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길막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8960e><-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556_f00_s0.png|width=40]] 0556 [[마라카치]] || [[파일:icon0557_f00_s0.png|width=40]] '''0557 {{{#000,#fff 돌살이}}}'''[br][[파일:icon0558_f00_s0.png|width=40]] '''0558 {{{#000,#fff 암팰리스}}}''' || [[파일:icon0559_f00_s0.png|width=40]] 0559 [[곤율랭]] || ||<-3><#88960e>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33333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하나도감 목록|{{{#FFFFFF 하나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BW]] || || [[파일:556스위치아이콘.png]] 062 [[마라카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7MS.png]] '''063 {{{#000,#fff 돌살이}}}'''[br][[파일:558스위치아이콘.png]] '''064 {{{#000,#fff 암팰리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9MS.png]] 065 [[곤율랭]]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2|BW2]] || || [[파일:고지 도트.png]] 114 [[고지(포켓몬스터)|고지]]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7MS.png]] '''115 {{{#000,#fff 돌살이}}}'''[br][[파일:558스위치아이콘.png]] '''116 {{{#000,#fff 암팰리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9MS.png]] 117 [[곤율랭]] || ||<-3><#5a5aff>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코스트칼로스도감|{{{#FFFFFF 코스트칼로스도감}}}]] || || [[파일:689새2박스아이콘.png]] 022 [[거북손데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7MS.png]] '''023 {{{#000,#fff 돌살이}}}'''[br][[파일:558스위치아이콘.png]] '''024 {{{#000,#fff 암팰리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072MS.png]] 025 [[왕눈해]] || ||<#663366><-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본토)|본토]] || || [[파일:750스위치아이콘.png]] 085 [[만마드]]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7MS.png]] '''086 {{{#000,#fff 돌살이}}}'''[br][[파일:558스위치아이콘.png]] '''087 {{{#000,#fff 암팰리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622MS.png]] 088 [[골비람]]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갑옷섬도감(DLC)|갑옷섬]] || || [[파일:헤라크로스 도트.png]] 121 [[헤라크로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557MS.png]] '''122 {{{#000,#fff 돌살이}}}'''[br][[파일:558스위치아이콘.png]] '''123 {{{#000,#fff 암팰리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767MS.png]] 