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암필(Ampil)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타마린드]](콩과의 상록 교목)을 뜻한다. 2012년 제명된 '[[보파]]'를 대신해 등재되었다. == 2018년 제10호 태풍 == [include(틀:2018년 태풍)] ||<#3594D3> [[틀:2018년 태풍|{{{#FFF '''2018년 태풍'''}}}]] || ||<#FFF,#1F2023> 제9호 [[손띤#s-3]] → '''제10호 암필''' → 제11호 [[우쿵#s-5]] || |||||| '''{{{+5 {{{#!html 2018년 제10호 태풍 암필}}}}}}'''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18년]] [[7월 18일]] 21시 ~ 2018년 [[7월 23일]] 21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일본]] [[류큐 제도]], '''[[중국]] 저장 성''', 장쑤 성, 산둥 성|| ||<#3594D3> {{{#white 태풍 등급}}} ||<-2><:><#00faf4>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85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85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8 m/s''' || ||<:>10분 평균 || '''26 m/s''' || ||<#3594D3><:><|4>{{{#ffffff 피해}}}||<:>사망자||<:>'''1명'''|| ||<:>피해총액||<:>'''2억 4,100만 달러'''[* 2018 USD]|| 7월 18일 18.4 °N, 128.1 °E 에서 발생하여 중국 상하이 인근에 상륙후 중국 내륙에서 7월 23일 소멸하였다. 최성기 태풍의 세력은 중심기압 985 hPa, 강풍 반경 280 km, 강도 중, 크기 소형이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에 걸쳐 강력하게 자리잡은 고기압 세력에 막혀 한반도를 서쪽으로 우회하는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중국 베이징, 텐진, 산둥 지방에 많은 비를 뿌렸다. 7월 22일에 전라남도와 제주도는 암필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고 해상에는 풍랑특보가 발효되었다. 다음 해에는 이와 비슷한 경로인 '[[레끼마#s-5]]'가 중국을 강타하면서 비를 많이 뿌렸다. 그러나 크기가 커서 [[대한민국]] 서부 지역의 폭염이 12일 하루 잠시 누그러졌다.[* '레끼마'가 중국에 상륙할 때 서울은 37 °C의 폭염이 찾아왔다.] 그리고 2022년 [[무이파]]와도 진로가 비슷하다. === 기록 === ||<|2> 순간최대풍속(m/s) || 제주 || '''고산 18.6''' 제주 13.8 성산 12.0 || || 전라 || 흑산도 17.2 완도 12.3 목포 11.8 진도(첨찰산) 11.2 진도 10.3 || [[분류:2018년 태풍]][[분류:태풍/중국]][[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