁신학교 지정(1/2)[br]동월 동일 친환경 생태학교 운영[br]동월 동일 동트리마을학교 방과후 및 돌봄교실 운영|| || 2023년 ||01월 05일 82회 11명 졸업(총 졸업생수 4,283명)[br]01월 26일 압해동초등학교 학교돌봄터 설치 협약||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aphaedong.es.jne.kr/|압해동초등학교 홈페이지]] === 교화 === [[동백꽃]]을 교화로 삼고 있다. 차나무목 차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상록소교목이다. 우리나라 울릉도와 남·서 해안 산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60937|동백나무]]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압해동초교 재학생의 「불굴의 인내」를 가리킨다. === 교목 === [[향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서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암석 지역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강원도 삼척·영월 및 경상북도 울릉도·의성 등에 자생하며, 미얀마·러시아 동남부·일본·중국 등에 분포한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59987|향나무]]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압해동초교 재학생의 「고고함」을 가리킨다. === [[교조#s-2]] === [[비둘기]]를 교조로 삼고 있다.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는 조류로서 깃털의 색깔은 매우 다양하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94875|집비둘기]]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압해동초교 재학생의 「평화와 사랑」을 가리킨다. === 교육목표 === || 교육 목표 || ||       1. 주도적 학습으로 배움이 즐거운 어린이[br]       2. 존중과 협력으로 따뜻한 관계를 맺어가는 어린이[br]       3. 생태 문화예술적 감성으로 자기 빛깔을 찾는 어린이|| ||<-2> 교육 중점 || ||<^|1> 기초·기본 학력 다지기[br]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 ||'''인지적 측면'''[br]■ 지식정보처리 역량[br]■ 창의적 사고 역량|| ||<^|1> 자율과 참여의 자치활동 활성화[br]어울림 공동체 더불어 살아가기 교육 ||'''사회적 측면'''[br]■ 협력적 소통 역량[br]■ 공동체 역량|| ||<^|1> 생태 시민성 함양 교육 강화[br]자기 빛깔 꿈 키우기 교육 ||'''자기계발 측면'''[br]■ 자기관리 역량[br]■ 심미적 감성 역량|| || 특색교육 및 역점활동 || ||<#f6eee1> '''자연과 마을을 담은 작은 학교 희망 찾기 교육''' || ||      ○ 생명을 속삭이며 평화와 공존하는 생태전환 교육 전개[br]      ○ 자율적 참여의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2> 구성원상 || ||<#f6eee1> 학교상 ||소통·공감·존중·협력으로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 ||<#f6eee1> 학생상 ||꿈을 갖고 배움을 즐기며 제 빛깔의 삶을 스스로 가꾸는 '''학생'''|| ||<#f6eee1> 교사상 ||학생을 온전히 존중하고 열성과 집단지성 발휘로 함께 성장하는 '''교사'''|| ||<#f6eee1> 학부모상 ||함께하는 배움과 주체적 참여로 모든 아이를 함께 돌보는 '''학부모'''|| === 교가 === >사드레산 봉우리 퍼지는 햇살 >이어받은 보람이 저렇게 맑아 >우리는 파란 싹 꽃으로 핀다. >높은 산의 무게는 우리 몸가짐 >넓은 바다 깊이는 우리 맘씨 >거룩하다 우리 학교 압해동학교 >---- >압해동초등학교 교가, 작사·작곡 김병민[* [[http://aphaedong.es.jne.kr/|압해동초등학교]] 학교안내; 학교연혁 및 상징] == 학교 시설 == || 교수학습공간 ||일반교실 8실[br]특별교실 1실|| || 학습지원공간 ||컴퓨터실 1실|| || 교원지원공간 ||1실|| || 관리행정공간 ||8실|| || 체육집회공간 ||2실|| || 보건위생공간 ||보건실 1실[br]남자화장실 3실[br]여자화장실 3실[br]공용화장실 1실|| || 학생식당 ||1실|| || 기타공간 ||5실|| == 학교 생활 == === 학교 일과 === ||<-3> 2023학년도 수업일수 및 수업시수 현황,,,(단위:일,명),,, || ||<|6> 수업일수 || 1학년 || 191 || || 2학년 || 191 || || 3학년 || 191 || || 4학년 || 191 || || 5학년 || 191 || || 6학년 || 191 || ||<-2> 주당 수업시수 || 160 || ||<-2> 수업교원수 || 9 || ||<-2> 주당 평균 수업시수(교사 1인당) || 17.8 || ||<-4> 2023학년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단위:개,명),,, || || 구분 || 교과 || 특기적성 || 계 || || 프로그램 수 || 0 || 1 || 1 || || 수강학생 수 || 0 || 17 || 17 || ||<-3> 참여학생 수 || 17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4>압해동교[br](하장천 방향)[br](신안군의회 방향)||[[목포, 신안 버스 130|130]]||삼학도차고지↔삼학도차고지|| ||[[신안 버스 150|150]]||해양대후문↔구.서산초충무분교|| ||[[신안 버스 1004|1004]]||목포버스터미널↔분계해수욕장|| ||[[신안 버스 2004|2004]]||목포버스터미널↔버스터미널입구|| ||압해동교 (하장천 방향)|| 도보 2분 || 126m ||<#f8f8f8>|| ||압해동교 (신안군의회 방향)|| 도보 2분 || 144m || 횡단보도 1회 || ||<-2> 공영 버스,,(장감리),, || || 1회차 || 동교 (07:17 / 07:33) || || 2회차 || 동교 (08:17 / 08:33) || || 3회차 || 동교 (09:17 / 09:33) || || 4회차 || 동교 (10:17 / 10:33) || || 5회차 || 동교 (12:47 / 13:03) || || 6회차 || 동교 (14:47 / 15:03) || || 7회차 || 동교 (16:47 / 17:03) || || 8회차 || 동교 (17:57 / 18:03) || == 기타 == * 녹색을 학교를 상징하는 색으로 삼고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가리킨다. * 교가에 등장하는 사드레산은 압해동초교 남동쪽으로 도보 기준 1.4㎞ 거리에 위치한 해발 93m의 산지이다. 사드레는 전라도 방언으로 사다리를 뜻하며 주변보다 높은 산세에서 비롯했다.[* [[https://blog.naver.com/dool22000/221848162131|압해도귀농일기 2020.03.11]]] * 압해도 지역주민들이 압해 동초등학교 학부모・교사・학생들과 함께 동트리 마을학교 공동체를 결성하여 마을공동체 활동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압해동초교 학생들 대부분이 맨손어업 면허를 취득했다.[*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010613132101515|프레시안 2022.01.06]]] * 2023년 압해동초교는 전남지역에서 첫번째로 「학교돌봄터」를 개소했다. 학교돌봄터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공동으로, 돌봄 공백 최소화를 위해 국고와 지자체에서 각각 50%의 운영비 지원 및 교육지원청의 시설 리모델링 비용이 지원되는 정책사업으로 학교 운영 초등돌봄교실과는 달리 지자체가 운영의 주체를 담당하고 있다.[* [[https://www.jnedu.kr/news/articleView.html?idxno=65084|전남교육통 2023.04.07]] 전라남도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