124 [[갑주무사|꼬시레]] || }}}}}}}}} || }}} ||<#88960e>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557 돌살이.png|width=100%]] || [[파일:558 암팰리스.png|width=100%]] || || 돌살이 || 암팰리스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88960e> {{{#FFFFFF 이름}}} ||<#88960e> {{{#FFFFFF 도감 번호}}} ||<#88960e>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557_f00_s0.png|width=40]][br]'''돌살이''' [br] イシズマイ(이시즈마이) [br] Dwebble || 전국: 0557[br]하나: 063^^BW^^ / 115^^BW2^^[br]코스트칼로스: 023[br]가라르: 086^^본토^^ / 122^^갑옷섬^^ ||<|2> [include(틀:벌레타입)][br][include(틀:바위타입)] || || [[파일:icon0558_f00_s0.png|width=40]][br]'''암팰리스''' [br] イワパレス(이와파레스) [br] Crustle || 전국: 0558[br]하나: 064^^BW^^ / 116^^BW2^^[br]코스트칼로스: 024[br]가라르: 087^^본토^^ / 123^^갑옷섬^^ || [anchor(앵커-특성)] ||<-2><#88960e>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옹골참]] || 일격기를 무효화하며 체력이 가득하면 한 방에 쓰러지는 공격을 당하면 체력을 1 남긴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조가비갑옷|조가비갑옷]] || 급소에 공격 당하지 않는다. || || *[[포켓몬스터/특성/ㄱ#깨어진갑옷|깨어진갑옷]] || 물리 공격을 받으면 방어가 1랭크 하락하고 스피드가 2랭크 상승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88960e> {{{#FFFFFF 포켓몬}}} ||<#88960e> {{{#FFFFFF 분류}}} ||<#88960e> {{{#FFFFFF 신장}}} ||<#88960e> {{{#FFFFFF 체중}}} ||<#88960e> {{{#FFFFFF 포획률}}} || || 0557 돌살이 || 돌집 포켓몬 || 0.4m || 14.5kg || 190 || || 0558 암팰리스 || 바위집 포켓몬 || 1.4m || 200.0kg || 75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벌레, 광물 || 20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88960e><-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88960e> {{{#FFFFFF 진화}}}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dwebble.gif]][br]0557 돌살이 || 레벨 34[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crustle.gif]][br]0558 암팰리스 || [anchor(앵커-방어 상성)] ||<-3><#88960e>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8960e><-8> [[종족치|{{{#FFFFFF 종족치}}}]] || ||<#88960e> {{{#FFFFFF 포켓몬}}} ||<#88960e> {{{#FFFFFF HP}}} ||<#88960e> {{{#FFFFFF 공격}}} ||<#88960e> {{{#FFFFFF 방어}}} ||<#88960e> {{{#FFFFFF 특수공격}}} ||<#88960e> {{{#FFFFFF 특수방어}}} ||<#88960e> {{{#FFFFFF 스피드}}} ||<#88960e> {{{#FFFFFF 합계}}} || || [[파일:icon0557_f00_s0.png|width=40]][br]돌살이 || 50 || 65 || 85 || 35 || 35 || 55 || 325 || || [[파일:icon0558_f00_s0.png|width=40]][br]암팰리스 || 70 || 105 || 125 || 65 || 75 || 45 || 48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557_f00_s0.png|width=40]][br]{{{#FFFFFF 돌살이}}} || ||<#ffffff,#000000><-2><:>{{{#!HTML}}}|| ||<-2> [[파일:icon0558_f00_s0.png|width=40]][br]{{{#FFFFFF 암팰리스}}}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88960e>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암팰리스#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88960e> [[파일:icon0557_f00_s0.png|width=40]][br]{{{#FFFFFF 0557 돌살이}}} || || 블랙 ||돌을 녹이는 액체를 입에서 분비하는 것으로 견고한 돌이라도[br]간단하게 구멍을 뚫을 수 있다. || || 화이트 ||<|3>큰 돌에 구멍을 내서 둥지를 만든다. 부서지면 대신할 돌을 발견할 때까지 진정하지 못한다. || || X || || 오메가루비 || || BW2 ||<|4>적당한 사이즈의 돌이 있으면 입에서 액체를 분비해서 안에 들어가기 위한 구멍을 판다. || || Y || || 알파사파이어 || || 포켓몬 GO || || 소드 ||마음에 드는 돌멩이에 구멍을 파서 보금자리로 삼는다. [[단굴]]이나 [[탄동]]에게는 천적이다.|| || 실드 ||집으로 삼기 딱 좋은 돌멩이를 발견하지 못하면 [[하마돈]]의 구멍에 살기도 한다. || ||<-2><#88960e> [[파일:icon0558_f00_s0.png|width=40]][br]{{{#FFFFFF 0558 암팰리스}}} || || 블랙 ||<|4>영역을 차지하기 위해 암팰리스끼리 서로 격렬하게 싸운다. 바위가 부수어진 쪽이 패배. || || Y || || 알파사파이어 || || 포켓몬 GO || || 화이트 ||<|3>무거운 바위를 등에 지고 건조한 토지를 며칠이라도 이동할 수 있는 각력을 가졌다. || || X || || 오메가루비 || || BW2 ||영역 다툼을 할 때 짊어진 바위가 부서지면 불안을 느껴 약해진다. || || 소드 ||건조한 곳을 좋아하며 비가 내리는 날에는 바위에서 나오지 않는다.[br]자기 영역에 대한 의식이 강하다.|| || 실드 ||두꺼운 발톱이 최고의 무기다. [[거대코뿌리]]의 [[포켓몬스터/도구/진화 관련#s-2.3.2|프로텍터]]조차 금이 갈 정도로 딱딱하다.|| ||<-2><#88960e>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상세 == 5세대에서 추가된 [[집게]]([[소라게]])+ 지층(암팰리스 한정)이 모티브인 포켓몬. 이름의 유래는 바위 암(岩,いわ/이와)+Palace(パレス). 적당한 바위를 골라 입에서 돌을 녹이는 액체를 뿜고, 양 팔의 뿔(혹은 집게)로 돌을 깎아서 살기 적합하게 만든 뒤 이걸 집으로 삼는다고 한다.[* 현실 소라게는 정작 스스로 집을 만들 수 없어서 고둥류의 껍데기를 쓴다.] == 포획 == ||<#88960e>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BW, BW2, XY, SwSh || || {{{#FFFFFF 포지션}}} ||높은 물리방어를 기반으로 한 물리 딜탱 || || {{{#FFFFFF 장점}}} ||다양한 견제폭, 높은 물리방어, 쉬운 진화, 특성 옹골참, 껍질깨기 사용 가능, 미진화체의 리스크 적음 || || {{{#FFFFFF 단점}}} ||진화 후 느려지는 스피드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딱딱한돌, 은빛가루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샤로다''', 염무왕, 대검귀, 브리가론, 마폭시, 개굴닌자, 고릴타,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스톤샤워 or 스톤에지(필수)/시저크로스(필수)/지진, 독찌르기, 섀도크루, 제비반환(7세대까지), 솔라블레이드(8세대부터), 헤비봄버(8세대부터), 바디프레스(8세대부터) 중 택 2 록커트(필수) || BW와 BW2 공통으로 리조트데저트에서 낮은 확률로 돌살이를 잡을 수 있고, 18번도로에서 암팰리스를 잡을 수 있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서는 암팰리스 무리가 껍질 안에 들어간 채 4번 도로의 [[잠만보|길을 가로막고 있다]]. 