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1년 개교]][[분류:공립학교]][[분류:전라남도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남도 신안군의 초등학교)] ||<-2> '''{{{#fff {{{+1 암태초등학교 추포분교장}}}[br]岩泰初等學校秋浦分校場[br]Amtae Elementary School[br]Chupo Branch School}}}'''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추엽길 82, 너비=100%)]}}}|| || '''개교''' ||1951년 08월 20일|| || '''폐교''' ||2021년 09월 01일|| || '''유형''' ||단설 초등학교|| || '''성별''' ||남녀공학|| || '''형태''' ||공립|| || '''교장''' ||이옥현|| || '''교화''' ||목련|| || '''교목''' ||향나무|| || '''학생 수''' ||0명[*기준 2023년]|| || '''교직원 수''' ||0명[*기준]|| || '''관할 교육청''' ||[[전라남도신안교육지원청]]|| || '''주소'''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 추엽길 82||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에 위치한 [[초등교육기관]]이다. == 학교 연혁 == || 1951년 ||08월 20일 암태국민학교 추포분교장 개교|| || 1996년 ||03월 01일 암태초등학교 추포분교장으로 변경|| || 2016년 ||03월 01일 휴교|| || 2021년 ||09월 01일 폐교||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amtae.es.jne.kr/|암태초등학교 홈페이지]][* 암태초등학교에 편입된 분교장의 상징은 본교와 공유한다.] === 교표 === 개성, 자율, 창조를 의미하는 정삼각형과 건전한 몸과 마음을 뜻하는 녹색의 역삼각형이 서로 어우러져 만든 별은 암태초 본교 및 분교장의 발전을 가리키며, 윌계수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 할 것을 당부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교화 === [[목련]]을 교화로 삼고 있다. 목련목 목련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서 높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60037|목련]]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자연애(愛)을 상징하는 목련은 아름답고 큰잎과 은은한 향기로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피어나서 겨울을 이겨낸 꿋꿋함을 보여주는 인내와 순결을 보여준다. === 교목 === [[향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측백나무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로서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암석 지역에서 자란다.[* [[https://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59987|향나무]]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늘 푸른 모습이 강인한 정신력과 고고한 기상을 상징하듯 암태초 본교 및 분교장의 재학생들도 향나무처럼 푸른 꿈을 가꾸어 세계 속으로 힘찬나래를 높이 펼치기를 표상한다. === 교육목표 === ||<-2> 교육 목표 || ||<^|1> '''사회적 역량''' ||■ 참여 · 소통[br]○ 자신의 꿈을 찾아 도전하는 학생[br]○ 바른 생활 습관을 가진 건강한 학생|| ||<^|1> '''지적 역량''' ||■ 창의 · 융합[br]○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학생|| ||<^|1> '''인성 역량''' ||■ 자율 · 배려[br]○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는 너그러운 학생|| ||<-2> 교육 중점 || ||<^|1> '''사회적 역량 교육''' ||■ 참여 · 소통: 【도전인 · 건강인】[br]○ 실천적 체험을 통한 '진로 개발 능력' 키우기[br]○ 바른 마음가짐과 몸가짐으로 '자기 관리 능력' 키우기|| ||<^|1> '''지적 역량 교육''' ||■ 창의 · 융합: 【창의인】[br]○ 독서와 탐구를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력' 키우기|| ||<^|1> '''인성 역량 교육''' ||■ 자율 · 배려: 【자주인】[br]○ 먼저 손 내밀고 함께 나누는 참여를 통한 '공감 능력' 키우기|| ||<-2> 특색교육 || ||<^|1> '''느낌 · 체험''' ||【신안 문화예술 체험하기】[br]■ 문화예술 교육 계획 세워 운영하기[br]○ 관련 교과 교육시간 편성[br]○ 신안사랑 환경 구성하기[br]○ 시안사랑 노래 부르기[br]■ 신안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하기[br]○ 우리 옷입기, 우리 차 교실 운영으로 바른 인성 키우기[br]○ 우리 고장 예술 프로그램 참여하기|| ||<^|1> '''도전''' ||【신자랑스런 신안인 되기】[br]■ 체육 리더[br]○ 뇌를 깨우는 아침 운동[br]○ 승봉산 오르기[br]■ 글로벌 리더[br]○ 학급 프로젝트: 독서 및 학급 인증제[br]■ 문화예술 리더[br]○ 국악 · 무용 예술수업 운영[br]○ 1인 1악기 연주[br]■ 아름다운 내 학교 내 고장 지킴이[br]○ 우리 반 실습지 가꾸기[br]○ 추포해변 환경미화 봉사[br]■ 꿈을 키우는 체험학습[br]○ 역사 · 진로 · 예술 체험학습 운영|| ||<^|1> '''꿈''' ||【리더의 꿈 키우기】[br]■ 신안을 빛낸 리더를 찾아 본받기[br]○ 다양한 분야의 신안의 자랑인 찾아 알리기[br]■ 부모님 직업 체험하기[br]○ 부모님 직업 체험활동으로 '효' 실천 및 '진로' 탐색[br]■ 내 꿈 키우기[br]○ 내 꿈 키우는 책 골라 읽기[br]○ 마을도서관 운영으로 리더의 꿈 키우기[br]○ 닮고 싶은 위인 관련 도서 슬로리딩하기[br]○ 내가 읽는 책 소개하고 자랑하기[br]■ 내 꿈 자랑하기[br]○ 나의 꿈 나누기: 1인 1책 쓰기|| ||<^|1> '''앎''' ||【우리 고장 신안 알리기】[br]■ 우리 학교 및 신안 역가 바로 알기[br]○ 우리 학교와 내 고장 자랑하기: 하의 큰 바위 얼굴, 팔금 3층석탑 등[br]■ 신안 얼 찾기[br]○ 암태 소적쟁의 탑[br]○ 암태 매향비[br]○ 신안 민요: 가거도 뱃노래, 장산 들노래 등|| === 교가 === >1절 >다도해 맑은 물에 마음을 씻고 >배움의 터전 닦는 일천 건아들 >---- >2절 >승봉산 봉우리는 높고도 높아 >아침햇살 찬란하게 솟아 오른다 >---- >후렴 >나가자 새나라 일꾼 대한의 싹아 >닦고 또 닦아 빛을 내자 우리 암태교 >---- >암태초등학교 교가[* [[http://amtae.es.jne.kr/|암태초등학교]] 학교소개; 학교상징, 암태초등학교 산하의 분교장은 교가를 공유한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3> 공영 버스,,(암태-2),, || || 횟수 || 추포보건진료소 || 추엽 || || 1회차 || 07:06 / 07:12 || 07:09 || || 2회차 || 08:56 / 09:02 || 08:59 || || 3회차 || 10:46 / 10:52 || 10:49 || || 4회차 || 13:26 / 13:32 || 13:29 || || 5회차 || 15:06 / 15:12 || 15:09 || || 6회차 || 16:56 / 17:02 || 16:59 || == 기타 == * 1973년 추포분교장은 124명의 학생이 재학했다. 학생 수가 줄어든 이후 마을 주민들은 학교 화단, 교문 앞길, 배구장 등을 정비했으며 운동장에는 천연잔디를 조성했다.[* [[http://www.jnilbo.com/45329553546|전남일보 2014.10.10]]] * 2007년 신안군은 「아름다운 학교숲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추포분교장을 모범사례로 들었다.[* [[http://sanews.co.kr/sub_read.html?uid=552|신안신문 2007.01.25]]] * 2010년 교육부는 추포분교장을 「아름다운 학교」로 지정했다. 주변 풍광이 빼어나 본교인 암태초교 재학생들의 소풍 장소로 활용되었다.[* [[http://sportsworldi.segye.com/newsView/20110323004742|세계일보 2011.03.23]]] * 2011년 추포분교장은 7명의 학생이 재학했다. 타 시도에서는 낙도 지역 교육행정과 관련하여 신안군의 '1섬1분교' 원칙을 소개하며 추포분교장을 모범사례로 들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3/18/2011031802335.html|조선일보 2011.03.19]]][*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75759&replyAll=&reply_sc_order_by=C|인천일보 2010.01.07]]] * 2016년 추포분교장은 재학생 3명 중 2명이 졸업하면서 휴교에 들어갔다. 나머지 1 명은 본교인 암태초교로 등교했다.[* [[https://webzine-serii.re.kr/%EC%98%A4%EC%A7%80%ED%95%99%EA%B5%90-%ED%83%90%EB%B0%A9-%EA%B7%B8%EA%B3%B3%EC%97%94-%ED%8C%A8%EA%B8%B0%EC%99%80-%EC%97%B4%EC%A0%95%EC%9D%B4-%EA%B0%80%EB%93%9D%ED%96%88%EB%8B%A4/|서울교육 2016 봄호]]] * 2021년 전라남도교육청은 도립학교 설치 조례 일부개정을 통해 5년 이상 휴교 상태에 있던 추포분교장의 폐교를 공포했다.[* [[https://www.jne.go.kr/main/na/ntt/selectNttInfo.do?mi=196&nttSn=5022618#none|자치법규 공포; (제5386호) 전라남도립학교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 공포문]] 전라남도교육청 2021.07.29][*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ordinSeq=1759667|전라남도교육청 공무원 특수지근무수당 지급대상 지역 등에 관한 조례; 부칙 <제5482호,2021.12.23.>(전라남도립학교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 제2조]]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