이때 [[아크로마]]가 나타나 자신의 포켓몬을 활성화시키는 기계인 아크로마 머신으로 암팰리스 무리를 쫓아낸다. 이후 [[해변동혈]]에서 플라스마단이 시간 끌기용으로 배치한 암팰리스 한 마리가 [[플라스마단]]의 배로 갈 수 있는 출구를 막고 있는데,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22번 도로에서 아크로마가 준 아크로마 머신을 사용하면 길을 막던 암팰리스와 대결할 수 있다. 레벨은 42로, 야생 포켓몬이라 원한다면 포획도 가능하다. 대결이 끝나면 아크로마 머신은 부서진다. 설령 여기서 못 잡았다고 해도 1차 엔딩 이후에 갈 수 있는 [[하나 18번도로]]에서 색이 진한 풀숲에 나오니 참고하자. XY에서는 8번도로에서 바위깨기로 돌살이를 포획 가능하다. 게다가 기술머신 배치도 빠르게 완성 가능하다. ORAS에서는 111번도로 사막지역에서 그란돈/가이오가 사태 해결 후 도감 서치로 돌살이를 잡을 수 있다. 울트라썬문에서는 울트라워프라이드 이용시 암팰리스를 포획 가능하다. === 번외 === 썬문에서 암팰리스로 스토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엔딩을 본 울트라썬문이나 6세대에서 돌살이를 얻어와야 한다. 이 경우 암팰리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교배기중에서는 깜짝베기를 생각해볼 수도 있으나 이것마저도 섀도클로와 겹쳐서 교배기에는 큰 미련을 둘 필요가 없다. 교배는 핫삼, 헤라크로스, 귀뚤톡크, 메가자리, 글라이온, 드래피온, 킬가르도와 가능하다. 최초로 갖고 있는 연속자르기와 5레벨 락블래스트로 초반 자속기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 그렇기에 일리마의 시련은 형사구스든 레트라든 불리할 일은 없는 편이며, 대 할라전의 경우에는 약점을 찔리지는 않지만 자속기와 속여때리기가 모두 반감이라 조금 불리하다. 특히 수련전에서는 불리함이 더욱 커진다. 약어리 자체도 강력하지만 물 타입은 확실하게 약점을 찔리기 때문. 그나마 키아웨와 마오가 쉬어가는 시간이라 반감이 아니라 1배로 받기 때문에 무조건 안도만 할 수는 없다. 그나마 마마네와 아세로라는 무난하고, 나누와 구즈마는 상대하기 쉬운 편. == 대전 == 바위는 약점이 5개나 되고 벌레는 약점이 전부 메이저 타입이라 개별적으로 보면 둘 다 방어 쪽으로는 좋은 상성이 아니지만 이 둘이 합쳐지면서 바위의 약점인 격투, 땅, 풀은 벌레가 상쇄시켜주고 벌레의 약점인 불꽃과 비행은 바위가 상쇄시켜준다. 당장 바위나 벌레 타입 하면 생각나는 약점들 상당수가 사라진 데다가 그나마 남은 약점 중 하나인 바위의 경우 바위 타입 포켓몬이 바위 타입에 약점일 거라는 발상은 쉽사리 나오기 힘들다 보니 초보자들 입장에서는 약점 찌르기가 매우 힘든 타입 조합 중 하나이다. 그러나 내성 역시 상당수가 상쇄되는데, 바위 타입의 내성 중 불꽃과 비행은 벌레 타입의 약점이고 벌레 타입의 내성인 격투, 땅, 풀은 바위 타입의 약점이기 때문에 내성이 노말과 독 밖에 남지 않게 된다. 그나마 남은 저 두 타입은 공격 상성이 안 좋기로 유명해서[* 노말은 약점을 못 찌르고 고스트 타입에 무효, 독은 메이저 타입인 페어리를 찌를 수 있어 한결 낫지만 마찬가지로 약점 2개에 내성 4개라는 환장하는 공격 상성을 자랑한다.] 자속이거나 기술폭이 너무 좁은 포켓몬이 아닌 이상 잘 안 쓰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 아무리 약점이 적다고 해도 16개의 타입을 1배 이상으로 받아야 한다는 것은 막이 입장에서는 큰 문제다. 공격이 준수하며 방어가 매우 좋으나 특방과 스피드가 상당히 모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같은 바위/벌레 타입인 3세대의 [[아말도]]에 비해 좀 더 방어적인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암팰리스의 방어 종족치는 아말도의 공격 종족치와 동일하며, 다른 능력치들도 아말도와 5 정도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암팰리스가 익힐 수 있는 유용한 공격기로는 [[시저크로스]]와 [[거대코뿌리]]의 전용기라 할 수 있었던 [[암석포]], [[락블레스트]], [[스톤샤워]](자력), [[스톤에지]], [[지진(포켓몬스터)|지진]], [[섀도크루]], [[독찌르기]]([[기술머신]]), [[깜짝베기]](교배기)등이 있다. 유용한 보조기로는 [[스텔스록]], [[압정뿌리기]], [[칼춤]], 손톱갈기, [[껍질깨기]], [[대타출동]], [[저주]] 등. 스텔스록과 압정뿌리기, 대타출동은 깔짝용으로 유용하고 공격을 올릴 수 있는 칼춤, 손톱갈기, 껍질깨기, 저주는 공격 기술 배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주면 된다. 공격 1랭크와 함께 명중률 1랭크를 올리는 손톱갈기는 명중률이 부실한 자속 바위 타입 고위력기에 알맞고 껍질깨기는 방어가 떨어지는 대신 준수한 공격과 빈약한 스피드 보완이 가능.[* 명랑 + V + 노력치 풀보정 후 껍질깨기 1번(212)이면 무려 '''140족'''(211)까지 추월 가능하다.] 저주는 스피드를 낮춤과 동시에 공격과 방어를 올리므로 트릭룸팟에 알맞고 칼춤은 방어도, 스피드도 포기하지 않으면서 공격을 올릴 수 있으므로 넷 모두 쓰임새가 다르다. 7세대에서 공격 종족치가 10 상승하였고 깨어진갑옷 특성이 스피드 2랭크 상승으로 바뀌어 간접적으로 상향을 받았다. 그러나 껍질깨기 + 깨어진갑옷의 운용 난이도는 여전히 높다. 껍질깨기로 방어와 특방을 깎으면서 스피드를 올리는데, 만약 상대가 더 저속이라서 후공한다면 깨어진갑옷이고 뭐고 한 방에 리타이어할 수도 있다. 상대가 나를 물리기로 먼저 때린 걸 버티면서 랭업을 해야 다음 턴에 화력을 쏟아부을 수 있는데, 상대가 암팰리스를 좀 안다면 다음 턴에 선공기 지르거나 랭업 전에 마비나 도깨비불로 엿을 먹일 수도 있다. 대신에 기점을 제대로 잡았거나 선공기를 가진 포켓몬을 잘 제거해 두었다면, 이놈 하나로 상대 파티를 다 쓸어버릴 수도 있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Pokémon GO]] === ||<-99><#68f2b6> '''558 암팰리스''' || ||<-12> [[파일:pokemongo_558.png]] || ||<#CEFBC9><|3><-2> 명칭 ||<#CEFBC9> 한국어 ||<-9> 암팰리스 || ||<#CEFBC9> 일본어 ||<-9> イワパレス || ||<#CEFBC9> 영어 ||<-9> Crustle || ||<#CEFBC9><-2> 분류 ||<-4> 바위집 포켓몬 ||<#CEFBC9><-2> 타입 ||<-4> [include(틀:벌레타입)][include(틀:바위타입)] || ||<#CEFBC9><-2> 몸무게 ||<-4> 200.0 kg ||<#CEFBC9><-2> 키 ||<-4> 1.4 m || ||<#CEFBC9><-2> 설명 ||<-10> 영역을 빼앗기 위해 암팰리스끼리 격렬히 싸운다. 바위가 부서진 쪽이 패배다. || ||<#CEFBC9><-2> 진화 ||<-10> 돌살이 → 암팰리스(50) || ||<#CEFBC9><|2> 기술 ||<#CEFBC9> 일반 ||<-10> * [include(틀:벌레타입)] [[연속자르기]] (3) * [include(틀:바위타입)] [[떨어뜨리기]] (16) || ||<#CEFBC9> 특수 ||<-10> * [include(틀:벌레타입)] [[시저크로스]] (3차징, 45) * [include(틀:바위타입)] [[스톤샤워]] (2차징, 80) * [include(틀:바위타입)] [[록블라스트]] (3차징, 50) || ||<-2><|2> 종족치 ||<-3> 공격 ||<-3> 방어 ||<-4> 체력 || ||<-3> 188 ||<-3> 200 ||<-4> 172|| ||<|2> 전투력 || - ||<-2> 리서치 ||<-3> 알/레이드 ||<-2> 레이드+날씨 ||<-3> 최대 Lv || ||<#CEFBC9> CP ||<-2> 488 ~ 524(돌살이)[br]1036 ~ 1089(암팰리스) ||<-3> 650 ~ 699(돌살이)[br]1381 ~ 1452(암팰리스) ||<-2> 813~ 874(돌살이)[br]1726 ~ 1815(암팰리스) ||<-3> 2177 ~ 2542(40)[br]2462 ~ 2874(50) || ||<|2><-2> 획득 방법 ||<-2> 필드 ||<-3> 리서치 ||<-2> 알 ||<-3> 레이드 || ||<-2> O ||<-3> X ||<-2> X ||<-3> ~~★(돌살이)~~ || ||<-2><#CEFBC9> 포획률 ||<-10> 10% / 7% || ||<-2><#CEFBC9> 색이 다른 포켓몬 ||<-2> 있음 ||<-8><#fff> [[파일:pokemongo_558s.png|width=160px]] || 포켓몬 GO에서는 2020년 초에 하나지방 1차 업데이트 34종이 추가될 때 함께 등장했다. 노말 어택으로는 떨어뜨리기 / 연속자르기를, 스페셜 어택으로는 스톤샤워 / 시저크로스 / 록블라스트를 배운다. 최대 CP의 한계상 레이드에서 기용하기는 어렵지만,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탱킹력 자체도 좋고, 방어상성이 비교적 우수하며 차징 주기가 짧은 스폐셜 어택들을 구비해 꽤 평가가 좋다. 특히 러브컵에서는 맹활약하는 포켓몬. 스폐셜 어택 해방 비용도 별의 모래 10000개에 사탕 25개밖에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여담으로, 본가에서 암석포를 배우기 때문에 본 게임에서도 암석포가 추가될 가능성이 있는데, 암석포를 배우면 방어상성 좋은 보급형 바위 어태커로 입지가 크게 상승할 여지가 있다. === [[Pokémon UNITE]]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암팰리스.png|width=100%]]|| [include(틀:Pokémon UNITE 플레이어블 포켓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암팰리스(Pokémon UNITE))] == 기타 == 5세대가 특히 벌레포켓몬들 디자인이 잘 나왔다고 평가받는데 진화 전의 돌살이는 크기도 작고 디자인도 상당히 귀엽다. 등의 집을 벗기면 현실 소라게와 좀 비슷한 모양새가 나온다.[* 다만 현실 소라게는 몸 뒤쪽이 골뱅이 껍질 모양으로 돌돌 말려있는데 돌살이는 몸 뒤쪽이 그렇게까지 말려있진 않으며, 몸의 앞과 뒤 모두 주황색의 외갑에 쌓여있다.] 네타 요소는 [[등짝]]의 바위를 개조하는 것. 특히 등의 지층 같은 바위가 케이크를 연상시켜서인지 케이크 팰리스(ケーキパレス, 케-키파레스)내지는 [[https://www.pixiv.net/artworks/16544326|암팰리스위츠]](イワパレスイーツ, 이와파레스이-츠)라고 불리며 바위 위쪽이 생크림과 딸기로 장식된 이미지를 여럿 볼 수 있다. 결국 정말로 [[포켓몬스터 W]] 48화에서 암팰리스의 바위를 본딴 케이크가 나왔다. 한입 사이즈의 돌살이의 돌을 닮은 슈크림도 있다고 한다. 애니에서는 덴트가 사용한다. [[하마돈]]과는 공생관계이다. 집을 못 찾은 돌살이가 하마돈의 몸의 구멍에서 살기도 하고, 하마돈 입장에선 돌살이가 몸에 끼인 돌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해주는지라 같이 지내는듯. [[포켓몬 유나이트]]에 참전한 플레이어블 포켓몬 중 하나이다. 인기가 그냥저냥한 포켓몬인 암팰리스에게는 그야말로 최고의 행운. 실제로 유나이트 참전 이후 독특한 운영방식으로 쓰기에 따라 차별화된 운영을 할 수 있는 점과 버그등으로 꽤나 주목을 받아서 어느정도 팬층이 생겼다. 집게가 있고 갑각류가 모티브임에도 불구하고 갑각류 포켓몬 중 유일하게 [[집게해머]]를 배우지 못한다. 암팰리스가 언급되는 문서들에서 암'''펠'''리스라고 서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진화하면서 지층 덩어리를 짊어져서 그런지 진화전에 비해 체중이 급격히 불어난다. [[매시붕]], [[펜드라]]에 이어 벌레타입 포켓몬 중 세 번째로 무거우며, 벌레타입 포켓몬 중 저 셋만 몬스터볼에서 나와서 착지할 때 땅이 울린다. [[분류:5세대 포켓몬]][[분류:벌레타입 포켓몬]][[분류:바위타입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